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1945~1950년 재대만 한인 단체의 조직과 활동 : Korean Organizations in Taiwan 1945~1950 : Organization and Activit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Lin Pei-Hsu

Advisor
허수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재대만 한인재대만 한인 단체대만한교협회미귀환임두욱이상만Koreans in TaiwanKorean o rganizations in Taiwan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In-RepatriationIm Doo-wookLee Sang-man.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사학과,2019. 8. 허수.
Abstract
In the process of the transition of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from the imperial system to the Cold War system, the activities of Korean organizations in Taiwan was associated with the change of diplomatic relations just between China and Korea or between China, Korea and the United States. After 1945, the trend of Korean immigrants in Taiwan was not only closely related to the diplomatic relations among the entities that form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but illustrated how Korean society with colonial characteristics started faltering, being built into a new Korean community in Taiwan. This dissertation is an attempt to analyze the activities of Korean organizations which represented the Korean society in Taiwan during the five-year period from 1945 to 1950, examining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organization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reveal how Koreans, especially those who weren't repatriated back to South Korea but instead, to settle down in Taiwan, responded to the turmoil led by the aftermath of World War II. The confusion Koreans faced could be represented into two aspects as follows: One is being placed at a fluid position after the liber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e other aspect is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the separation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which was derived from the left-right confrontation. As the history prior to the activities of Korean organizations in Taiwan after 1945, the reality of Korean society built in Taiwan during colonial period would be examined first. And then the research intends to reveal the role that Korean organizations have played in Taiwan, by figuring out how they were organized and different kinds of activities they engaged in based on primary resources from the Chinese national government and Taiwan provincial government's documents. Lastly, the identities of Koreans in Taiwan and Taiwan provincial government's perception of them would also be discussed.
In conclusion, Korean organizations in Taiwan such as在臺灣韓國國民會 and 臺灣省韓國人民互助會 were temporarily organized to protect the status and the stability of the Koreans' daily lives after Taiwan being placed under the Republic of China's administrative control and the beginning of Korean's repatriation. When The Chinese National Government(國民政府)'s policy toward Koreans in China got unified,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臺灣韓僑協會), which was organized by Im Doo-wook(임두욱) and other Koreans who lived in Taiwan since the colonial period that had not returned to South Korea, systematically managed administrative affairs related to Koreans by establishing a stable relation with Taiwan provincial government (臺灣省政府). As the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the separation between mainland China and Taiwan were becoming a reality, Lee Sang-man(이상만) who belonged to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KPG) and The Korea Independence Party (KIP) took over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As a result,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were extended beyond political function; activities such as establishing the political relation between Kuomintang of China (KMT) and KIP and the decolonization of Koreans in Taiwan. With the people from KPG and KIP going back to South Kore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Consulat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aipei(大韓民國駐臺北領事館), the administrative role of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was transferred to Consulate of the Republic of Korea in Taipei. Simultaneously,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lost its political function. It seems that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s functional status declined. However, as the Cold War system was in full swing,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transformed into a civic organization with ideological function and was engaged in anti-communist movement und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On the other hand, the activities of the Korean Association in Taiwan could be seen as an inherent contradiction that came from their immigration background with the Koreans in Taiwan expressing their identities as Koreans but having a negative attitude towards KPG and KIP. The research also reveals that although Koreans in Taiwan were a minority group formed in Taiwan which was also one of the periphery countries in East Asia, they still existed as a crucial part of the relations among political entities that formed the international order in East Asia, actively working in conjunction with the political movements of the government of their motherland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sidence (Taiwan, The Republic of China). Last but not least, this dissertation suggests possible academic contribution as a study that discusses the issues of the realignment of East Asia's system, finding out where the status of Koreans in Taiwan could be.
동아시아 국제질서가 식민주의·제국주의체제에서 냉전체제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재(在)대만 한인 단체의 활동은 주변부에 거주한 소수 집단의 움직임으로서, 당시 중·한 내지 중·한·미 외교 관계의 변화와 연동하며 전개되었다. 해방 이후 재대만 한인의 동향은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구성한 주체들 간의 외교적 관계망과 밀접하게 연관될 뿐만 아니라, 식민지적 성격을 지닌 대만 한인 사회가 동요하고 새로운 한인 커뮤니티가 형성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1945년부터 1950년까지 전후 5년 간 해방을 통해 변화해가는 현실에 대응하기 위한 재대만 한인의 동향에 관한 연구로서, 대만 한인사회를 대표하는 한인 단체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해당하는 각 시기마다 한인 단체의 성격·기능 변화를 살펴보고 재대만 한인의 위상을 모색하고자 시도한다.
본 논문은 재대만 한인 단체의 활동을 통해 한인, 특히 미(未)귀환 한인들이 해방 직후 유동적인 위치에 처하게 된다는 점과 한반도, 중국 대륙·대만 등에서 좌우 대립과 지역의 분단 등 두 가지의 현실에 대한 한인 사회의 대응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우선 해방 이후 재대만 한인사회의 변화를 추론할 수 있는 일제시기에 형성된 대만 한인사회의 실상을 전사(前史)로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민정부 및 대만성 정부 등이 남긴 자료가 보여준 재대만 한인 단체의 결성 과정, 실질적 활동에 대한 검토를 기초로 한인 단체의 역할과 기능을 파악하였다. 이와 동시에 한인 단체가 활동을 펼치는 과정에서 한인에 대한 대만성 정부의 인식, 재대만 한인의 자기인식, 즉 정체성을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결과적으로 해방 직후 국민정부가 대만을 접수(接收)하고 한인 귀환 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한인의 지위 또는 일상의 안정을 보호하기 위한 재대만한국국민회(在臺灣韓國國民會), 대만성한국인민호조회(臺灣省韓國人民互助會) 등 한인 단체가 임시 결성되었다. 국민정부의 대(對) 한인 정책이 통일되면서, 임두욱을 비롯한 일제시기부터 대만에서 생활해 왔고 남한으로 귀환하지 않은 한인 집단에 의해 조직된 대만한교협회(臺灣韓僑協會)가 대만성 정부와 안정적 관계를 맺음으로써 체계적으로 한인에 대한 행정 사무를 처리하였다. 한반도, 중국 대륙·대만 등 지역의 분단이 현실화되어 가면서 이상만을 대표로 한 임정·한독당 세력이 대만한교협회를 주도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대만한교협회의 기능은 행정상에서 한인 관련 사무 처리에 동참하는 것을 넘어 중국국민당과 한독당 간의 관계 체결, 한인의 탈식민화 등을 포함한 정치적인 기여로까지 확장하였다. 임정·한독당 세력이 한국으로 귀환하고 대한민국 주 타이베이 영사관(大韓民國駐臺北領事館)이 설립되면서 대만한교협회의 행정적 역할은 대한민국 영사관으로 이전되고 정치적 기능은 없어졌다. 이로써 대만한교협회의 위상은 담당하는 실질적 기능을 잃어버림으로써 하락한 것으로 보이는데, 냉전체제가 본격화되는 과정에서 한국전쟁 발발을 배경으로 대만한교협회는 반공 활동을 펼치는 이념적인 관변 시민단체로 변신하였다.
한편, 해방 이후부터 전개된 한인 단체의 활동에서 한인은 자신을 한국인으로 인식하면서 중국 대륙으로부터 건너온 임정 세력을 배척하는 이주민으로서의 내재적 모순을 보여준다. 마지막 결론부에서 본 논문은 재대만 한인이 주변부 중의 주변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이룬 정치주체들 간의 관계망 속에서 중요한 요소로서 존재하고 있었으며, 모국(대한민국) 정부와 거주지(중화민국·대만) 정부의 정치적 움직임과 연계하며 능동적으로 활동했음을 밝혔다. 나아가 동아시아 체제의 재편 문제 또는 그 과정에서 이뤄진 주변 집단이었던 재대만 한인사회의 위상을 탐구하는 연구로서 본 논문은 연구의 의의를 제시하는 바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57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8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