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집단지성이 공공기관 팀 성과와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Collective Intelligence on Team Performance,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in Public Organizations
다양성과 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종순

Advisor
박순애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집단지성다양성협업팀 성과조직·직무몰입위계적 선형모형diversitycollaborationteam performanceorganizational & job commitmenthierarchical linear modecollective intelligence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공기업정책학과,2019. 8. 박순애.
Abstract
본 연구는 집단지성의 주요 특성인 다양성과 협업이 공공기관 팀 성과와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여 공공부문의 조직관리와 조직문화 방향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대상 기관은 고용노동부 산하 공공기관인 한국산업인력공단으로 135개 팀 367명의 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팀 구성원 성별, 연령 등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연구하였다.
본 연구는 실증적 연구방법을 채택하였다. 다양성은 성별, 연령으로 대변되는 사회범주 다양성과 인지적 다양성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협업수준은 Getha-Taylor(2008)가 개발한 협업능력을 설문 문항으로 변환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팀 성과는 직원이 인지하는 성과를 설문조사를 통해 반영하였다. 본 연구는 공공기관 팀별 다양성과 협업 수준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조직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위계적 선형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STATA 14.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변수의 타당도와 신뢰도 분석 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회귀분석과 위계적 선형모형을 통해 가설을 검증하였다.
설문조사 응답결과와 팀별 실증자료 분석 결과 첫째, 팀의 인지적 다양성과 협업은 팀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다양성과 성과의 관계에서 협업은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마지막으로, 위계적 선형모형 분석결과 개인 수준의 조직, 직무몰입은 팀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조직 수준에서 볼 때 팀의 협업수준이 높은 팀일수록 구성원의 조직, 직무몰입이 높아지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이론적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지성의 주요 특성인 다양성과 협업이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의의를 갖는다. 집단지성이 사회, 경제, 정치 등 많은 분야에서 연구되고 활용되고 있으나, 대다수의 선행연구가 이론적 정체성 규명, 사례 연구 등 질적 연구에 국한되어 이루어진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와 차별성을 갖는다. 둘째, 다양성과 팀 성과와의 관계에서 매개하는 변인을 밝힘으로써 다양성이 협업을 증가시키며 협업을 통해 팀 성과가 높아질 수 있다는 점을 증명하였다. 셋째, 조직론 관점에서 집단지성을 연구함으로써 향후 행정학 분야에서 집단지성에 대한 연구 가능성을 제시한 점이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특성과 조직, 직무몰입의 관련성은 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에 따라, 개인특성과 조직특성(다양성, 협업)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으나 검증하지 못하였다. 이는 표본추출방법과 표본이 가지는 한계 때문으로 생각된다. 둘째, 본 연구의 분석대상이 한 개 기관으로 한정되었기 때문에 기관 유형과 업무성격이 다른 타 공공기관에 대해 일반화하기 어렵다. 향후 공공기관의 유형과 업무 특성에 따라 연구대상을 다양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횡단적 연구에 의존하기 때문에 변수 사이의 인과관계를 유추하는데 다소 제한적이며, 대부분의 자료를 설문조사를 통해 확보하였기 때문에 동일방법 편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후속 연구에는 다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종단적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organizational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culture direction of public sector by verifying how diversity and collaboration,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collective intelligence, affect the team performance, and employees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of public institutio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employees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6 months in Human Resources Development Service of Korea(hereinafter HRDKorea), a public organization under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this study, and 367 respondents from 135 teams were collected. In addition, statistical data were collected such as gender and age of employees of each team.
This study adopts empirical research method. Diversity was used to analyze social categorical diversity and cognitive diversity represented by gender and age. In order to measure the level of collaborations, questionnaires were made based on the collaborative competency developed by Getha-Taylor(2008). Team performance were measured by the results of surveys. In this stud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eam performance, diversity level and collaboration on team performance, and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to determine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and job involvement. STATA 14.0 program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variables were analyzed, and the hypothesis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and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ognitive diversity and collaboration of the team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team performance. Second, collaboration has a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versity and performance. Finally,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linear model analysis showed that the level of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in the individual level varied according to the team. Data analysis shows that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job involvement increased as the team's cognitive diversity and degree of collaboration increased.

The limitations and future challeng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can not verify how collaboration interact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members of organization.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collaboration, various follow-up studies should be conducted. Second, the sampling method and the sample are limited to one institution and the number of responses is relatively small. Therefore, there is a limit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diversify research subj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public institutions and their work characteristics. Finally, because this study relies on cross-sectional studies, it is somewhat limited to infer causality between variables. Diversity and collaboration can work more effectively over time.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s of diversity and collaboration on performance through longitudinal research.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74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05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