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Ego Identity Status and Confirmation Bias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애리

Advisor
김계현
Major
교육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confirmation bias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among ego identity statuses. The present study focuses specifically on the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with a foreclosed ego identity status, those who have simply adopted the opinions and attitudes of their significant others such as parents without proper exploration, and individuals with an achievement ego identity status, those who have explored several alternatives and then established their identity.
Participants were selected from undergraduate students at teachers colleges, located in Seoul, and Kyeong-gi province. A total of 737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548 (74.4%) were women and 189(25.6%) were men. K-EOMEIS-2 was utilized to measure ego identity status. A selective exposure paradigm was used to measure confirmation bias in career information search. In order to construct the selective exposure paradigm, occupational information on teachers was given. This occupational information on teachers consisted of 16 articles. Each article was summarized by a title and a main thesis (two or three sentences). The procedures were followed as the general procedure of experiments based on the cognitive dissonance theory.
In order to focus on the effects of ego identity status, confidence and grade variables (which were proved to be related to confirmation bias in the preliminary analysis) were controlled. Confirmation bias was measured in terms of the selection and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have been summarized below.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rmation bias in terms of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among ego identity statuses. The foreclosed students showed the most confirmation bias. In other words, the extent to which the foreclosed students selected the supporting information exclusively was larger than the students in the other statuses. The students in moratorium status showed the second highest level of confirmation bias, followed by students with achievement status. The students with a diffusion status showed the lowest level in confirmation bias i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Seco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firmation bias in the evaluation of information among ego identity statu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supporting information;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valuation of threatening information. In the evaluation of supporting information, students with foreclosure and moratorium statuses wanted to read the supporting information more and evaluated the supporting information as more important compared to the students in diffusion and achievement statuses.
In conclusion, the foreclosed students showed the highest level of confirmation bias in the selection of information. They also showed higher level of confirmation bias in the evaluation of supporting information;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valuation of threatening information among ego identity statuses. Implications for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 정보 탐색에 있어서 자아정체성 지위들 간의 확증편파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특히, 본 연구는 적절한 탐색없이 부모와 같은 중요한 타인의 의견과 태도를 그대로 받아들여 자신의 정체성을 형성한 자아정체성 조기완료 지위와 여러 대안들을 탐색하고 나서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한 성취 지위 사이의 차이점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 참가자들은 서울과 경기 지역에 위치한 교대생들을 모집하였다. 총 737명의 학생이 참여하였고 여학생이 548(74.4%)명이었고 남학생은 189(25.6%)명 이었다. 한국어판 자아정체성지위검사(EOM-EISII)를 사용하여 자아정체성지위를 측정하였다. 진로 정보 탐색에서의 확증편파를 측정하기 위해서 선택적 노출 패러다임을 활용하였다. 선택적 노출 패러다임을 구성하기 위해, 교사에 관한 직업 정보를 작성하였다. 교사에 관한 정보는 제목과 2-3줄의 간략한 요약문으로 이루어진 16개 기사로 구성되었다. 연구절차는 인지부조화 이론에 근거한 일반적인 실험절차를 따랐다.
자아정체성지위의 효과에 초점을 두기 위해, 예비 분석에서 확증편파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확신도와 학년 변인은 통제하였다. 확증편파는 정보의 선택과 평가라는 측면에서 측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얻은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의 선택이라는 측면에서 자아정체성 지위간에 유의미한 확증편파의 차이가 있었다. 조기완료 지위의 학생들이 가장 많은 확증편파를 보였다. 즉, 조기완료 지위의 학생들이 배타적으로 지지 정보를 선택한 정도가 다른 지위의 학생들보다 더 컸다. 유예 지위의 학생들은 두번째로 높은 수준의 확증편파를 보였고, 다음은 성취 지위였다. 혼미 지위의 학생들은 정보 선택에서 가장 낮은 수준의 확증편파를 보였다.
둘째, 정보의 평가에서도 자아정체성 지위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지지정보의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위협정보의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지지 정보의 평가에서, 조기완료와 유예 지위의 학생들은 혼미와 성취 지위의 학생들 보다 지지정보를 더 읽고 싶어했고 지지정보를 더 중요하게 평가했다.
결론적으로, 조기완료 지위의 학생들은 정보의 선택에서 가장 높은 수준의 확증 편파를 보였다. 그들은 또한 지지 정보의 평가에서도 높은 수준의 확증편파를 보였지만, 위협정보의 평가에서는 자아정체성 지위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진로 지도와 상담에 대한 함의와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214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1567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