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 구조모형 :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Self-management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송미순-
dc.contributor.author최수영-
dc.date.accessioned2019-07-02T15:00:28Z-
dc.date.available2019-07-02T15:00:28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141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616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418ko_KR
dc.description.abstract당뇨병은 합병증을 유발하여 노인의 기능장애 및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만성질환으로, 적절한 자기관리 행위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병증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다. 따라서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에 대한 영향요인을 규명하고, 이를 기반으로 자기관리 행위 증진을 위한 간호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의 선행지표로 구성된 행위변화 이론인 정보-동기-행동기술(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IMB) 모델을 기반으로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를 설명하기 위한 2개의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였다. 첫 번째 가설적 모형은 정보, 동기, 행동기술 요인으로 구성된 IMB 모델이며, 두 번째 가설적 모형은 당뇨병 노인에서 발생 위험이 높고, 자기관리 행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우울 요인을 IMB 모델에 추가하여 구성한 정보-동기-행동기술-우울(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Depression, IMBD) 모델이다. 또한 2개의 모형 중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적합한 모형을 규명하기 위하여 IMB 모델과 IMBD 모델을 비교 검증하였다.
IMB 모델에서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를 예측하는 외생변수는 정보, 동기 요인이며, 내생변수는 행동기술 요인, 결과변수는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이다. IMBD 모델에서는 정보, 동기 요인 이외에 우울 요인을 내생변수인 행동기술 요인과 결과변수인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외생변수로 설정하였다.
가설적 모형을 검증하기 위하여 2011년 7월 11일부터 8월 28일까지 서울시내 일개 노인복지관에서 65세 이상 제 2형 당뇨병 노인 258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면담을 통해 구조화된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 중 대상자가 중복되거나 불성실하게 표기된 설문지를 제외하고, 최종 247명의 자료를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 절대적합지수(Goodness of Fit Index)로 평가한 두 모형의 적합도는 .979-.981로 모두 권장수준(>.90) 이상이었고, 모형의 간명적합지수, 경로의 유의성, 설명력을 기준으로 모형을 비교한 결과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를 설명하고 예측하는데 IMB 모델보다 IMB 모델에 우울 요인을 추가한 IMBD 모델이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IMBD 모델에서는 7개의 경로 중 2개의 경로를 제외한 5개의 경로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여 지지되었다.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당뇨병 자기관리 정보, 행동기술, 우울 요인이었으며, 우울 요인은 행동기술 요인을 매개로 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도 자기관리 행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당뇨병 자기관리 동기 요인은 행동기술 요인을 매개로 한 간접 경로를 통해서만 자기관리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는 당뇨병 자기관리 정보, 동기, 행동기술 요인 및 우울 요인에 의해 50.9%가 설명되었으며, 우울이 자기관리 행위에 직•간접적으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우울과 같은 정신적 건강 문제를 가진 대상자들을 주기적으로 사정하여 이를 완화시킬 수 있는 중재를 함께 제공하는 것이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당뇨병 자기관리 행위 수행을 위한 정보제공, 동기강화 상담, 기술 교육 등을 통하여 지식 증가, 동기부여, 자신감 향상과 같은 인지적, 심리적, 행동적 측면을 강화시킬 수 있는 중재를 제공한다면 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 증진 및 합병증 예방, 삶의 질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
dc.description.abstractComplications of diabetes can have a negative impact on functional disability and the quality of life among older adults living with diabetes. However, complications can be prevented through effective diabetes self-management. Hence,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factors which affect diabetes self-management, as these factors are the key to success in the self-management of diabetes among older adul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 (IMB) model empirically for its ability to predict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depression on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A descriptive and cross-sectional study involving 247 community-dwelli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who interacted with a senior center in Seoul, Korea was conducte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one-on-one interview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o evaluate the model fit and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IMB model constructs and to compare the IMB model with a modified version of the IMB (Information-Motivation-Behavioral Skills-Depression, IMBD) model, with depression added as an external variabl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Although the test results of the IMB model satisfied overall fitness indices (GFI=0.979, RMSEA=0.05), the IMBD model provided a better fit (GFI=0.981, RMSEA=0.036), greater explanatory power, and better paths significance than the IMB model.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were significantly predicted by diabetes knowledge (information), confidence in one's diabetes self-management skills (behavioral skills), and depression. Significant indirect predictors of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mediated through behavioral skills included diabetes attitudes (motivation) and depression. Among the significant predictors, depression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IMBD model can be used to predict and explain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among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in Korea. In addition, depression impedes diabetes self-management behaviors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a decrease in behavioral skills. Therefore, diabetes education programs should consider screening for and managing depression in older adults and should provide information, motivation, and behavioral skills to improve self-management behaviors.
-
dc.format.extentvii, 129 p.-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0.73-
dc.title제 2형 당뇨병 노인의 자기관리 행위 구조모형-
dc.title.alternative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Self-management Behavior in Older Adul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Choi, Suyoung-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간호학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141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