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내외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 -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시민 실천가의 양성을 초점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나은

Advisor
최승언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기후변화교육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분석시민 실천가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과학교육과(지구과학전공),2019. 8. 최승언.
Abstract
Climate change is one of the major socioscientific issues and one of the greatest potential risks facing modern society. Climate change education (CCE) needs to be aimed at cultivating citizens who will actively take action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in addition to making decision on issues. This is in line with scientific engagement(Aikenhead, 2007) and activism(Bencze & Carter, 2012; Hodson, 2010), emphasized recently in science education and SSI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CCE programs for action-oriented CC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how CCE is being implemented.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clarify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CE programs by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m, focusing on cultivating citizen activists to cope with climate change.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climate change response and activism, we have developed analysis frameworks for the structure and contents of CCE programs.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structure of CCE programs consists of 5 areas(object, form, degree of detail, range of contents, activity elements). And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tents of CCE programs consists of 2 large areas(potential and practical areas), 4 medium areas(knowledge, skill, value and attitude, participation and action) and 14 sub-areas. Among the total 48 CCE programs collected, 16 programs were analyzed.
As a result of the study, most of CCE programs wer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y mainly emphasized argumentation, decision-making, data analysis, and surveys. It also has been confirmed that action-emphasized CCE programs were relatively balanced compared to the other programs, but there still needs to be improved. The objects of CCE programs should be expanded and diversified. CCE should be implemented as part of integral education. With regard to the sub-areas of the analysis framework for the contents of CCE program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planning for actions in authentic contexts, and to extend the level of actions to the socio-political level.
기후변화는 과학과 관련된 중요한 사회적 쟁점(SSI, socio scientific issues) 중 하나로서, 현대 사회가 직면한 가장 큰 잠재적 위험 중 하나이다. 이에 대해 기후변화교육은 이슈에 대한 의사결정에서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실천할 수 있는 시민의 양성을 목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이는 최근 과학교육 및 SSI 교육에서 강조되는 과학적 참여(scientific engagement)(Akikenhead, 2007) 및 실천주의(activism)(Bencze & Carter, 2012; Hodson, 2010)와 맥락을 같이 한다.
이러한 실천 지향적 기후변화교육의 방향성에 기반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및 발전을 위해, 우선 현재 기후변화교육이 어떻게 실천되고 있는지 현황을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대응 시민 실천가의 양성을 초점으로 국내외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문헌 연구 및 프로그램 분석 연구로서, 기후변화의 대응 및 실천주의(activism) 관련 문헌 연구를 통해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구조와 내용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구조 분석틀은 총 5개 영역(대상, 형태, 구체화 정도, 내용 범위, 활동 요소)으로 구성되며,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내용 분석틀은 총 2개 대영역(잠재적 측면, 실행적 측면), 4개 중영역(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참여 및 실천), 14개 세부영역으로 구성된다. 수집한 국내외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총 48개 중, 16개 프로그램을 분석 대상으로 표집하여 개발한 분석틀에 따라 프로그램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기존의 국내외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은 대부분 초등학교급에 집중되었으며, 논증 및 의사결정, 자료 해석, 조사 활동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었다. 또한, 지식과 기능 영역의 반영 비율이 높은 것에 반해 가치 및 태도, 참여 및 실천 영역의 반영 비율은 낮았다. 기후변화 대응 실천이 강조된 프로그램은 기후변화 대응 실천이 부족하게 반영된 프로그램에 비해 프로그램의 내용이 상대적으로 균형 있게 개발되었으나, 기후정의, 세계시민의식과 같은 가치 및 태도 영역의 부족, 대응 행동 계획의 맥락 간 혹은 대응 행동 실행 수준 간 반영 격차(gap) 등의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해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의 확대 및 다양화, 인성적·정의적·실천적 측면 등을 고르게 융합한 전인교육 일환의 기후변화교육, 실제적 맥락에서의 대응 행동 계획 증대, 기후변화 대응 행동을 사회적 수준으로 확장하는 것 등의 개선을 통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의 내실화가 요구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0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5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