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아파트 공급유형별 주호평면의 공간적 특성 비교 분석 : A Comparative Study on Spatial Characteristics of Apartment Unit Plans According to Housing Supply Types - Focused on Wirye, Seoul -
위례신도시를 대상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한규빈

Advisor
최재필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파트공급유형단위평면주거공간소득계층공간구문론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19. 8. 최재필.
Abstract
Apartment, in which almost a half of the population lives, has become the most common housing type in the aspect of not only area but also social class in South Korea. It is Koreas unique dwelling culture to have apartment the most common housing type since most countries consider apartment low-income housing. Through precedent researches on apartment unit plans, it is now a known fact that the successful settlement of apartment in Korea was due to the unit plans actively responding to socio-cultural changes. However, since those researches were only focused on the unit plans of the middle-class who were the most popular subjects of apartment, it is not yet known if the unit plans of the other social class has been adapting the socio-cultural changes as well.
With the fact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living in apartment has ever been increasing throughout all social classes, this study compares apartment unit plans according to the housing supply types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housing supply type unit plan in the socio-cultural aspect. In order to compare unit plans with different floor areas and different number of rooms, Space Syntax that enables to quantify spatial characteristics is used for quantitative analysis. Through integration value of Space Syntax, the differences among unit plans of each housing supply type is statistically found as well as the factors in the perspective of architecture. Additionally, the different attributes of resident groups of each housing supply type is considered to find problems of current unit plan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Kitchen is found to show distinction most clearly among different housing supply types. The higher income residents the unit plans are designed for, the farther from the center of the unit plans the kitchens are placed and separated from other space including dining area. The tendency of kitchen separated from the dining area and isolated by some physical objects such as counter tops can be seen as a result of adaption to socio-cultural change related to dining culture. Cooking has become a nont-daily activity due to the development of deliveries and convenience food, and the increased proportion of dining out, resulting kitchen shifting from the center of dwelling space. However, such tendency of kitchen plan is only shown in higher income residents unit plans. It is considered socio-cultural change has not yet been adapted to the lower income residents unit plans since they have a clear difference from the other social classes in both the proportion of separate kitchen and the level of division from other spaces.
Livingroom appear to be public space in every housing supply type. Despite of the expectation livingrooms spatial characteristics would depend on the location since it is the largest space among other living spaces, it is found the location of livingroom does not impact spatial characteristics. Since the size of families has become smaller with decreased birthrate, the number of family members has decreased even in the larger unit plans. As a result, livingrooms function as transition space has declined while the other function as a communal space among family members has been retained. However, it is also found that the tendency of planning livingroom in the center when the unit plans are large, and it seems the attempt to maximize the function of livingroom shows in planning livingroom in the center maximizes the function.
Outdoor spaces integration values are statistically different in Public Rental and Private Rental Housing, and the factor is found in corridor space. While Private Rental Housing units have long corridor space when entering the living space, Public Rental Housing units only have small transition space from outside to the bedroom. The lower integration value of outdoor space in Public Rental Housing can be interpreted as the attempt to isolate the living space from outside. Public Rental Housing lacks transition space, and as a result, the will to separate living space from outside results in such spatial characteristics. Significance of individuals and the importance of privacy has been increasing, and therefore, for adaption of such socio-cultural change, it is necessary to find some ways to furnish with enough transition space in every housing supply type.
The main bedroom of Private Housing has statistically higher integration value than Private Housing, and the factor is found in the number of ancillary rooms. The main bedroom of Public Housing is planned as a master bedroom with a bathroom, dressing room and even inner sanctum. However, only Long-term Rental housing among Public Housing types has an ancillary room which is a bathroom, and none of the unit plans of National Rental Housing has an ancillary room in the main bedroom. It is interesting Long-term Rental Housing unit plans differ from the ones of Private Rental Housing with the same floor area in that the main bedroom is planned to have three ancillary rooms even though the actual bedroom size becomes smaller in Private Rental Housing. Such spatial characteristics of Private Rental Housings main bedroom seems to be related to the change in the significance of husband and wife in family due to the decreased birthrate and size of family. It hardly seems the unit plans of lower income families are adapting socio-cultural changes when it comes to the plan for main bedroom.
However, the other bedrooms are found to be planned without any discrimination among different housing supply types. From the very past to the present, they are the most private space located at the end of circulation.
This study compares unit plans which were planned in similar time frame in order to analy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housing supply type by deducting the socio-cultural traits inherent in spacial configuration. Through finding out the factors of differences in the architectural perspective, problems are identified in unit plans of low-income class housing supply types in the aspect of resident group traits. The factors causing differences among housing supply types can be used to improve unit plans regarding residents and their socio-cultural trait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apartment unit plans according to the housing supply types including the ones of the very low-income class which has never been attempted.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raises the need, when planning apartment unit plans, to consider resident group traits which varies according to different housing supply types.
우리나라 아파트는 인구의 절반 가까이를 수용하며, 도시지역 뿐만 아니라 모든 지역에서 모든 소득계층을 아우르며 거주 비율이 증가하고 있는 주택 유형이다. 아파트는 중산층 혹은 저소득층을 위한 주택 유형으로 간주되는 대부분의 나라와 달리 아파트가 대표적인 주택 유형으로 자리 잡은 것은 우리나라만의 주거 문화라고 할 수 있다. 아파트 단위주호 평면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아파트가 우리나라의 사회문화적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반영했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그러나 이는 모두 가장 대중적인 중산층의 아파트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로, 경제적 여건이 다른 소득계층의 아파트에도 사회문화적 변화가 알맞게 반영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본 연구는 모든 소득계층에 걸쳐 아파트 거주 비율이 증가하는 트렌드에 맞춰 아파트 단위평면을 공급유형별로 비교하여 공간적 특성을 사회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전용면적과 공간의 수가 서로 다른 공급유형을 비교하기 위해 공간적 특성을 수치적인 값으로 산출하여 정량적인 분석이 가능한 공간구문론을 사용하였다. 각 실의 공간적 특성을 수치화하여 공급유형별 차이를 통계적으로 확인하고, 그 요인을 단위평면의 계획적·형태적 측면에서 밝혀냄으로써 각 공급유형의 주거공간 계획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를 공급유형별 거주자 집단의 특성과 함께 다루어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공급유형별 단위평면 계획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공급유형별로 공간적 특성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난 공간은 주방으로, 높은 소득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공급유형의 단위평면에서 식당과 분리되며 주거공간의 중심에서 멀리 배치되는 경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주방과 식당이 분리되고 독립적 공간으로 계획되는 것은 요리의 비일상화와 배달음식 및 외식의 증가와 같은 사회문화적 변화가 반영된 결과로 볼 수 있는데, 분리 여부나 공간적 위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저소득층 대상 공급유형의 단위평면 주방에는 사회문화적 변화가 제대로 반영되지 않은 것으로 사료 된다.
거실은 공급유형에 상관없이 높은 통합도를 가지는 공적 성격의 공간으로 나타났다.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는 공간으로 배치되는 위치에 따라 공간적 특성이 달라질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어느 위치에 배치되더라도 공적 공간으로 계획된다. 더 이상 전용면적이 큰 단위평면이라도 반드시 가구원 수가 많은 가구가 거주하는 것은 아니게 되면서, 거실은 전이공간의 기능이 감퇴되고 가족 구성원의 공용생활공간으로의 기능을 유지하고 있는 것이다. 가족 구성원의 수가 줄어들면서 구성원 간 전이공간에 대한 중요성이 감소하여 거실이 중앙에 배치될 필요성도 감소하였으나, 면적에 여유가 있는 경우에는 거실을 중앙에 배치하려는 경향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아 거실의 기능을 최대화하려는 시도가 거실을 중앙에 배치하는 것으로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외부 공간 통합도는 공공임대와 민간임대아파트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 두 공급유형의 단위평면 계획을 살펴본 결과 그 요인은 복도 공간으로 나타났다. 민간임대아파트에서는 주거공간을 출입할 때 긴 복도 공간을 거치는 반면, 공공임대아파트는 외부로부터 주거공간을 진입할 때 작은 전이공간을 거치면 바로 개인적 공간인 침실로 연결되거나 거실 또는 주방이 바로 연결된다. 외부 출입 경로가 짧은 공공임대아파트가 더 낮은 통합도를 가지는 것은 외부로부터 격리하려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민간임대아파트는 외부의 사회와 내부의 개인 공간에 완충 공간이 있으나 공공임대아파트는 두 공간이 가까이 연결되는 느낌을 주는 공간적 특성으로 인해 오히려 더 외부와 주거공간을 분리시키려는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개인의 삶과 프라이버시가 중요해진 현대사회에 맞춰 면적의 여유가 없는 저소득층 대상의 주거공간에도 외부와의 완충공간을 마련해줄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안방은 민간아파트가 공공아파트보다 유의한 차이로 더 높은 통합도를 가지는데, 이는 화장실, 드레스룸, 서재 등의 부속실을 갖춘 하나의 마스터 공간으로 계획되기 때문이다. 공공아파트 중 안방에 부속실이 있는 경우는 화장실이 딸린 장기전세아파트뿐이며, 국민임대아파트 중에는 안방에 부속실이 계획된 경우가 전무하다. 같은 전용면적을 가진 장기전세와 민간임대아파트 평면을 비교했을 때, 민간임대아파트에서는 안방의 크기가 작아지더라도 안방의 드레스룸과 파우더룸을 따로 계획하나, 장기전세아파트에서는 드레스룸을 안방 화장실로 가는 복도 공간을 겸해 계획하는 등 차이를 보였다. 출산율 및 가족 구성원 수가 줄어들면서 주거공간 중 부부 공간의 의미가 달라진 현대사회에서 안방 구조가 변화 없이 고착화되어있는 점은 문제점이라고 할 수 있다.
침실은 모든 아파트 공급유형에서 동일하게 사적 공간으로 계획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침실은 과거부터 주거공간에서 발코니를 제외하면 동선의 가장 끝에 배치되어 문을 걸어 잠그면 달리 출입할 방법이 없는 가장 개인적인 공간으로 계획된다.
본 연구는 위례신도시를 대상으로 동일 시점에 공급된 아파트를 대상으로 단위평면을 공급유형별로 비교하여 공간 구조에 내재한 사회문화적 속성을 밝혀냄으로써 공간적 특성을 분석했다. 이를 통해 공급유형별 아파트 거주자 집단 특성 측면에서 단위평면의 문제점을 도출하고, 단위평면의 계획적 측면과 평면 형태 측면에서 공급유형별로 차이를 일으키는 요인을 찾아냈으며, 이는 추후 아파트 단위평면 계획 시 거주자 특성이나 사회문화적 측면에서의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는 그동안 이루어지지 않았던 아파트 단위평면을 공급유형별로 비교하고 분석하는 연구로써 동일 시점에 공급된 아파트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아파트 공급대상이 달라짐에 따라 단위평면의 공간적 특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아파트 공급대상이 다양해진 현대사회에 맞춰 공급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공간적 특성을 가진 단위평면과 거주자의 적합성에 대한 고찰의 필요성을 제기한 것에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099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91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