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시각장애 유아의 온몸으로 배우기
세 맹학교 유치부의 사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윤소연

Advisor
박혜준
Major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2012. 2. 박혜준.
Abstract
이 연구는 세 맹학교 유치부에서 다양한 시각장애 정도와 유형을 가진 시각장애 유아들이 어떻게 배우고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살펴본 질적 사례연구이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두 가지 연구문제를 바탕으로 사례 연구를 수행하였다.
첫째, 시각장애 유아의 배움의 방식은 시각손상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둘째, 시각장애 유아의 상호작용은 학급의 특성과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다른가?
연구방법으로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활용하였고, 이를 통해 얻은 자료와 수업관련 자료를 중심으로 세 맹학교 유치부의 사례를 비교 분석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 3주씩 총 9주 동안 세 곳의 맹학교 유치부의 하루 일과를 완전 참여관찰하였으며, 참여관찰 동안 떠오른 의문들을 해결하기 위해 교사들과 심층면담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인터뷰 자료, 비디오 녹화 자료, 유아들의 미술작품 사진촬영 자료, 교수매체 사진촬영 자료 등이 있었다. 수집된 자료들은 주제별로 약호화하고 범주화하였고, 다양한 자료들 간의 삼각검증을 통하여 자료의 타당성과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였다.
세 맹학교 유치부 시각장애 유아의 시각손상 정도에 따른 배움의 방식은 다음과 같다. 전맹 유아는 시각을 전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들을 전적으로 활용하며 배운다. 또한 다른 감각의 전적인 활용을 통해 배움의 대상을 탐색함으로써 보이지 않는 것들을 머릿속으로 풍부하게 이미지화 할 수 있다. 그런데 전맹 유아들은 배움의 대상을 눈으로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표상의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따라서 다양한 방식으로 대상이 가지는 근본적인 속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저시 유아는 전맹 유아들과는 달리 잔존시력이 있기 때문에 자신이 가지고 있는 시력을 보완하는 수단으로 다른 감각들을 활용한다. 즉, 저시 유아들은 학습의 과정에서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들을 보완적으로 활용한다. 또한 자신이 보는 이미지에 국한하는 것이 아니라, 시각과 더불어 다른 감각들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이미지를 구체화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다른 감각의 발달과 더불어 자신이 가진 잔존시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신이 가진 시력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수업에 참여하기도 한다.
시각중복장애 유아는 시각에 손상이 있지만, 다른 장애를 동반하기 때문에 시각 손상 이외의 다른 장애의 정도에 따라 학습이 가능한 수준의 차이가 크게 난다. 따라서 시각중복장애 유아는 단순 시각장애 유아들과는 달리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들을 탐색적으로 사용하면서 이후의 학습을 위한 준비를 한다. 또한 시각중복장애 유아에게 유아 시기의 교육이란 이미지화를 위한 준비단계라고 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많은 시각중복장애 유아가 가지고 있는 상동행동을 배움으로 활용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세 맹학교 유치부의 학급특성과 교사의 개입 정도에 따른 시각장애 유아의 상호작용 방식은 다음과 같다. A맹학교 유치부는 유아 수가 6명이고,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는 4명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 중 1명은 다른 유아들과 자발적인 의사소통을 거의 하지 않는다. 따라서 A맹학교 유치부의 상호작용은 아주 활발하다고는 할 수 없다. 그러나 교사가 적극적인 개입과 중재를 통해 유아들의 상호작용을 끊임없이 유도하고자 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B맹학교 유치부는 유아 수가 9명이고, 모든 유아가 언어적 의사표현이 가능하다. 그러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 중 1명은 다른 유아들과 자발적인 의사소통을 거의 하지 않는다. 교사는 유아들이 자신만의 놀이나 활동에 몰두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필요에 따라 개입을 하고 있으며, 놀이에 직접 참여하기보다는 전체적인 놀이 상황을 조율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교사의 노력을 통해 유아들의 상호작용은 아주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C맹학교 유치부는 유아 수가 3명이고, 그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는 2명이다. 그러나 의사소통이 가능한 유아 중 1명은 다른 유아들과 자발적인 의사소통을 거의 하지 않는다. 또한 교사는 유아들끼리의 놀이보다는 교사와의 교육적인 상호작용이나 중재에 초점을 두고 있기 때문에 유아들의 상호작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은 다른 현장의 교사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 속에서 C맹학교 유치부의 상호작용은 거의 일어나지 않고 있다.
This is a case study that explored how children with various levels of visual impairment learned and interacted in 3 kindergarten classes for the blind. 2 study objects were established to answer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how different are learning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impairment levels?
Second, how different are interaction among visually 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eacher intervention level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 were employed as study methods. Data collected through these methods and materials collected during class were compared and analyzed. Daily lives of children in 3 kindergarten classes were observed for 3 weeks each, 9 weeks total. In-depth interviews with teachers were also employed to settle questions arose during observat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terview, videos, pictures of children's art works, teaching media, and various pictures. Data collected were triangulated to guarantee their validity and reliability. They were coded, categorized into several themes and analyzed.
Learning of visually impair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impairment levels are as follows. Totally blind children who were not capable of using sight learned fully dependent on other senses. They could draw images in their head that were not seen by exploring the learning targets with fully utilized senses. Totally blind children, however, showed difficulties in representing things since they could not see things with their eyes. Therefore, they need to be trained to understand fundamental attributes embedded in objects in various ways. Children with low vision used other senses to supplement their residual vision. They were not dependent solely on their residual vision but embodied images by using other senses, not like totally blind children.
Children with visual and multiple disabilities who had visual impairment accompanied by other disabilities had different learning levels according to individuals' seriousness of disabilities. It might be said that early education for these children is preparatory stage for drawing images in head. This research found that teacher could use children's stereotyped behaviors as one of learning materials.
The interaction types among children with visual impairmen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 and teacher intervention levels are as following. In class A, number of communication-capable children are 4 out of 6, but one of the 4 rarely showed spontaneous talk to their peers. Interaction in class A was not considered actively communicative. But the teacher made effort to encourage children to take part.
There were 9 children in class B. All of them are capable of verbal communication. But one child rarely showed spontaneous talk to peers. The teacher used to intervene as necessary when children were absorbed in their own play or activity. She presented a role that mediated children's play as a whole rather than took part in person. It was observed taht the teacher encouraged children to actively interact.
Class C, where only 3 children were attending, but had 2 communication-capable children. One of them, however, rarely presented spontaneous talk to their peers. Since the teacher relatively focused more on educational interaction with teacher and more on intervention, she showed less effort to activate children's interaction compared with other teachers observed.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894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22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