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 :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Perception on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 Video-Cued In-depth Interview
영상자료를 활용한 심층면담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현선

Advisor
박혜준
Major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 (석사)-- 서울대학교 대학원 : 협동과정 유아교육전공, 2012. 2. 박혜준.
Abstract
이 연구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에 대한 심층면담연구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경력 4년 이상의 공․사립(민간) 유치원 및 어린이집의 교사 11명과 교사와 같은 학급의 어머니 21명이다. 연구방법은 비디오를 활용한 문화기술지연구에서 착안하여 연구참여자들에게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관한 심층면담을 영상자료 시청 전후로 실시하였다. 놀이에 대한 구체적인 영상자료를 제공함으로써 교사와 어머니가 면담과정에 상호동등한 입장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교사와 어머니의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그들의 이야기 속에 반복적으로 등장하여 강조되고 있는 어휘, 문장을 기준으로 범주를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최종 범주는 교사와 어머니가 가지고 있던 기존의 인식과 영상자료 시청 후 새롭게 발견하고 재인식한 의미이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자료 시청 전 교사와 어머니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를 자유선택활동과 관련한 직․간접 경험의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교사들의 놀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자유선택활동을 자유, 선택, 활동의 세 가지 개념이라고 이해할 경우, 자유 혹은 선택을 강조하는 면에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교사들은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유아와 교사의 행동의 양태를 바탕으로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다각적 의미를 설명하였다. 반면 어머니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물리적 환경 구성과 같은 외적인 형태에만 주목하여 다소 단순한 방식으로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를 이해하고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서로 다른 기대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둘째, 영상자료 시청 후 교사와 어머니의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인식은 큰 차이를 보였다. 영상자료를 본 후 교사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기존의 인식을 심화시켰으며, 어머니는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를 전혀 다른 방식으로 새롭게 바라보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영상자료 시청 후 교사와 어머니가 공통적으로 강조한 것은 놀이의 본질 그대로 유아들에 의해 주도되는 그냥 놀이의 교육적 의미였다. 특히 교사와 어머니는 자유선택활동시간에 일어나는 여러 가지 놀이 중 교사가 계획하지 않은 놀이, 유아들끼리 하는 놀이, 쌓기 놀이, 역할 놀이, 반복되는 놀이에서 교육적 의미를 발견하였다.
또한 이 연구에서는 영상자료가 교사와 어머니의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관한 적극적인 대화를 이끄는 도구이상의 의미를 가짐을 보여주었다. 영상자료를 통해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의 맥락을 말해주는 유아와 교사의 말과 행동, 표정과 주변교실상황이 연구참여자들에게 그대로 전달되었다. 이를 통해 어머니들은 교사와 같이 놀이의 본질인 즐거움과 능동성이 어떠한 교육적 의미를 가지는지 풍부하게 의미를 부여하며 부모교육의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교사들은 기존의 놀이에 대한 인식을 심화하는 유아가 주도하는 놀이의 교육적 의미에 대하여 자신의 인상적인 경험과 함께 설명하였다. 이는 영상자료가 교사 스스로에게는 놀이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고 경험을 되돌아보는 반성적 기회를 제공함을 의미한다.
이 연구를 통해 먼저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한 교사와 어머니의 인식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의 교육적 중요성이 낮게 평가되는 근원적인 이유가 교사와 어머니간의 놀이에 관한 소통의 부재임을 보여주었다. 즉 소통의 부재로 어머니는 놀이 속 교사의 다양한 역할과 놀이를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유아라는 존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다. 반면, 교사는 어머니를 동반자로 인식하여 놀이의 의미를 알려야 한다는 인식이 부족하였다. 이로 인하여 영상자료 시청 전에는 교사와 어머니는 놀이에 대한 공감대가 부족하였다. 그러나 영상자료와 같이 놀이의 구체적인 맥락이 주어진다면 교사와 어머니는 학습의 도구로서 놀이의 가치보다도 놀이의 즐거움의 교육적 의미와 자유를 의미있게 누릴 수 있는 유아의 능력에 대해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앞으로 교사와 어머니가 자유선택활동시간의 놀이에 대해 적극적이고 질적으로 소통해야 함을 시사해주며, 소통의 방법으로 영상자료를 적극 활용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This study explore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mothers perceive childrens play on free choice activities.
The participants included 11 teachers who have been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preschools for four years or more, and 21 parents of their children. The method came from the idea that the video-cued multivocal ethnographic research with an in-depth interview is conducted with a visual material on free choice activity. It was ensured that both teachers and mothers were actively involved in the discussion.
Their perception was analysed using the participants viewpoints that were repeatedly mentioned and highlighted during the interviews. The main themes were identified among teachers' and mothers' traditional opinion, newly gained insight, and re-organized value.
First, before watching the visual material, the meaning of the free activities and play between the teachers and mothers was diverse due to their individual experiences. Since the definition of free choice activity embraces the meaning of freedom, choice and activity, their positions were different depending on their emphasis being on freedom or choice. However, they shared the pattern that they explained the multi-layered indications of the time with the behavioral trend of the teachers and children. On the contrary, the understanding the term play by mothers was relatively simple as they focused on the physical environment and external aspects of the time. The gap shows different expectations from teachers and mothers.
Second, the perceptions of the teachers and mothers significantly changed after exposure to the visual material. The post-video analysis provided a detailed explanation of the meaning that the teachers have held on free activities, since it caused the mothers to realize new facets of play in free choice activity time. After watching the visual material, however, the participants underscored the educational value of child-led playing. Particularly, the participants emphasized the learning implications of the various activities, such as improvised play, block play, role play and repeated play.
This study showed that the video material served as a significant tool that is able to encourage the teachers and mothers to discuss the play of free choice activity time.
The comments, behaviors and facial expressions of the children and teachers, and the class environment recorded in the video delivered the accurate picture that allowed the mothers to understand the context of the time. From this, mothers could learn how play with teacher can give children joy, and that active approach could have educational meaning. Additionally, the teachers discuss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 and impressive experience during the children-initiated play, which they admitted that they tended not to promote officially because of its relatively low level of educational expectations. This suggests that the video offered opportunity for teachers to re-shape their thoughts and reflect on their past experience, and at the same time, gave a chance for other teachers to understand practical approaches to this low-expectation free play with help of the study of experienced teachers.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how teachers and mothers see playing in a free activity time. Also, it studied why such the playing of free choice activity are believed to have low-level of educational value, and discovered the lack of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regarding such activities. In other words, the absence of the communication prevented mothers from thinking that a teacher plays various roles during those free choice activity time and that children are capable of leading the play. In addition, the teachers failed to regard mothers as their partners and to realize the need to promote the indications of the play. Before watching the video, both groups were not able to appreciate the meaning of the play. However, it was proved that they could understand that childrens capability to enjoy the educational aspect and freedom, in addition to the value of the play as a learning instrument.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e need for active and meaningful communication between teachers and mothers who regard play during free choice activity period, and the value of the video material as a communication tool.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5896

http://dcollection.snu.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854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