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 A Study on the Lyricism of Pansori Texts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권두환-
dc.contributor.author이유진-
dc.date.accessioned2019-07-02T15:07:50Z-
dc.date.available2019-07-02T15:07:50Z-
dc.date.issued2012-02-
dc.identifier.other000000002374-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562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74ko_KR
dc.description.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판소리 텍스트에서 서정성이 실현되는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그 의의를 밝히는 것이다. 지난 수십 년간 많은 연구자들이 판소리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혼합 장르적 성격 또는 복합 장르적 성격에 대해 관심을 보이며 그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을 전개해 왔다. 장르론을 표방한 논문들과 그 외의 많은 논문들을 통해 판소리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서사성 및 극성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들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이와 대조적으로,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에 대한 논의는 아직 본격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만일 판소리 텍스트에서 서정성과 관련된 부분을 찾아보기 어렵다면 이것은 당연한 귀결일 것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판소리 텍스트의 많은 부분들에서 서정성이 실현되고 있으며, 그 의의가 결코 작지 않다. 따라서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에 대한 연구는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보류되어 왔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을 규명하기 위해 수행된 첫 연구로서, 현전 판소리 다섯 작품들에서 나타나는 서정성 실현의 일반적인 양상을 파악하고 그 핵심적인 의의를 밝히는 데 목표를 두었다.
지금까지 국내외의 여러 문학이론가들과 비평가들이 서정성, 즉 서정시의 본질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을 제시해 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세계의 자아화, 노래의 제시 형식과 율문 형식 등 두 가지 기본적인 개념들을 채택하여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을 규명하기로 했다. 이 개념들을 적용해 보면, 판소리 텍스트의 많은 부분들에서 서정성이 실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들을 판소리 서정 텍스트로 명명하고 이들을 중심으로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실현 양상을 살펴보았다.
판소리 서정 텍스트는 세계의 자아화를 실현하고 있고, 가창 방식으로 연행되며, 율문 형식을 가지고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서정시들과 본질적으로 같지만, 판소리 작품의 서사적 맥락 및 극적 맥락 안에서 창조되고 수용된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서정시들과 다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차이를 고려하여, 판소리 서정 텍스트를 판소리 작품의 일부라는 제한 조건을 가지고 있는 특수한 유형의 서정시로 다루었다.
판소리 서정 텍스트는 자칫 판소리 삽입가요와 혼동되기 쉽다. 그러나 판소리 삽입가요는 단순히 판소리 텍스트 중에서 독립적으로 가창될 수 있는 부분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서정 텍스트와 필연적 관련성이 없다. 판소리 삽입가요 중 어떤 것들은 그 안에 서정 텍스트를 포함하고 있지만, 어떤 것들은 서정 텍스트와 무관하고, 또 어떤 것들은 서정 텍스트에 속한다.
본 논문의 내용을 간략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장에서는 산문과 율문의 교체 및 서술자의 말, 인물의 말, 인물의 노래의 교체로 이루어진 판소리 텍스트의 복합구조를 분석한 후, 이 복합구조 안에서 서정성이 실현되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제3장에서는 서정 텍스트의 화자, 서정 텍스트에서 대상화되는 상황, 서정 텍스트가 환기하는 정서 등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판소리 작품에서 서정성이 실현되고 있는 양상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제4장에서는 인물의 감추어진 모습 보여 주기, 사건의 의미 구체화하기, 보편적 정서의 공유 등 세 가지 측면에서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실현이 갖는 의의를 고찰했다.
끝으로, 제5장에서는 판소리사의 초기에 이미 현재와 거의 같은 방식으로 판소리 텍스트에서 서정성이 실현되고 있었다는 사실과, 18세기 말부터 19세기 말까지 약 100년간의 융성기에 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이 더욱 강화되었다는 사실을 밝히고, 서정성 강화의 요인을 분석했다.
-
dc.description.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come to a concret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s of lyricism as realized in pansori texts, and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that lyricism. Over the past several decades, many researchers have shown an interest in pansori's character as a blend or compound of genres and have put forward a variety of arguments concerning this character. Genre studies and many other papers have allowed in-depth discussion of the narrative and dramatic characters of pansori texts. In contrast, however, the discussion of the lyricism of pansori texts has not been very lively. This would be only natural if it were difficult to find parts of pansori texts that exhibit lyricism. However, lyricism is in fact realized in many parts of pansori texts, and these parts comprise no small proportion of the whole, both in terms of quantity and significance. Therefore, despite the necessity for the study on lyricism in pansori texts, it has been put off.
The concepts of lyricism chosen for this study include the internalization of the world, and verse form or singing. If we apply these concepts to pansori texts, we discover that many partial texts that comprise a single pansori realize lyricism in the same way as lyric poetry. In this study, these partial texts were referred to as "pansori lyric texts" or simply "lyric texts," and they were dealt with as a special type of lyric poetry that has the restrictive condition of being part of a pansori work. These texts can be easily confused with songs included in pansori. Songs included in pansori, however, are simply parts of pansori texts that can be sung independently, so they are not necessarily related to lyric texts. Some songs included in pansori do contain lyric texts, but others are unrelated to lyric texts, while others can be considered lyric texts.
In order to systematically examine how lyricism is realized in pansori texts, this study first analyzed the structure of pansori texts. Pansori texts have a compound structure that consists of a compound textual form that alternates between prose and verse and a compound utterance form that alternates between the narrator's words, the characters' words, and the characters' singing. This compound structure with its two compound forms creates five types of texts: pro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narrator,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narrator, pro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characters,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characters, and verse that consists of the songs of the characters. Of these, the three types that are related to pansori lyric texts are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narrator,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characters, and verse that consists of the songs of the characters.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characters makes up the greatest part of pansori lyric texts, followed by verse that consists of the songs of the characters. Verse that consists of the words of the narrator is found only rarely.
In this study, the speakers in these three types of lyric texts, the situations being objectified in these lyric texts, and the emotions being aroused by these lyric texts were analyzed, and based on thes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e lyricism realized in pansori texts was examined. Finally, it was revealed that lyricism was being realized in pansori texts in the early days of pansori history in much the same way as it is realized today, and that the lyricism of pansori was even more prevalent during the one-hundred-year golden age of pansori, between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he factors behind this prevalence of lyricism were then analyzed.
-
dc.format.extent219-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810-
dc.title판소리 텍스트의 서정성 연구-
dc.title.alternativeA Study on the Lyricism of Pansori Texts-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Eugene Lee-
dc.description.degreeDoctor-
dc.contributor.affiliation국어국문학과-
dc.date.awarded2012-02-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06▲000000000011▲00000000237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