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경험과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 -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스마트미디어 중재를 중심으로 -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지선

Advisor
이강이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스마트미디어미디어 중재미디어 리터러시사회적 유능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족학과,2019. 8. 이강이.
Abstract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and the effects of smart-media (smartphones, tablet PCs) use on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development. Preschoolers smart-media use was examined with three factors: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parents media literacy level and parents smart-media mediation level.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1. How are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interpersonal skills, self-management skills, academic skills) and smart-media use time? Are there gender differences among these variables?

2. How are parents media literacy(functional literacy, critical literacy) level and smart-media mediation(active mediation, restrictive mediation) level?

3. How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parents media literacy level, parents smart-media mediation level an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Subjects included 139 father-mother dyads of five-years-old preschool children and 23 teachers from child-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measure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smart-media use time, parents media literacy and smart-media mediation.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AMOS 22.0. Statistical methods adopted for data analysi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bootstrapping.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smart-media use time according to gender.
Second, parents critical literacy level was higher than functional literacy level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in media literacy between fathers and mothers. Also,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ctive mediation and their restrictive mediation. Mothers active mediation level and restrictive mediation level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athers.
Third, parents media literacy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smart-media mediation. Parents with higher media literacy levels showed higher levels of smart-media mediation. Parents media literacy had indirect effects on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through parents smart-media mediation.
Fourth,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ir social competence. Children with longer smart-media usage time showed lower social competence. Parents smart-media mediation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indirectly through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five-years-olds social competence, smart-media use time, parents media literacy and smart-media mediation. Also, the current study confirmed that preschoolers smart-media use time and parents smart-media mediation affected preschoolers social competen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parental roles in mediating and regulating use of smart-media to promote preschoolers healthy social development.
이 연구는 TV 등의 전통적인 미디어와 달리 개인미디어의 특성이 강하고 시간과 공간의 제약이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스마트미디어 경험이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 변인의 양상을 자세히 살펴보고, 이들 변인과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간의 구조적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출생 후부터 미디어 환경에 노출되어 생활하는 유아의 건강한 사회적 발달을 돕는 부모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대인관계기술, 자기관리기술, 학습기술)과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양상은 어떠하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2】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기능적 리터러시, 비판적 리터러시)와 스마트미디어 중재(적극적 중재, 제한적 중재)의 양상은 어떠한가?

【연구문제3】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이상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재원 중인 5세 유아의 부모 139쌍과 교사 23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을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분석,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과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의 양상에서 성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회적 유능감의 모든 하위영역에서 여아의 점수가 남아보다 높았지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또한 여아가 남아보다 다소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비교적 높은 수준이며, 기능적 리터러시에 비해 비판적 리터러시의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아버지와 어머니 간에는 미디어 리터러시 점수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에 대한 부모의 중재는 적극적 중재와 제한적 중재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아버지에 비해 어머니의 중재 점수가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스마트미디어 중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가 높을수록 부모가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관리 조절하는 수준이 높았다.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는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스마트미디어 중재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넷째,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은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즉, 유아가 스마트미디어를 오래 사용할수록 사회적 유능감 수준이 낮아졌다.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중재는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 연구를 통해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 부모의 미디어 리터러시, 스마트미디어 중재의 전반적인 양상과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유아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과 부모의 스마트미디어 중재가 5세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 발달에 직, 간접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유아기 자녀의 스마트미디어 사용을 중재하고 스마트미디어 사용시간을 조절하는 부모의 역할이 유아의 사회성 발달과 관련 있음을 밝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47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85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