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8~20世紀 西海의 조기 漁業과 漁民文化
Redlip Croaker Fishing and Fishermen Culture of Seohae in the 18~20th Centu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오창현

Advisor
강정원
Major
인류학과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조기는 한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생선의 하나로서, 서해에서는 이를 어획하고 유통시키기 위해 독특한 어업기술, 유통관행, 어민문화가 발전되어 왔다. 본 연구는 서해의 조기 어업과 어민문화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관점에서 연구되었다.
우선, 본 논문은 의례품과 일용상찬으로 조기를 선호하는 조선의 민족적ethnic 관습이 18~20세기 어업기술, 유통관행, 어민의례를 어떻게 定向해 왔는지를 살피고 있다. 이는 문화가 공유되는 층위를 분명히 함으로써 현상에서 지역적 사실과 전국적 사실을 구분하고 동시에 양자가 조응하는 방식을 보여주고자 하는 본 논문의 첫 번째 이론적 기획과도 맞닿아 있다.
본 연구는 각 지역에서 수집된 다양한 사례들을 大衆魚 現象이라는 전국적․민족적 보편성에서 도출되는 지역적 특수성으로 이해하고자 했다. 지역적으로 다양하게 나타나는 민속현상은 조기를 선호하는 민족적․전국적 관습을 기반으로 각 지역의 생태적, 지리적, 사회적 조건에 따라 발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의미에서 조기에 대한 민족적 선호, 조기를 어획하고자 하는 욕구를 둘러싸고 이루어진 서해의 다양한 지역어업과 문화를 조기文化圈 혹은 조기文化複合이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서해 어업의 기술상 특징은 대형어선을 이용해 계절회유어종인 조기를 대량어획한다는 점에 있었다. 서해 전통어민들은 대형어선에 대형그물과 닻을 싣고 수십 명이 승선해, 특정 어기에 회유해 오는 특정 어종을 쫓아 장거리 이동하며 洋中어업에 종사하였다. 현지연구와 문헌자료를 통해 살펴본 網船과 中船은 수십 명의 선원들이 대형어선을 타고 먼바다로 나가 겨울과 봄철에 회유하는 청어와 조기를 대량어획하는 대표적인 漁法이었다. 中船과 마찬가지로 漁條網을 사용하는 柱木網은 정치성 어구에 속하지만 대형어선을 사용해 청어와 조기의 대량어획을 목적으로 이동식 조업에 종사해 왔다는 점에서 서해의 어업기술상의 특징을 여실히 보여준다.
이와 같은 대형어선어업의 발달과 더불어 조기를 전국으로 유통시키기 위한 나름의 독특한 제도와 관행으로 어선과 상고선 간의 해상매매, 장거리 전국유통업자인 객주와의 신용거래를 들 수 있다. 우선 조선 후기 발전한 대형어선어업과 洋中어업은 자연히 어장에서 멀리 떨어진 내륙 소비지로의 신속한 운반을 가능하게 하는 상고선의 발전을 필요로 했다. 특정 漁期가 되면 주요 어장에는 8도의 어선들, 즉 경남 어선은 물론이고 강원도, 함경도 어선까지 모여 상고선과 어선으로 사용되었고, 이는 波市라는 서해의 독특한 경관을 만들어냈다. 상고선에 의해 운반된 조기는 육지에서는 객주에게 넘겨졌다. 객주는 지역 내 어물상인인 어상과 구분되는 존재로서 신용을 기반으로 하여 외지인들의 화물을 내륙의 상인에게 유통시켜주는 존재였다. 조기는 어민, 객주, 상고선이라는 상호 의존적인 신용관계로 맺어진 세 축에 의해 전국 유통되었다.
한편 이동식 양중어업에 종사하던 어민과 이들을 쫓아다니던 상고선의 상인들은 바다에 대헤 독특한 관념과 세계관을 지니고 있었다. 조선시대 서해는 여러 개의 해역으로 구분되어 있었으며, 각 해역은 용(뱀대), 중서낭, 관우, 최영, 임경업 등 다양한 신격을 통해 표상되었다. 이러한 해역 구분은 지리적인 구분이었을 뿐 아니라 각 해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사건, 곧 역사적 전승과도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그런데 조선의 바다는 여러 해역으로 분할되어 각각의 신격에 의해 표상되고 있었음에도, 이를 포괄하는 보편적 상징으로 上字旗라는 의례품이 존재했다. 上字旗는 바다가 분할되어 통치되었으면서도 결국 조선왕조 아래 통합되어 존재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상징물이다. 어민의례에 사용되는 상징기를 통해 볼 때, 어민의 세계관은 조선해역→지역해역→선박 순으로 매우 중층적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상징물은 국가와 어민에 의해 공유되는 것이면서 동시에 각기 상이한 방식으로 전유되고 있었다.
그 다음으로 본 논문은 식민지기 조선의 정치경제를 통합하려는 일본의 식민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관습으로 인해 조선의 어업기술, 어물시장, 어민문화가 일정부분 독자성을 유지할 수 있었음을 보이고자 했다. 이는 문화, 관습이 인간행위에서 영향을 미치는 독자적 층위로 간주될 수 있다는 본 논문의 두 번째 이론적 기획과도 맞닿아 있다. 요컨대 조선 후기 조기(석수어)를 비롯해 특정 어물을 선호하는 민족적ethnic 관습은 전근대 중앙집권체계의 제도적 문화적 역사적 산물이면서 동시에 20세기 중반까지 진행된 유교적 가치의 확산과정을 가시적으로 보여주는 독자적 층위였다.
시장이 발달하지 않은 조선 초기에도 왕실의례와 貢納經濟를 중심으로 전국적인 어물생산과 유통망이 구축되어 있었다. 왕실의례를 위해 서울에서 수천, 수백 킬로 떨어진 바다에서 어획된 수백, 수천 마리의 물고기가 서울로 운반되어 소비되고 있었다. 조선 전기부터 왕실로 공급되던 물고기 중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한 것은 청어, 대구(이후로는 명태), 조기였다. 이러한 공물체계는 일찍부터 왕실과 양반을 비롯해 왕실 관계자들에게 특정 물고기를 공급하여 의례품을 동일화시키고 그들의 입맛을 길들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은 공물경제에 기반한 조선 전기 어업경제체제를 증여경제에 빗대어 소위 의례경제라고 부를 수 있을 것이다.
조선 후기 시장경제가 발달함에 따라 공물경제의 상당부분은 직접 상납이 아니라 시장경제를 경유해 이루어지게 되었지만, 어물은 자본주의적 관점에서의 상품과는 근본적으로 성격을 달리했다. 공물경제는 조선왕조의 국가질서, 국체유지의 근간이기에 이념적 측면은 여전히 유지되었기 때문이다. 조선 전기 왕실에 상납되는 다양한 공물 중에서 조기, 대구, 청어, 명태 등 이른바 大衆性을 띠는 물고기가 조선 후기 지역과 신분에 관계없이 의례품으로 소용된 이유는 조선 후기 사회가 의례적인 측면에서, 하층문화에 대비되는 고급문화가 아닌 보편문화를 지향했다는 점에서 찾을 수 있다. 大衆魚에 대한 선호, 곧 의례품의 전국적 동일화(및 계층적 평준화)는 사회정체성으로서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확산, 즉 양반화와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그리고 이와 같이 조선 후기 대중어를 선호하는 관습이 사회정체성과 관련되어 있다는 점은 그것이 경제적, 정치적, 사회(조직)적 층위와 구분되는 문화적 층위로 간주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논문은 大衆魚로서의 조기에 대한 선호와 어업기술, 상업관행, 어민문화 간에 일정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점에서 더 나아가 의례적 수요가 독자적 층위로서 어업과 어민문화를 정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일정 부분 독자적 층위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 조선과 일본은 선호어종의 차이에 따라 각기 다른 어업기술을 발전시켜왔다. 조선에서는 大衆魚의 대량어획을 위한 기술이, 일본에서는 高級魚의 어획을 위한 기술이 각기 발달해 왔다. 식민지기 한반도의 서해는 서로 상이한 두 가지 기술체계, 다시 말해 상이한 어종을 선호하는 두 가지 문화가 부딪치는 장이었다.
양국 간 선호어종의 차이는 근본적으로 음식문화와 의례문화라는 수요상의 차이에 기인하고 있었다. 이러한 수요의 차이는 조선과 일본 양국 간 어물시장의 통합을 어렵게 했고, 이는 서해에서 어업생산과 유통체계의 분리를 초래했다. 식민지 바다는 일본제국주의가 포섭한 거대한 시장경제의 한 부분으로서 일본인이 선호하는 어종이 어획되고 유통되던 곳이면서, 동시에 전통수요를 기반으로 한 조선의 어업이 새로운 기술도입에 대응하여 성장하고 있던 곳이었다. 그리고 이러한 식민지 二重 경제체계의 이면에는 大衆魚를 선호하는 조선인의 민족적ethnic 관습이 자리하고 있었다.
본 논문은 조선 초기에서 현재까지 면면히 지속되는 의례적 관습에 주목함으로써 한국 문화를 보다 연속성 상에서 이해하고자 했다. 일정한 관습은 과거 어느 시점에는 사회적 관계를 규정하고 행위를 구성하는 살아있는 실재, 사회의 형식이자 내용이었다. 그러나 당시의 사회적 맥락에서 벗어나 현대를 살고 있는 사람들에게 그것은 과거로부터 내려오는 舊習 혹은 사라져 버려야할 인습因襲에 불과할지 모른다. 이제 그것을 행하는 사람들조차 합리적으로 설명하지 못하고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이 되어 버린 것이다. 결국 사회적 형식은 사라지고 그것을 채우는 내용만 남게 된 것이다.
그러나 사회가 변동하고 사회적 맥락이 바뀔지라도, 그것을 채우는 내용은 그대로 남아 유지되며 현대인의 행위를 일정부분 규정하고 있다. 오늘날에도 여전히 도미, 방어, 연어, 다랑어가 아닌 전통을 연상하기 쉬운 조기, 명태, 대구가 제사상에 오르고 있으며 명절선물로 사용되고 있다. 조선 초기 왕실의 공물로 시작해 유교적 이데올로기의 확산과 함께 조선 후기 신분과 지역을 뛰어넘어 보편적 의례품으로 소용되어 온 조기는 지금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 사이를 오고가고 있다. 이런 의미에서 과거의 일부로서 민속은 현재에도 지속되고 있으며 인간의 합리적 선택은 문화(전승)에 의해 일정부분 영향 받고 있는 것이다.
Being the most favoured fish by Koreans, distinct fishing techniques, manner of distribution and fishermen culture that related to redlip croaker have been developed around Seohae (West Sea of Korea) area. As an anthropological study on redlip croaker fishery and fishermen culture of Seohae,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theme from following two perspectives.
First,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the ethnic custom of Joseon, wherein redlip croaker was favoured as a ritual material as well as an everyday eatery, has been orienting fishing technique, manner of distribution and the ritual of fishermen in the 18-20th Century. It is correspondent with the first theoretical project of this thesis, which classifies local and national phenomenon respectively and at the same time, demonstrates how to interact both phenomena by elucidating the levels of 'culture' being shared.
The research attempts to understand various cases from each regions as local particularity that results from national and ethnic universality of 'Mass-consumed Fish Phenomenon. Diverse folk phenomena from different regions are revealed according to ecological, geographical and social conditions of each region, which are based on the ethnic and national custom to favour redlip croaker. In this sense, one shall be able to identify various local fisheries and their cultures of Seohae, made upon the ethnic favour and desire to redlip croaker, as 'Redlip Croaker Culture Area' or 'Redlip Croaker Culture Complex'.
The technical features of Seohae fisheries was the use of a large fishing boat, enabling massive harvests of seasonal-migrating redlip croaker. Traditional fishermen of Seohae made groups of dozens, brought big fish nets and anchors onto their large fishing boat. They used to sail a long-range chasing after specific species coming in certain fishing periods. Mangseon(網船) and Jungseon(中船) were the representative bulk fishing techniques, that numerous groups of fishermen sailed to the offshore to catch herring and redlip croaker in winter and spring, as observed in fieldwork and documents. Similar to Jungseon, Jumokmang(柱木網) was a technique using fixed shore net. However, it clearly showed the regional particularity of Seohae fishery; a travelling fishery using a large fishing boat in the purpose of mass catch of herring and redlip croaker.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of large boat fishery, unique systems and customs for national distribution of redlip croaker were invented: seas-borne sale between fishing boats and small merchant ships as well as the sales on credit with 'Gaekju', who were long-distance buyers nationwide. The development of large boat fishery and offshore fishery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herently demanded the advancement of merchant ships, which enables quick delivery of fishes from offshore fishing banks to inland consumers. At the main fishing season, fishing vessels nationwide, used as merchant ships and fishing ships, gathered to main fisheries which created the unique scenery of 'Pasi(Market on Wave)' in Seohae. Redlip croaker that transported by merchant ships were handed over to Gaekju on land. Gaekju were distinct from inland Eosang (Fish Merchant)', for their using of credit to distribute the cargoes of people outside the region to inland merchants. Redlip croakers were nationally distributed upon these theree interdependent axis: fishermen, Gaekju and merchant ships.
Meanwhile, fishermen who were engaged in travelling offshore fishery and dealers on merchant vessels had their own unique notion and world view on the sea. During Joseon dynasty, Seohae was divided into several different waters, represented by their own deities such as dragon (snake), Jungseonang, Guan Yu, General Choi Yeong and General Yim Gyeong Eop. Such division of the sea was not a mere geographic compartmentation. It implies its close relation to the local transmission of historical event. In spite of the presence of representative local deities, there existed an universal symbolic figure covering all the waters: the flag of 'Sang (上)' character (Sangjagi), a ritual item. Sangjagi is an important icon which demonstrates that the sea was under the control of Joseon dynasty despite its being ruled divided. According to the examples of symbolic flags for fishermen rituals, fishermen had a multi-layered world view: from the Joseon sea to the regional sea then to the vessel. And this sort of symbolic icons were shared amongst the nation and the people while possessed in different ways respectively.
Next, this research aims to demonstrate that such custom enabled fishing techniques, fish markets and fishermen culture of Joseon to maintain their autonomous identity to some extend, in spite of the determination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to annex Joseon politics and economy. This is correspondent with the second theoretical project of this dissertation, that 'culture' and custom can be regarded as a independent layer which influences human behaviors. In brief, the ethnic custom to favour particular fish including redlip croaker in the late Joseon was a institutional·cultural·historical product of the premodern centralism as well as an 'independent level' that displays the process of confucianism expansion, which had been maintained until mid-20th Century.
In the early Joseon that lacked developed market system, network of fishing industry and distribution were existed nationwide only for royal ceremonies and tax contribution. For royal ceremonies, hundreds and thousands of fishes from thousands kilometers away were conveyed to Seoul and consumed. From the early Joseon, herring, cod (later pollack) and redlip croaker had been most supplied to the royal court. This early foundation of contribution system standardized the sort of ritual objects by supplying particular fishes to the court, the nobles and officials and eventually domesticated their tastes. Such fishery economy of early Joseon period based on the tax contribution could be named as 'Ritual Economics', in comparison to 'Grant Economics'.
With the development of market economy in the late Joseon, most part of tribute economy had transformed and adopted the network of market economy rather than practising direct tribute. However, marine products had fundamentally different nature from the 'merchandise' of capitalist perspective. The ideological aspect of tribute economy was still maintained since it had been the foundation of state order and official system for Joseon. In the sense that popular species such as redlip croaker, cod, herring and pollack among the various kinds of tribute of early Joseon were still used as ritual items in the late Joseon regardless of area and class, late Joseon society can be said to orient itself toward the idea of general culture instead of classification of lower and upper, in terms of ritual. Preference for popular fishes, which means the national standardization (and hierarchial equalization) of ritual objects, was closely connected to the spread of confucian ideology as the social identity: the conversion to Yangban society. This connection of custom preferring popular fishes in late Joseon with the social identity indicates the independent cultural level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economic, politic and social (systematic) levels.
This research also examines the interrelation between preference for redlip croaker as popular fish and fishing techniques, sales practice and fishermen culture. Further, that interrelation demonstrates the possibility of ritual demand would direct the way of fishery and its culture as an independent layer, as well as playing its own role as the independent layer. Joseon and Japan had developed different fishing techniques according to their own favorite fishes respectively. Whilst fishermen of Joseon have developed the skill to harvest a big haul of popular species, Japanese counterpart were keen on catching high-ranking fishes. Under the Japanese colonization, Seohae of Korean peninsula was a space where two different system and two different cultures preferring each different species were colliding with each o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favorite fishes of two countries were coming from the difference of demands for food culture and rite culture. This difference of demands made it difficult to combine the fish markets of Joseon and Japan which separated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scheme of fishes in Seohae region. Under the colonization, seas were part of huge market economy that the Empire of Japan have won: therein the fishes favoured by Japanese people were caught and distributed whilst fishery of Joseon, which had been based on the traditional demand, was developing upon the introduction of new techniques. Then, on the hidden side of this dual economic structure under colonization was the ethnic custom of Joseon people preferring popular fishes.
This dissertation aims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in terms of continuity, focusing on the ritual custom that has been passed down from early Joseon to now. Certain custom was a living reality determining social relationship, a social form and content at some point of past. However, for human beings living in modern society who are living out of the traditional social context, those kinds of customs might be nothing more than old fashioned practices or outdated traditions. Now, even people who are practising such customs cannot explain and understand the customs clearly. At last, the social form has disappeared and only the content survived.
Although the world and social context have been changed, the content is remained to regulate human behaviors to some extend. Still, fishes reminding of tradition, such as redlip croaker, pollack and cod are offered on ritual tables and presented as gift, rather than expensive snapper, white bait, salmon or tuna. Redlip croaker that was used as tribute to the court in early Joseon and later universal ritual object regardless of class and region in late Joseon, is still distributed as a popular species. In this sense, 'folklore' as a part of the past is still living in the present and 'rational' choices of human are influenced by culture (and its transmission) more or les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550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333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