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고령층의 재정 상태 분석 : Analysis of the finanacial status of the elderly
특수직역연금 수급여부와 공적연금 수급여부를 중심으로 비교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송혜경

Advisor
김상헌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고령층재정 상태특수직역연금공적연금불평등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행정대학원 행정학과(행정학전공),2019. 8. 김상헌.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inancial status
of the elderly in an aging society. In this study, I obtained
KLoSA(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panel survey data from
the second(2008) to the sixth(2016). I divided the group into the
- 80 -
special pension recipients(1,151) and the non-recipients(26,385), the
public pension recipients(7,972) and the non-recipients(19,564). The
difference in income, consumption, and assets between pensioners and
non-pensioners was analyzed through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t-test. And the effect of pension status on financial status was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addition, inequality was
confirmed by the Gini coefficient in the financial status of pensioners
and non-pension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ensioners
differed in terms of financial status from non-pensione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otal income, total
consumption, total assets, real estate assets, and financial assets
between the special pensioners and non-pensioners. Earned income
was added between public pensioners and non-pensioners. Second, in
the case of pensioners, the factors affecting the financial status were
gross income(+) and earned income(-). Third, the inequality of assets
in pensioners and non-pensioners was confirmed.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savings are reduced when
there is a pension, but in this study, pensioners are characterized by
higher asset income and asset level than non-pensioners. There is a
need to consider the asset side in policy approaches to the elderly 's
retirement preparation.
본 연구에서는 고령사회를 맞이하여 고령층의 재정 상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있어서 특수직역연금수급자(1,151명)와
비수급자(26,385명), 공적연금수급자(7,972명)와 비수급자(19,564명)
로 집단을 나누었다. 연금 수급자와 비수급자 간 소득, 소비, 자산
수준의 차이를 기술통계분석, t검증을 통해 살펴보았고, 연금 수급
여부가 재정 상태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하였다. 또한, 연
금수급자와 비수급자의 재정 상태에 있어서 지니계수를 통해 불평
등성과 추이를 확인하였다.
고령화연구패널조사 2차(2008년)에서 6차(2016년)까지의 자료
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연금수급자는
비수급자와 재정 상태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특수직역연금수급
자와 비수급자 간에는 총소득, 총소비, 총자산, 부동산자산, 금융자
산 항목에서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공적연금수급자와
비수급자 간에는 근로소득이 추가되었다. 둘째, 연금수급자의 경우
재정 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총소득(+)과 근로소득(-)이었
다. 셋째, 연금수급자와 비수급자에 있어서 자산의 불평등성을 확
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에서는 연금이 있을 경우 저축이 감소함을 보이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연금수급자는 비수급자에 비해 자산소득과
자산수준이 높은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고령층의 노후 준비와 관
련한 정책적 접근에 있어서 자산 측면을 고려할 필요성이 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0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13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