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1930년대 과학운동의 특징 분석 : An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Movement in the 1930s by Text Network Analysis : Focusing on Science Joseon and The Dong-A Ilbo
과학조선과 동아일보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형문

Advisor
송진웅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1930년대 과학운동과학조선동아일보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학대중화발명학회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물리전공),2019. 8. 송진웅.
Abstract
우리나라의 근대 과학기술사에 대한 이전의 연구들은 과학기술에 대한 지식을 먼저 접한 일부 지식인들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이뤄졌다. 서양 문물을 접한 지식인들이 과학 지식을 받아들이고 전파하려는 과정을 다뤘고, 1930년대 과학운동에 대한 연구에서도 비슷한 경향성을 보인다. 그러나 1930년대 과학운동은 김용관이나 이인 같은 소수의 사람들에서부터 출발했지만, 본격적인 전개와 함께 과학과 직접적인 연관성이 없는 사회 명사들도 다수 동참한 운동이었다. 또한 대중들이 본격적으로 함께 하기 시작한 운동이었으므로, 당시의 사회 속에서 오갔던 이야기들을 바탕으로 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은 대량의 텍스트에 대해 질적이면서도 양적인 연구가 가능한 방법이다. 또한 단어의 관계 속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으며, 다양한 형태의 시각화로 다양한 해석의 시도가 가능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적인 문헌 연구와 다르게 1930년대 조선의 대중매체 동아일보와 과학조선의 기사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1930년대 과학운동의 목적과 특징에 대해 분석하면서, 과학운동의 과학교육사적 의의를 새롭게 찾고자 하였다.
주요 분석 대상은 일제 강점기 동아일보의 과학 관련 기사와 칼럼, 과학조선 창간호의 칼럼이었다. 동아일보 기사에 대해서는 시기에 따른 기사 구성 변화 분석과 단어 간 네트워크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동아일보와 과학조선의 칼럼에 대해서는 토픽 모델링 분석을 바탕으로 연결 중심성 분석과 토픽 관련 단어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을 동시에 진행하였다.
동아일보의 과학 관련 기사 제목에서 나타나는 단어 간 네트워크를 분석한 결과, 1933년 6월 이전에는 과학 노드가 사회와 학생 노드와 연결되면서 사회과학을 나타내는 말로 쓰였으나, 이후에는 과학데이 노드가 조선, 건설, 문화 등의 노드들과 연결되면서 과학운동의 노선 중 하나인 조선 사회 전반의 과학화와 관련을 맺기 시작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933년 6월 이전 동아일보의 발명 관련 기사 제목에서의 단어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전신, 기차와 같은 외국 발명품 관련 단어들이 연결되어 나타났는데, 이후 발명학회의 재건과 함께 특허, 출원, 수속 노드 등과 같이 조선인의 발명과 관련된 단어 네트워크가 형성되어 나타났다.
과학조선 창간호 칼럼과 동아일보의 과학데이 관련 칼럼에 대해 토픽 모델링 분석을 진행한 결과, 모두 이화학 연구 기관의 필요성이 토픽 중 하나로 나타났다. 이는 당시 과학운동을 이끌던 사람들의 숙원 사업이었음을 보여준다.
과학조선의 창간호 칼럼에는 기관이 연구와만 연결되어 나타났으나, 동아일보의 과학데이 관련 칼럼에는 기관이 보급, 지식과 연결되어 나타났다. 이는 과학데이 행사를 통해 과학 지식의 보급이 본격화되기 시작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를 통해 당시 과학운동에서 언론의 도움이 큰 역할을 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당시 과학대중화 운동이 실생활과 관련된 과학기술이라는 대중의 요구를 반영해 진행됐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도 적절한 데이터 처리과정만 있다면 과거의 문헌 또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과 같은 빅데이터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다양한 과거 문헌의 디지털 자료화를 통해 좀 더 다양한 텍스트 데이터 분석과 연구가 가능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향후에는 일제 강점기 이전의 과학 관련 사료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으로 근대 과학 개념의 유입과 변화 과정에 대한 구체적 탐색이 진행되어야 하며, 동아일보 외의 신문을 대상으로 과학 운동이 미친 영향에 대한 추가 분석이 필요하다. 또한 이후의 사료에 대한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과학운동 노선의 변화과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한다.
Previous studies on the history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the modern era were centered on the discussions on some intellectuals who had been introduced to the western science before others did.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rocess of accepting and spreading the scientific knowledge by those intellectuals who witnessed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studies on the science movement in the 1930s also showed similar tendency. The science movement in the 1930s was started by a few people such as Kim Yong-gwan and Lee Yin, but many influential figures in the society who were not directly related with science als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with full-scale development of science. It was also a movement that the general public widely participated. Therefore, there is also a need for understanding the social discourse around the science movement.
Text network analysis is an approach to study large amounts of text in both qualititative and quantitative formats. Also, a meaning can be discovered from the relationships of words, and various interpretations can be attempted by means of various forms of visualization.
This study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articles in Dong-A Ilbo and Science Joseon, mass media of Joseon in the 1930s, unlike the traditional literature review. Through this, I aimed to find a new significance of science movement in history of scientific education, by analyzing the purpose and characteristics of science movement in the 1930s.
Major objects of analysis were science-themed articles and opinion pieces in Dong-A Ilbo󰡕 and the inaugural issue of Science Joseon. Regarding articles in Dong-A Ilbo, I analyzed how the organization of articles changed over time, and conducted a network analysis between words and regarding the opinion pieces in Dong-A Ilbo and Science Joseon and also conducted a connection centrality analysis and a network analysis of topic related words simultaneously based on topic modeling analysis.
As a result of network analysis between words in the titles of articles related to science in Dong-A Ilbo, I found that science nodes were connected with society and student nodes to refer to social science before June 1933, but after then, Science Day node began to be related to scientification of the entire Joseon society, one of science movement lines when it was connected with Joseon, construction, and culture nodes.
Also, in the word network of the titles of articles related to invention in Dong-A Ilbo before June 1933, it appeared that foreign invention-related words like wireless, telegraph, and train were connected. After then, with reconstruction of Invention Society, the word network related to invention of Joseon people like patent, application, and procedure nodes were formed.
As a result of topic modeling analysis of the opinion pieces of the initial issue of Science Joseon and Science Day-related opinion pieces in Dong-A Ilbo, I found that necessity of science research institutes appeared as one of the topics. This shows that it was a primary goal of the people who led the science movement.
In the opinion pieces of the inaugural issue of Science Joseon, institute was connected with research only, but in Science Day-related opinion pieces in Dong-A Ilbo, institute was connected with supply and knowledge. This shows that the spread of scientific knowledge began through the Science Day event.
From this study, I found that the help of the publications played a major role in the science movement. Also, it was found that the science popularization movement was driven by reflecting the popular demand of scientific technology related to real life. Besides, I demonstrated that by an appropriate data processing process, the existing literature could be analyzed through big data analysis such as text network analysis. More diverse text data analyses and researches should be made through digital database of diverse literature in the past.
In the future, more specific exploration on the introduction and change of modern scientific concept in modern Korea is necessary through text network analysis of the historical sources related to science before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additional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science movement is needed drawing on the newspapers other than Dong-A Ilbo. Also, regarding the historical sources after then, research on the science movement line changing process should be conducted by text network analysi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29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