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중등체육교사의 스마트교육 활용 양상과 효과 탐색 : A Study on the Utilization and Effect of Smart education for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언종

Advisor
이옥선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 체육수업자원기반학습 모형스마트 기기스마트 기술어플리케이션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체육교육과,2019. 8. 이옥선.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ocess, practice pattern, and effects and influencing factors of the practice of smart physical education through practical cases of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 in secondary physical education teach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Second, how physical education teachers practice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ird, what are the effects and influential factors of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was carried out for a total of 10 months from September 2018 to June 2019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The research process was largely divided into three phases: planning,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finalization. A total of eight secondary sports teacher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analysis, classroom observation and local documents. For data analysis, the spiral data analysis presented by Creswell & Poth (2017) was used to follow the steps of transcription, topic-specific abbreviation, and topic generation. In addition, the research integrity was secured by using methods of multilateral analysis, review by research participants, and consultation among colleagues.
As a result of the research and discussion, the teachers who practice smart sports classes were able to practice smart sports through a three-step process (realizing the need for smart sports classes - preparing for implementation of smart sports classes - correcting tools to be used in smart sports classes) with common tendencies such as Early-Adapter, Positive-Energy, and Sports-Lover. Early-Adapter's innovation, explorer's characteristics and fashion leader's characteristics influenced the educational outlook of physical education classes to foster core competency in the future, Positive-Energizer's challenge affected the gym to foster positive passion, and Sports-Lover's propensity to enjoy sports has affected the gym. And in the process of implementing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 realized the need to practice for teachers and students in the 'realizing the need for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ase. In the 'Preparation for Implementing Smart Physical Education' phase, the teachers set up a learning strategy to check and utilize the feasibility of smart sports classes. In the 'Designating tools for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phase, a number of smart devices, smart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were used to utilize video media.
Second, the patterns of smart sports classes could be examined in six stages (task presentation, strategy design, information search and acquisition, integration and use of information, task resolution, task assessment) and educational contents used in the classes were used as tools for gathering information, collaboration, reflection and in smart educational elements, increased interaction, athletic functions, knowledge improvement, and environment factors were limited in smart education, and learning environment. As the educational contents used in class are used as tools for gathering information, collaborating and reflection, the Smart Education element is used to increase the interaction, to improve the exercise function and knowledge, and to overcome limi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environment in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element, And in the smart learner element, there was an increase in learning motivation and a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During the Task presentation phase, it helped students focus more on and understand their classes by using smart devices, smart technologies, and applications to deliver knowledge and collaborate on quiz activities. In the 'Strategy design' phase, cooperative learning strategies and individualization learning strategies were used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the process of selecting and rearranging information and to design classes so that knowledge could be learned by individual, self-directed, and level In the 'Information search and acquisition' phase, the classes were conducted to explore information using smart devices and the classes were secured using smart technology to watch using smart technology. In the 'Integration and use of information' stage, information gathered by each group members was selected and integrated by utilizing the application. In the 'Task Resolution' phase, the video was produced through a comprehensive set of information and the records of the class activities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or group using the application. In the 'Task Assessment' stage, we could use smart devices and applications to check the patterns of self-diagnosis assessment through checklists and capacity diagnosis assessment by group. In the aspect of education contents used in this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 firstly, image contents were main content in the content type of content, and QR contents and document contents were also utilized for communication functions. In the lesson contents, mainly the image type data was mainly used, and the document type data was also utilized, and functions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transmission function were performed outside the class time.In addition, class contents were used as tools for information gathering, communication, collaboration, reflection and simulation through various smart devices and applications.
Third, the effectiveness of implementing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s the effectiveness of using various learning resources, the effectiveness of self-directed learning, the effectiveness of individualized learning, high satisfaction in class through thorough preparation, motivation through student-centered activities, and the development of students' future competencies. The three factors that influence the implementation of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were explored from three perspectives: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whether to establish a smart education environment,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chool crisis, teacher factors such as will to practice and will to participate. It is a 'promotional factor' that helps implement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the environment and school environment prepared, teachers' will to implement them strongly, and students' will to participate in classes and classes that are familiar to them. On the other hand, there are limitations in practicing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which are limited factors such as the lack of environment factors, the lack of school atmosphere, the weak will to practice teachers, the difficulty in practicing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Complicated classroom operations, and complaints about class participation.
Finally, the following are suggested in terms of implementing smart physical education and follow-up research.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first, accurate understanding of smart education is needed before practicing smart physical education. Second, teachers must change to practice smart physical education. Third, in order to practice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In terms of follow-up research,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more on 'smart education' and 'smart learners' rather than smart education environments in smart physical education research. Second,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effects of research subjects through practical research of various classes of smart physical education. Third, smart physical education classes need to move on from the school field and find out what aspects and effects are found in sports for all and elite sports.
본 연구는 중등체육 교사의 스마트 체육수업 실천 사례를 통해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기까지의 과정, 실천 양상, 그리고 효과 및 영향요인을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로는 첫째, 체육 교사들은 어떠한 과정을 통하여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는가, 둘째, 체육 교사들은 스마트 체육수업을 어떻게 실천하고 있는가, 셋째, 스마트 체육수업의 효과와 영향요인은 무엇인가로 설정하였다.
연구는 질적 연구 방법으로 2018년 9월부터 2019년 6월까지 총 10개월 동안 수행되었으며, 연구의 절차는 크게 계획 수립 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의 단계, 결과 정리의 단계와 같이 세 가지로 진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총 8명의 중등체육교사였으며,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 문헌분석, 수업관찰, 현지문서를 통해 이루어졌다. 자료 분석의 경우 Creswell & Poth(2017)가 제시한 나선형 자료 분석을 활용하여 전사, 주제별 약호화, 주제 생성의 단계를 따랐다. 더불어, 다각적 분석, 연구참여자에 의한 검토, 그리고 동료 간 협의의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및 논의로, 첫째,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교사들은 Early-Adopter, Positive-Energizer, Sports-Lover 등의 공통적 성향을 갖고 세 단계의 과정(스마트 체육수업의 필요성 깨닫기-스마트 체육수업 구현 준비하기-스마트 체육수업에 활용할 도구 정하기)을 거쳐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게 되었다. Early-Adopter의 혁신가 특성, 탐험가 특성, 유행선도자 특성은 미래핵심 역량 함양을 위한 체육수업의 교육관에 영향을 끼쳤고, Positive-Energizer의 도전가 특성, 긍정가 특성은 긍정적 열정을 키우기 위한 체육수업 교육관에 영향을 끼쳤으며, Sports-Lover의 성향은 스포츠를 즐기기 위한 체육수업 교육관에 영향을 끼쳤다. 그리고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기까지의 과정에서, 스마트 체육수업의 필요성 깨닫기 단계에서는 교사와 학생을 위하여 실천의 필요성을 깨닫게 되었다. 스마트 체육수업을 구현하기 위한 준비 단계에서는, 스마트 체육수업의 실현가능성을 확인하고 활용할 수 있는 학습 전략을 세웠다. 스마트 체육수업에 활용할 도구 정하기 단계에서는, 영상매체를 활용하기 위하여 여러 스마트 기기·스마트 기술·어플리케이션을 사용했다.
둘째, 스마트 체육수업의 양상은 여섯 단계(수업 과제 제시-과제 해결 전략 설계-정보 탐색 및 확보-정보 종합 및 사용-과제 해결-과제 평가)로 살펴볼 수 있었고, 수업에 활용된 교육콘텐츠들은 정보수집, 협업, 성찰 등을 위한 도구로 활용됨에 따라 스마트교육학 요소에서는 상호작용 증가와 운동기능 및 지식향상에, 스마트교육 환경적 요소에서는 교수·학습 환경의 제한 극복을, 스마트 학습자 요소에서는 학습 동기 증가와 자기주도학습 변화 등의 효용성이 있었다. 수업 과제 제시 단계에서는 스마트 기기·스마트 기술·어플리케이션 등을 활용하여 지식 전달·퀴즈 활동 등의 개별학습과 협업학습으로 수업에 더 집중하고 이해하기 쉽게끔 도왔다. 과제 해결 전략 설계 단계에서는, 협동학습 전략·개별화 학습 전략 등을 통해 정보를 선별하고 재정리하는 과정에서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었고 개별적·자기주도적·수준별로 지식을 익힐 수 있게끔 수업을 설계할 수 있었다. 정보탐색 및 확보 단계에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여 정보를 탐색하게끔 수업을 진행했고 스마트 기술을 활용하여 영상시청에 필요한 수업자료들을 확보했다. 정보 종합 및 사용 단계에서는, 모둠별로 수집한 정보들을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정보를 선별하여 종합했고 활용했다. 과제 해결단계에서는, 종합한 정보들을 통하여 영상을 제작하기도 하고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수업 활동에 대한 기록을 개인별·모둠별로 하였다. 과제 평가단계에서는 스마트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체크리스트를 통한 자기 진단 평가와 모둠별 역량 진단 평가의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스마트 체육수업 양상에서 활용된 교육 콘텐츠 양상으로는, 먼저 수업자료형 콘텐츠로는 영상콘텐츠가 주를 이루었고 QR콘텐츠·문서콘텐츠 또한 활용되어 의사소통 기능에 활용되고 있었다. 그리고 수업형 콘텐츠에서도 주로 영상유형의 자료가 주를 이루었고 문서유형의 자료 또한 활용되어 수업시간 이외에 의사소통 및 정보전달 수단 기능을 하고 있었다. 또한, 수업도구형 콘텐츠는 여러 스마트 기기와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정보수집, 의사소통, 협업, 성찰, 시뮬레이션 등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셋째, 스마트 체육수업 실천을 통한 효과로는, 다양한 학습자원 활용을 통한 효과·자기주도학습의 효과·개별화 학습의 효과·철저한 수업준비를 통한 높은 수업 만족도·학생중심활동을 통한 동기 유발·학생들이 미래 역량 함양 신장 등이 있고, 이러한 스마트 체육수업 실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로 스마트교육 환경 구축 여부·학교분위기 등의 환경요인, 실천의지·만족도 등의 교사요인, 용이성·참여의지 등의 학생요인 등 세 가지 관점에서 탐색했다. 다양한 학습자원 활용을 통한 효과로는 영상자료와 어플리케이션 활용을 통하여 정보전달성의 용이성·수업몰입 견인·의사소통 능력 신장·간접체육 활동 경험 증가 등이 있다. 자기주도 학습의 효과에는 플립러닝을 통한 운동 실천의지 고양·자가진단을 통한 적정 운동 실천 등이 있었다. 개별화 학습의 효과로는 피드백을 통한 운동기능 향상·수준별 학습을 통한 높은 학습 효율성 등이 있었다. 철저한 수업준비를 통한 높은 수업 만족도에는 풍부한 수업자료 확보를 통한 수업 자신감 상승·수업 성찰을 통한 양질의 수업 운영 등이 있었다. 학생중심활동을 통한 동기유발로는 체육기피학생들의 적극적인 수업참여·자발적 과제 설정을 통한 목표의식 고양 등이 있었다. 학생들의 미래 역량 함양 신장에는 정보활용 능력 신장·고차원 사고력 신장 등이 있었다.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촉진요인으로, 환경요인에는 준비된 스마트교육 환경·학교의 허용적 분위기, 교사요인에는 강한 실천의지·스마트 체육수업 실천을 통한 만족감, 학생요인에는 친숙한 수업운영·수업참여에 대한 강한 의지 등이 영향을 미쳤다. 반면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는 데에 있어 제한이 되는 제약요인으로, 환경요인에는 미비한 스마트교육 환경·학교의 불허용적 분위기, 교사요인에는 미약한 실천 의지·스마트 체육수업 실천에 대한 어려움, 학교요인에는 복잡한 수업 운영, 수업참여에 대한 불만 등이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스마트 체육교육 실천 측면과 후속 연구 측면에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실천적 측면에서, 첫째, 스마트 체육교육을 실천하기에 앞서 스마트교육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요로 하다. 둘째,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 교사가 변해야 한다. 셋째, 스마트 체육수업을 실천하기 위해서는 교사 전문성 신장이 우선되어야 한다. 후속 연구 측면에서는, 첫째, 스마트 체육교육 연구에 있어 스마트교육 환경보다는 스마트교육학과 스마트 학습자에 초점을 더욱 맞춰 진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다양한 스마트 체육수업의 실천연구를 통하여 연구 대상에 따른 효과를 구분할 필요가 있다. 셋째, 스마트 체육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나아가 생활체육과 엘리트 체육에서는 어떠한 양상과 효과가 나타나는지 알아볼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361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14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