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해심밀경』의 upapattisādhanayukti와 그 특성 : On upapattisādhanayukti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서정주

Advisor
안성두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yuktiupapattisādhanayuktisārūpyavairūpyaSaṃdhinirmocanasūtra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철학과(동양철학전공),2019. 8. 안성두.
Abstract
본고는 『해심밀경』에서 나타나는 upapattisādhanayukti(thad pas grub pai rigs pa, 證成道理)와 그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식학파에서 네 가지 yukti(rigs pa, 道理)란 수행자가 스승으로부터 듣거나 경전을 통해 알게 된 불교 교리를 탐구하는 해석학적(hermeneutic) 근거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upapattisādhanayukti는 이 네 가지 yukti 중 세 번째에 해당한다. 이 네 가지 yukti를 통해 경전이나 교리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이들은 해석학적 맥락에서 도입된 개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upapattisādhanayukti의 경우 근거를 통한 증명에 대한 것이라는 점에서 논리학과도 관계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upapattisādhanayukti의 논리학적 측면은 초기 유식학파의 문헌 중 『해심밀경』에서 가장 뚜렷하게 드러나며, 이에 따라 『해심밀경』을 통해 초기 유식학파의 논리학의 한 측면을 다루고자 한다.
『해심밀경』은 upapattisādhanayukti를 정의한 후, 그것이 가지는 청정한 특성과 청정하지 않은 특성을 열거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제시한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upapattisādhanayukti의 정의를 분석하고, 두 가지 특성에 대한 『해심밀경』의 설명을 분석하여 초기 유식학파의 논리학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네 가지 yukti의 정의에 있어서 『해심밀경』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이는 『유가사지론』 「성문지」에 나타나는 upapattisādhanayukti의 정의를 살펴보고, 『해심밀경』의 티벳역과 세 가지 한역을 비교분석함으로써 upapattisādhanayukti가 뜻하는 바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Carakasaṃhitā와 『방편심론』 등의 초기 논쟁 전통에 속한 문헌들과 『해심밀경』의 주석인 원측의 『해심밀경소』, *Āryasaṃdhinirmocanasūtravyākhyāna, bKa yang dag pai tshad ma las mdo btus pa를 참고하여 upapattisādhanayukti의 청정하고 청정하지 않은 특성들과 그에 대한 설명을 해석하였으며, 카지야마와 요시미즈의 해석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예시가 추론이나 논증식에 종속된 것이 아니라 독립적인 증명 방법이라는 것과 예가 유사한 예(sādharmyadṛṣṭānta)가 아님을 밝혔다. 또한 anvayavyatireka나 vyāpti 등의 개념을 도입하기 이전에 초기 유식학파가 추론과 논증식이 유추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고 유사성(sārūpya)과 차이성(vairūpya)을 통해 논증식이나 추론의 타당성을 확보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explores upapattisādhanayukti and its characteristics in the Saṃdhinirmocanasūtra. The four kinds of yukti are hermeneutic means on the basis of which Buddhist ascetics interpret Buddhist scriptures and doctrines. In this regard, they are subordinate to hermeneutics. However, yukti is also associated with logic since the third yukti i.e. upapattisādhanayukti, denotes the principle that consists in proof by means of arguments. Contrary to other Yogācāra texts which merely mention or define it, SNS describes the proof of the Buddhist doctrines by using logical terms while explaining it. Therefore, the examination of upapattisādhanayukti in SNS would contribute to our understanding of the logic of early Yogācāra.
SNS defines upapattisādhanayukti, divides it into two kinds, viz. the pure and impure, and explains characteristics of them. Therefore, in this paper, the definition of upapattisādhanayukti is analyzed and the interpretation of the explanation of the pure and impure characteristics is presented.
In order to identify what upapattisādhanayukti means, the definition of upapattisādhanayukti in ŚrBh is examined and three Chinese and one Tibetan translations are compared. After interpreting the definition of upapattisādhanayukti in SNS, the description of the characteristics is analyzed based on the texts of the early vāda tradition, e.g. CaS and UH, and three commentaries of SNS, viz., SNSṬ, SNSVy and mDo btus pa. In addition, Kajiyama and Yoshimizus interpretation of them is critically explored.
In this process, it is confirmed that the exemplification can be used as an independent means of proof which is not subsumed under the inference or syllogism and the example is not a similar example (sādharmyadṛṣṭānta). Furthermore, the description of the impure characteristics shows that early Yogācāra recognizes the analogical nature of inference and ascertains the validity of inference and syllogism based on similarity (sārūpya) and dissimilarity (vairūpya) before the introduction of the concepts like anvayavyatireka and vyāpti.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61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650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