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오규원 문학과 문예창작교육 시스템의 연관성 연구 : Oh Kyu-wons Literary Work and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as a System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eth Chandler

Advisor
김유중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오규원사회비판날이미지문예창작제도시스템오토포이에시스오토포에틱스Oh Kyu-wonSocial CriticismLiving ImageCreative WritingInstitutionSystemSystems TheoryAutopoiesisAutopoetics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김유중.
Abstract
In a poetic career spanning forty years from the 1970s until his death in 2007, Oh Kyu-won displayed a diverse set of poetic tendencies while constantly seeking to renew his methods of composition through his writings on poetic theory. He is also known as an accomplished educator for his commitment to the teaching of poetic composition as a professor in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at Seoul Institute of the Arts, which began in the 1980s. This thesis sets out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Oh Kyu-wons literary activities and his work as an educator of creative writing. I first consider his ambivalent attitude towards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n institution in relation to his social criticism of the 1980s, and then explore how the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system which he created at this time affected the development of his living image poetics during the 1990s.
The concerns that Oh Kyu-won expresses about the institutions of creative writing and higher education while employed i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during the 1980s are an element of the self-criticism he displays in his middle-period poetry, in which he had earlier composed poetry critiquing consumer capitalism while working in the marketing department of the Amore Pacific makeup company during the 1970s. The effect that his work i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had on his later poetry and poetic theory can be recognized with reference to Mark McGurls theory of autopoetics, the self-(re)production mechanism of the creative writing program as a system. The change in Oh Gyu-wons poetry during this period, specifically the formation of his living image poetics, is difficult to explain throug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oems or works of poetic theory, but can be more fully understood when examined together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 system.
In Chapter 2, I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to consumer society and consider Oh Ky-wons thought o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in the context of his middle-period poetrys self-criticism and his ambivalent attitude towards popular culture. Oh Kyu-won also displays an ambivalent attitude towards higher education an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institutions. As a part of the larger institution of higher education,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contributes to the institutionalization of literature. In addition, in the sense that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commodifies literary works and the experience of writing, it can be viewed as a part of consumer society. From Oh Kyu-wons perspective, this sort of institutionalization and commodification constrains the autonomy of literature as an art and degrades the literary imagination, which is capable of realizing a system of values that confronts the existing reality. However, Oh Kyu-won also argued that the university an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have an obligation to protect the autonomy of literature and art. Thus he maintained a self-critical attitude towards his own work in the institution of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Next I analyze the relationship of Oh Kyu-wons interest in the social role of literature, a core interest of his middle-period, to the student movement, which formed a part of the 1980s social movements, and the poetry of his students, which dealt with social issues as well. Here Oh Kyu-won can be seen criticizing student passion directed towards radical literary practice or literature as activism because it damages the artistic value of the poem, but he also compliments the literary value of works for sharp perceptions of reality based in observation and the senses. This relates to his later recommendation to students to use description based on observation as opposed to directly expressing thoughts through statement, and also to his interest in the establishment of a new system of perception through description rather than representation of reality in his own later poetry.
In Chapter 3 I employ McGurls concept of autopoetics to examine how Oh Kyu-won created his own system of creative writing instruction through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and experience as an instructor, and later in the textbook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Hyeondaesijakbeop). I show that the 1980s, which has been left as a gap in previous periodizations of his poetic theory, was in fact a period of intensive research on creative writing education. Oh Kyu-wons research during this period primarily took three forms. First, after receiving a grant from the Ministry of Culture and Education in 1985, he undertook an extensive study of the pedagogy, curriculum, and administration of creative writing departments. Among the various projects of this period of exploration into creative writing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research, a study titled A Stud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of Creative Writing Departments at Technical Colleges (Jeonmundaehak Munyechangjakgwa Gyoyukgwajeongui Gaebalyeongu), is particularly important. The fact that Oh Kyu-won had conducted this study is mentioned by several previous researchers, but because the its exact source was unknown, my analysis of it here is the first time it has been examined directly. Second, after the above thesis was published, Oh Kyu-won began research on poetic discourse, attempting to systematiz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expression. A great deal of this research was edited and gathered in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Third, during this period Oh Kyu-won focused less on the work of other poets than on that of his own students, attempting to classify the problems they displayed. The central issue for Oh Kyu-won during this period of research was whether or not creative writing education is in fact possible. Here he argues that creativity cannot be the direct object of education, but his exploration into how creative writing education as a whole can be made possible lead him to the concepts of composition theory, which later became his research on poetic expression, and the composition process, through which his students creativity could be fostered.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system that Oh Kyu-won establishes in this process thus centers on the dynamics between an unteachable creativity and a teachable composition theory and composition process. In Oh Kyu-wons creative writing textbook, Methods of Modern Poetic Composition, his theory of poetic expression takes full shape, and his explorations into the composition process of his students results in the detailed studies of examples of student poetry(saryeyeongu) which are an important feature of the text. Here creativity is regarded as the essence of poetry or literature and becomes connected with a sort of new perception or realization, but still cannot be the object of direct education.
In Chapter 4 I explain Oh Kyu-wons living image poetry and poetic theory as a product of the autopoetic process established by the creative writing education system Oh Kyu-won created through his education research and creative writing textbook. First, I identify the points at which the boundary between Oh Kyu-wons educational or composition theory and his poetic theory begins to blur in relation to his living image poetics. For example, I show that the imperative to change perspectives from his living image poems was also advice that he gave students. In addition, I connect the origin of his living image poetics methodology, which involves eliminating poetic statement and metaphor, to his assertion that observational description is a more effective composition strategy for young students than contemplative statement. Next I link the educational nature of the living image, - which leads the reader, like a student, towards a new poetic imagination, - to his concerns about the teachability of creativity, new perceptions, and realizations. This educational character can also be found in his poetic theory written on the living image. Just as the workshop method(happyeong or gangpyeong) used in the creative writing classroom and the study of specific student works consist of a process of pointing out the problems in a work and undertaking its revision, in his living image theory Oh Kyu-won reveals the revision process of his own poems and engages in happyeong with readers and critics. Finally, I explain a change in Oh Kyu-wons attitude toward the creative writing department as an institution, which is apparent in his late poetry, focusing on his exploration of a new system of perception in which the system, rather than the subject, takes the center position.
오규원은 1970년대부터 2007년 작고까지 40년에 걸친 시작활동을 통해 다양한 성향의 시세계를 펼치는 한편 시론에서 지속적으로 시적 방법론에 대한 자기갱신의 의지를 보여준 시인이다. 또한 1980년대부터 서울예술전문대학 문예창작학과에서 교수로 재직하는 동안 시창작 교육에 전념을 한 탁월한 교육자로 알려져 있다. 본고는 이러한 오규원의 문학과 문예창작교육 활동의 연관성을 고찰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1980년대 사회비판과 관련해서 문예창작학과 제도에 대한 오규원의 태도의 이중성을 먼저 살펴본 다음에 그가 창안한 창작교육 시스템이 1990년대 날이미지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밝혔다.
1980년대 문예창작학과에서 재직하면서 문예창작과정 혹은 고등교육 제도에 대한 문제의식을 보여주었던 것은 1970년대 태평양화학의 홍보실에서 일하면서 소비자본주의에 대한 비판을 시로 담긴 그의 중기 문학의 자기비판과 일맥상통한 것으로 보았다. 문예창작학과 시스템의 자기(재)생산 메커니즘인 오토포에틱스에 대한 맥걸(Mark McGurl)의 설명을 유비적으로 오규원의 시와 시론에 비추어 설명했을 때, 오규원의 문예창작학과 재직 경험이 그의 후기 문학에 미친 영향을 알아볼 수 있게 되었다. 기존에 개별적인 시론이나 작품의 특징만으로는 설명되기 어려웠던 변화의 양상, 구체적으로 말하면 날이미지의 형성과정을 문예창작학과라는 시스템의 특징과 아울러 고찰함으로써 오규원 시와 시론을 본격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본고의 2장에서는 문예창작학과와 소비사회의 관계를 살펴보며 문예창작학과에 대한 오규원의 생각을 그의 중기 문학의 자기비판과 대중문화에 대한 이중적 태도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오규원의 시에서 고등교육과 문예창작학과라는 제도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가 보인다. 고등교육제도의 일부로서 문예창작학과는 문학의 제도화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문예창작학과는 문학 작품과 글쓰기의 경험을 상품화시키는 면에서 소비사회의 일부로 보인다. 오규원의 입장에서 이러한 제도화∙상품화는 자율적인 예술로서의 문학을 구속하고 기존의 현실에 대응하는 가치체계를 현시할 수 있는 문학의 상상력을 전락시킨다. 그런데 동시에 그는 대학과 문예창작학과는 문학 혹은 예술의 자율성을 지켜야 되는 의무가 있다는 주장도 내세웠다. 이러한 문예창작학과 제도에서 재직하는 자신에 대해 그는 자기비판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다음으로 본고는 문학의 사회적 역할이라는 그의 중기 문학의 핵심적인 관심사가 사회 문제를 다루는 시를 창작하는 제자와 1980년대 사회운동의 일부인 학생운동과 어떤 연관성을 갖고 있는지 분석했다. 여기서 그는 운동으로서의 문학 또는 문학의 급진적 실천성을 향한 학생들의 열정을 작품성을 낮추는 것으로 비판했지만 관찰과 감각에 바탕을 둔 예리한 현실인식을 가진 작품의 문학적 가치를 예찬했다. 이것은 나중에 학생들에게 생각을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진술보다 관찰을 통한 묘사를 권고하는 것과 자신의 후기시에서도 현실의 재현보다 묘사를 통한, 새로운 인식 체제의 정립에 관심을 가진 계기와 상관이 있다.
3장에서는 맥걸의 오토포에틱스 개념을 차용하여 오규원의 문예창작교육 연구서 및 교육활동과 이후로 󰡔현대시작법󰡕에서 그의 문예창작교육 시스템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살폈다. 지금까지 시론의 공백기로 남아 있던 1980년대는 실제로 창작교육에 대한 연구와 치밀한 모색의 시기였다는 사실을 밝혔다. 1980년대 창작교육 연구와 모색의 시기에는 오규원의 작업은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첫째, 그는 1985년 문교부 연구조성비를 받아 문예창작학과의 교육 이론과 운영방식, 커리큘럼 등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창작교육 탐구 시절의 작업 중에서 이 연구의 결과물을 별쇄논문집으로 엮어서 발표한 「전문대학 문예창작과 교육과정의 개발연구」가 주목되었다. 오규원이 이 연구를 진행했다는 사실이 여러 연구자에 의해 언급되어 왔으나 이전까지 자료의 명확한 출처가 확인되지 못했기 때문에 본고에서 처음으로 다룰 수 있게 되었다. 둘째 이 논문집이 나온 이후로 그는 시적 표현의 특징을 체계화하고자 하는 시적언술 연구를 집행했는데 이 연구 중에서 상당부분이 수정되면서 󰡔현대시작법󰡕에 수록되었다. 셋째 이 시기에 오규원은 다른 시인의 작품보다 제자가 쓴 시에 주목하여 그 문제점을 유형화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 연구의 시기에 창작교육의 가능성 여부가 핵심적인 문제가 되었다. 여기서 독창성이 직접적인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으로 규정되었으나 창작교육 전반을 가능하게 만들어 주는 것에 대한 모색은 시적언술을 체계화하는 창작이론과 제자의 창의력을 함양할 수 있는 창작과정의 교육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따라서 오규원의 창작교육 시스템은 가르칠 수 없는 독창성과 가르칠 수 있는 창작이론과 창작과정의 역학을 중심으로 성립되었다. 󰡔현대시작법󰡕에서 시적언술의 이론은 체계화되었으며 창작과정에 대한 탐구는 사례연구로 이어졌다. 독창성은 시 혹은 문학의 본질로 간주되며 문학작품이 제시해주는 새로운 인식이나 깨달음과 연결되어 여전히 직접적인 교육의 대상이 될 수 없었다.
4장에서는 오규원의 날이미지 시와 시론이 창작교육 연구와 󰡔현대시작법󰡕을 통해 완성된 창작교육 시스템의 오토포에틱 과정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설명했다. 먼저 날이미지 시와 시론에 있어서 창작이론과 시론의 경계가 흐릿해지는 현상을 성찰했다. 이를테면 시각을 바꾸자는 날이미지 시의 명제는 제자들에게 주는 조언으로 밝혀졌다. 또한 시적진술과 은유를 배제하는 날이미지 시 방법론의 근원을 젊은 제자들에게 진술의 관조보다 묘사의 관찰이 더 효과적인 창작 방법이 된다는 오규원의 지적과 연결시켰다. 다음으로 독자를 학생처럼 새로운 시적 상상력으로 인도하는 날이미지의 교육적인 성격은 새로운 인식이나 깨달음, 즉 독창성에 대한 문제의식과 연결시켰다. 이러한 교육적 성격은 또한 날이미지의 시론에서 찾아졌다. 창작실습의 수업진행방식인 합평 혹은 강평과 󰡔현대시작법󰡕의 사례연구가 작품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개작과정을 보여주는 과정인 것처럼 날이미지 시론에서 오규원은 자신의 시의 개작과정을 보여주며 독자 또는 비평가와의 합평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그의 후기시에서 보이는 문예창작학과 제도에 대한 태도의 전환을 주체 대신 시스템을 중심에 놓는 새로운 인식 체제의 탐구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58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9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