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후기 금론(琴論)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선아

Advisor
황준연
Major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
Issue Date
2012-02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Abstract
조선후기 거문고보에는 琴에 관한 다양한 기록이 산재해 있다. 본고에서는 이를 금론(琴論)이라고 통칭하였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문헌에서 거문고(玄琴)는 중국의 고금(古琴)과 동명이물(同名異物)의 관계이며 통상 琴이라고 기록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거문고보에 기록된 금론이 중국의 고금에 관한 것인지, 우리나라의 거문고에 관한 것인지가 불분명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유입된 고금에 관한 고금론(古琴論)과 거문고에 관한 현금론(玄琴論)을 구별한 후, 이들을 다시 내용에 따라 금도론(琴道論)․학금론(學琴論)․금기론(琴器論)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조선후기 거문고보에 기록된 중국 고금론의 전거를 중국 문헌에서 찾아 그 실체와 성격을 파악한 후, 거문고보에서의 수용 양상과 이유 등을 논하였다. 다음으로 조선후기 중국의 고금론이 수용되는 상황에서 이루어지는 현금론의 전개와 그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조선후기 현금론 가운데 주체적 발전을 이룬 것과 고금론을 수용 또는 변용한 것의 전모를 파악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금도론(琴道論)은 내용에 의해 상징․유래․연주 규범으로 나뉜다. 상징에 관한 금도론에서는 유가(儒家)의 관념이나 사상이 반영된 고금의 상징체계를 도입하였고, 이를 거문고의 상징체계에 변용하였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유래에 관한 금도론을 통해서는 옛 성현(聖賢)과의 음악적 소통을 목적으로 고금의 유래를 수용하였고, 『삼국사기(三國史記)』(1145) 「악지(樂志)」의 거문고조를 재정리한 『양금신보(梁琴新譜)』(1610)의 거문고 유래가 17~18세기 거문고보에 거의 그대로 수용되었다가 19세기 이후 변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주 규범에 관한 금도론에서는 16세기 조성(趙晟, 1492~1555)이 만든 거문고 연주 규범과 유가의 사상이 반영된 고금의 연주 규범을 수용하여 조선후기 거문고의 연주 규범으로 삼았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조선후기 학금론(學琴論)은 내용에 의해 연주법․기보법으로 나뉜다. 연주법에 관한 학금론에서는 거문고에 유용한 것뿐 아니라 악기 연주법의 차이점 때문에 거문고에 직접 적용할 수 없는 고금의 연주법까지 도입되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고금의 연주법과는 별개로 거문고의 연주법이 주체적 발전을 이루었다는 사실도 확인되었다. 기보법에 관한 학금론에서는 악기 구조와 연주․기보법의 상이함 때문에 거문고의 기보에 직접 적용할 수 없는 고금의 기보법이 도입되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거문고의 기보법은 거문고 음악의 발달에 따라 오음약보(五音略譜)․합자(合字)․구음(口音)․타량법(打量法) 등이 병용되어 주체적 발전을 이루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다만 거문고의 합자 기호 중 한자(漢字)를 반자(半字)로 줄이거나 일부 획만 사용하는 문자 기호의 경우는 고금의 감자보(減字譜)에서 한자의 획을 덜어내어 기호를 만드는 원리를 변용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 금기론(琴器論)은 내용에 의해 악기의 구조․제작으로 나뉜다. 악기의 구조에 관한 금기론에서는 고금의 상징적 구조와 실측값에 근거한 구조가 시간차를 두고 순서대로 도입되었음을 확인할 수가 있었다. 그러나 이는 악기 구조의 차이점 때문에 거문고에 직접 적용할 수 없는 내용이다. 그리고 거문고의 구조는 『악학궤범(樂學軌範)』(1493) 이후 계속 실측값에 근거하여 설명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기 제작에 관한 금기론에서는 고금의 음양(陰陽)을 고려한 재목(材木) 선별에 관한 내용이 도입되어 거문고 제작에 활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거문고의 현을 이루는 실의 가닥수와 괘 사이의 거리를 실측값으로 기록하는 등 실제 쓰임을 염두에 두고 기록되었다.
조선후기 금론의 음악사적 의의는 첫째, 조선후기 금도론은 유가 악론(樂論)을 구체화하고, 거문고 음악과 연주를 통해 실현되어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찾을 수가 있다. 둘째, 조선후기 거문고 연주법과 기보법이 주체적 발전을 이루는 가운데, 거문고보에 중국의 학금론을 수용함으로써 고금 연주법에 대한 음악적 지식의 축적까지 가능케 되었다. 이로 인해 거문고 연주법과 절충된 고금의 연주법으로 ․․․․ 등을 연주하는 새로운 풍류방(風流房) 음악문화의 등장이 야기되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셋째, 조선후기 금기론은 조선후기 거문고 제작법의 발달을 보여주는 동시에, 오늘날 거문고 제작의 표준화 방안을 마련하는데 전통적인 토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가 있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금론(琴論)의 관심사는 고정되어 있지 않았고 16세기 유가 악론의 내면화와 실천에서 시작하여 17~18세기 유가 악론의 강화를 거쳐 19~20세기 초 유가 악론의 약화와 대신 실제적이고 실용적인 관심의 반영에 이르기까지 시간적 흐름 위에서 당대 사회의 역동적 변화와 맞물려 단계적으로 형성되고 변모하였다. 조선후기 금론은 사상적․음악적․사회적 필요에 의해 중국 고금론을 수용 및 변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보다 완전하게 되어 조선후기 문화 담론을 모두 수용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찾아갔다고 볼 수 있다.
Various kinds of records for Geum(琴), called 'Geum-ron(琴論)' in this thesis, are found in Geomungo-bo(琴譜) from the late of Joseon Dynasty. However, at the same time, the indication of Geum has not been clarified in those literatures, since Guqin(古琴), a chinese traditional qin was also designated Geum in many references as well as Geomungo(玄琴). In this thesis, the distinction between Guqin-ron(古琴論) on chinese Guqin and Geomungo-ron(玄琴論) on Geomungo is provided, each of which is further classifi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for examination: Geum-do-ron(琴道論), Hak-geum-ron(學琴論), and Geum-gi-ron(琴器論).
First, the sources of various Guqin-ron from Geomungo-b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re verified in chinese traditional literatures for the characterization and the study on the aspect and the reason of the introduction to the literature of Joseon Dynasty. Then, the development and the special features of Geomungo-ron under the influence of Guqin-ron is explained, which reveals the overall picture of the development of Geomungo-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a result of the self-growth or the introduction and modification of Guqin-ron.
Geum-do-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is categorized into the symbol, the origin, and the rule of performance by the contents. The Geum-do-ron of the symbol adopts and modifies the symbols of the Guqin which reflects the notion and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The Geum-do-ron of the origin adopts that of the Guqin for the musical consensus with ancient sages, from which it is shown that the origin of Geomungo appeared in Geomungo-bo of 17th and 18th centuries after being rearranged in Hyeongeumhyangbu(玄琴鄕部) of Yanggeumsinbo(梁琴新譜) in 1610 excerpted from Geomungo-jo of Samguksagi(三國史記) Akji(樂志) in 1145. It is also confirmed from the dropped or newly inserted contents that certain modification took place in the Geomungo-bo after 19th century. The study on the Geum-do-ron of the rule of performance shows that the performing rule of Geomung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originates from the basis founded by Jo-seong(趙晟, 1492~1555) in 16th century in addition to that of Guqin reflecting the ideology of Confucianism.
Hak-geum-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is categorized into the art of performance and the music notation by the contents. The Hak-geum-ron of the art of performance contains not only the performing skills of Guqin suitable for Geomungo but also improper ones for Geomungo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instrument.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art of performance of Geomungo had been developed independently from that of Guqin. The study on the music notation of Hak-geum-ron verifies that some notation of Guqin was introduced but could not be applied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s of the instruments, the performing skill and the music notation. The music notation of Geomungo was independently developed by way of Oeumyakbo(五音略譜), Hapja(合字), Gueum(口音), and Taryangbeop(打量法) according to the growth and the spread of Geomungo music. In some cases of Hapja symbols of Geomungo, chinese characters are written in a simplified character(半字) or with only selected strokes, in which the symbolic principle of the stroke reduction seems to have come from that of Gamjabo(減字譜) of Guqin after certain modification.
Geum-gi-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is classified into the structure and the manufacture of the instrument. The symbolic drawing and the surveyed structure of Guqin were successively introduced in the Geum-gi-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hich, however, could not be useful due to the structural difference of the instruments. It is also confirmed that the structure of Geomungo had been described always based on the surveyed figures since the release of Akhakgwebeom(樂學軌範) in 1493. The Geum-gi-ron on the manufacture of the instrument includes the contents on the selection rules of the wood based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theory of Guqin for the application to Geomungo. In addition,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threads composing the strings of Geomungo and the distance between neighboring Gwae(棵) is reported in the Geum-gi-ron based on the surveyed values for practicality.
As a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Geum-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rom the view point of the history of gukak:
First, Geum-do-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embodied the Ak-ron(樂論) of Confucianism, and has been realized and handed down in the music and the performance of Geomungo.
Second, the knowledge on the performing art of Guqin could be accumulated in Geomungobo by introducing the chinese Hak-geum-ron in addition to the independent development of the art of performance and the music notation of Geomungo. Consequently, the combination of the performing skills of Geomungo and Guqin triggered a novel music culture of Pungnyubang(風流房) where the performances of Yeongsanhoesang(靈山會相), Dodeuri(還入), Yeomilak(與民樂), Chwita(吹打), and gagok(歌曲) took place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Third, Geum-gi-ron shows the development of the art of manufacturing Geomungo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hich also provides traditional standards in today's production of Geomungo.
Therefore, the focus of Geum-ron varies from the internalization and the practice of Ak-ron in Confucianism in 16th century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Ak-ron in 17th and 18th centuries and finally to the weakening of the Ak-ron and reflection of the rise of practicality in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Additionally, Geomungo-ron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was further strengthened by the introduction or the modified adoption of chinese Guqin-ron responding to ideological, musical, and social demands, which entitled Geomungo-ron to include all the arguments of the late of Joseon Dynasty as Geomungo music led by Sadaebu(士大夫).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56718

http://dcollection.snu.ac.kr:80/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2025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