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Individual Psychological Needs and Radical versus Incremental Creativity : 개인의 심리적 욕구가 조직 구성원의 혁신적 및 개량적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지식관리 행동의 매개 효과
Mediating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Buyannemekh Nokhoijav

Advisor
최진남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혁신적 창의성개량적 창의성심리적 욕구지식 공유 행위지식을 전달받는 행위팀 내 지식의 가치 중요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경영대학 경영학과,2019. 8. 최진남.
Abstract
동기 성향 이론(motive disposition theory, MDT)과 자기 일치 모형(self-concordance model)에 기반하여, 본 연구는 개인의 심리적 욕구 (성취 지향성, 관계 지향성, 영향력 지향성)가 개인의 혁신적, 개량적 창의성을 촉진하는 요인임을 밝혀낸다. 나아가, 사회적 교환 이론(social exchange theory, SET) 및 상호 호혜의 규범(norm of reciprocity)에 따라서, 지식 공유 행위와 지식을 전달받는 행위를 포함하는 종업원 지식 관리 행동(knowledge management behaviors, KMBs)이, 서로 다른 개인의 심리적 욕구의 차원과 두가지 형태의 창의성 간의 관계를 매개하고 있는지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특성 활성화 이론(trait activation theory, TAT)의 이론적 관점을 활용하여, 팀 내 지식의 가치 중요성(value importance of knowledge)이 개인의 심리적 욕구-지식 관리 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도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델과 가설은 한국의 리더 75명과 그들이 관리하는 209명의 구성원들로부터 수집한 데이터를 통해 실증되었다.
분석 결과, 세가지 심리적 욕구 가운데, 성취 지향성이 혁신적 창의성과 개량적 창의성 모두를 높이는 유의한 예측변수임이 확인되었다. 관계 지향성은 개량적 창의성에 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식 공유 행위는 세가지 심리적 욕구 모두에 의해 예측되는 반면, 지식을 전달받는 행위는 성취 지향성과 관계 지향성으로 예측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분석 결과는, 팀 내 지식의 가치 중요성과 심리적 욕구의 상호작용이 개인의 지식 공유 행위 및 지식을 전달받는 행위를 촉진시킨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지식 공유 행위와 지식을 전달받는 행위는 두 종류의 창의성 모두에 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Drawing on motive disposition theory and self-concordance model, this study identifies individual psychological needs (need for achievement, need for affiliation, and need for power) as distinct facilitators of individual radical and incremental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s knowledge management behaviors (KMBs), specifically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receiving,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dimensions of individual psychological needs and the two distinct forms of creativity is also examined with social exchange theory and norm of reciprocity as basis. In addition, this study adopts the theoretical view of trait activation theory to investigate value importance of knowledge as a moderating contingen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psychological needs and KMBs. The proposed theoretical model and hypotheses were empirically tested on the basis of data collected from 75 leaders and their immediate 209 members in Korea.
Results revealed that, among the three psychological needs, need for achievement is a significant positive predictor of incremental and radical creativity. Need for affiliation is positively related only to incremental creativity. Knowledge sharing is positively predicted by all three types of psychological needs, whereas knowledge receiving is predicted only by the need for achievement and need for affiliation. The interaction effects of value importance of knowledge and psychological needs triggers individuals engagement in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receiving. Finally, knowledge sharing and knowledge receiving are positive significant predictors of the two types of creativity.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094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41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