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 명사의 단위 명사적 쓰임에 대한 연구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소원-
dc.contributor.authorGiacomo Satta-
dc.date.accessioned2019-10-18T18:01:04Z-
dc.date.available2019-10-18T18:01:04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359-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159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59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장소원.-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한국어 명사의 단위 명사적 쓰임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글에서는 어떤 대상을 셀 때 사용하는 문법 요소의 통사 및 의미 특징에 대하여 고찰한다. 지금까지 학교 문법에서는 어떤 대상을 셀 때 사용하는 문법 요소를 분류사라는 명칭으로 다루어 왔는데, 본고의 관점에 따르면 이들의 명칭으로는 단위사가 더 적합하다. 어떤 단위를 셀 때 쓰이는 명사나 의존 명사의 역할은 지시대상을 분류하는 것보다 단위화하는 것이 더 핵심적이기 때문이다. 단위사는 자립적 단위 명사와 의존적 단위 명사로 나누어 볼 수가 있는데, 본고에서는 자립적 단위 명사를 주요 연구 대상으로 삼아 논의를 펼쳐 보인다.
제2장에서는 자립 명사와 의존 명사를 구분하여 이들의 개념적 정의가 실제 예문에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살펴본다. 그리고 이들의 차이가 단위사에는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확인한다. 이후 자립적 단위 명사의 속성을 보이기 위하여 수 관형사와 공기할 때에는 어떠한 통사적 특징을 보이는지를 검토했는데 이를 통해서 의존적 단위 명사가 나타나느냐 혹은 자립적 단위 명사가 나타나느냐에 따른 문장 구성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
제3장에서는 의미론적 관점에서 자립적 단위 명사를 분류하는 방식을 제시한다. 지금까지 많은 경우에 단위 명사들은 그들이 세는 대상이 부분인지, 개체인지, 집합인지에 따라 분류되어 왔다. 그러나 단위 명사들이 세는 대상의 수효뿐만 아니라 그 명사만의 의미적 속성이 어떠한지에 따라서도 단위 명사의 쓰임이 달라지므로, 수효 외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분류 기준을 설정한다. 본고에서는 이때 단위 명사와 공기하여 나타나 셈의 대상이 되는 명사들을 공기 명사라고 약칭하는데, 즉 이 장에서는 공기 명사의 의미적 속성에 따른 자립적 단위 명사의 분류 방식을 보이는 것이다.
제4장에서는 단위사가 나타나는 문장의 구성을 보고 공기 명사에 의존성에 따른 분류 방식을 제시한다. 의존적 단위 명사 같은 경우에는 [N(일반 명사)-Q(수 관형사)-Cl(단위 명사)]로 자주 쓰이는데 이와 달리 자립적 단위 명사들은 [Q(수 관형사)-Cl(단위 명사)]와 같은 구조로 사용된다. 따라서 자립적 단위 명사들은 단독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나 본장에 나타나는 사실은 자립 명사들은 단위 명사로 사용될 때 항상 자립적인 성격을 가지지 않고 반대로 어떨 때는 의존성이 많아 자립 명사임에도 불구하고 의존 명사처럼 행동한다는 것이다. 단위 명사와 공기 명사의 관계를 살피기 위해 준 의존 명사에 대한 개념도 조입하였다. 준 의존 명사라는 말이 수량 표현에 나타날 때 의존 명사처럼 행동하는 자립적 단위 명사를 가리킨다.
제5장은 결론으로서, 한국어의 자립적 단위사들은 단독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많이 없다. 그래서 본 연구로써 자립 명사들의 단위 명사적 쓰임을 연구하면서 단위사를 서술하기 위한 새로운 연구 틀을 제공해 보았다.
-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focuses on researching the classifying usage of Korean nouns. Although in the current Korean school system these nouns are called with a name which can be translated as classifiers, this paper decided to refer to these kind of Korean nouns as counters. The main scope of the paper was to study Korean nouns in order to show their proneness to be a counting unit instead of a classifying unit. In fact, when these counting nouns are used in the Korean language, it is more for their counting function than their classifying one. After arguing the above mentioned statement, the study then proceed in analyzing the Korean nouns and in differentiating between bound and un-bound nouns.
The second chapter focuses on highlighting the differences between bound and un-bound nouns and through this, showing how this classification can also be applied to the counting nouns. After this preliminary step, the paper probes on how these nouns come together with numeral expressions and how they are affected by numbers.
In chapter three, the semantic role of counting nouns was explored. Until now, the literature concerning this topic was centered on classifying nouns in order to discover the numerical entity they referred to, but this study focused its classification on the relations existing between counting nouns and the target that is been counted. To do so, the concept of complementary noun is introduced. Acquiring the knowledge of this relation between the two components of a numerical expression can be useful to achiev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in which counting nouns could be used in an un-bound form.
Chapter four focuses on the sentence structure in which counting nouns appear. While doing so, the paper encountered that, although un-bound nouns are the main object of this study, there are cases where these un-bound nouns assume the bound nouns form. Delving in this type of classification, the concept of semi bound nouns is introduced.
In conclusion, this thesis focused on highlighting the existing distinction among the various nouns belonging to the counting system (also referred as classifying) in the Korean language. Hopefully more studies on this topic will follow, and a general rule for the use of the un-bound counting nouns will be drafted.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차 례

1. 서론 1
1.1. 연구 목적 1
1.2. 연구 범위 2
1.3. 연구 자료 8
1.4. 논의의 구성 8

2. 예비적 연구 10
2.1. 단위 명사의 개념과 논의 10
2.2. 의존 명사 단위사와 자립 명사 단위사 15
2.3. 외래어 단위사 20
2.4. 수사와 단위사 22
2.4.1. 한자 수사와 고유 수사 22
2.4.2. 하나의 특성과 단위사 – 하나의 구조 26
2.4.2.1. 하나의 특성 26
2.4.2.2. 단위사 – 하나의 구조 29
2.4.3. 자립 단위 명사의 복수성 31

3. 의미론적 관점에 의한 단위사의 부류 33
3.1. 단위사 설정과 기존 연구 34
3.1.1. 단위사의 판별 기준 34
3.1.2. 기존 연구에서의 하위 부류 39
3.2. 의미적 부류 46
3.2.1. 구체성 49
3.2.1.1. 유정성 49
3.2.2.1. 무정성 52
3.2.2. 추상성 63
3.2.3.1. 관계성 63
3.2.3.2. 사태성 64
3.2.3.3. 기타 (공간/시간/추상물류) 65
3.2.3. 종류 67
3.3. 명사의 단위사성 68
3.4. 소결 71

4. 구성에 따른 단위사의 구분 74
4.1. 준(準)의존 명사 77
4.2. 자립 명사 80
4.3. 용기류 명사 84
4.4. 소결 88

5. 결론 89

참고문헌 92

부록 97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단위사-
dc.subject분류사-
dc.subject공기 명사-
dc.subject자립 명사-
dc.subject의존 명사-
dc.subject준 의존 명사-
dc.subject.ddc810-
dc.title한국어 명사의 단위 명사적 쓰임에 대한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지아코모사타-
dc.contributor.department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359-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359▲-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