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기업주도 민관파트너십형 지역활성화사업의 단계별 진행과정 : A study on the Process of Corporate-led a Public-Private Partnership Project for Local Empowerment
가파도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정혜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지역활성화지역브랜딩기업사회공헌기업사회혁신지역재생지역파트너십거버넌스농어촌활성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2019. 8. 김세훈.
Abstract
최근까지 지역재생사업의 주요 주체는 정부(공공)와 사회단체(시민)가 중심이 되어 이루어져왔다. 여기에 오늘날 기업이 지역활성화사업에서 새로운 파트너로 주목받고 있다. 기업 또한 최근 들어 기업사회공헌 사업의 협업 상대로서 공공을 선호하며,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또한 점차적으로 특정 지역대상의 직접적이고 실질적인 참여로 나아가는 분위기이다. 이렇듯 사회와 기업의 필요가 맞물려 공공·기업·주민 파트너십 바탕의 지역사업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사회부문간 상호의존성 증대로 인해 파트너십에 대한 관심이 커지게 되며, 민관파트너십을 통한 지역활성화가 유일한 수단처럼 여겨진다는 데에 우려를 표하기도 한다. 기업참여를 통한 지역활성화사업이 실질적으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역역량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오늘날은 더욱이 지역차원의 문제해결을 위해 상호의존성이 거치며 지역사회단체를 포함한 협력적 민관파트너십의 필요성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다양한 양상의 파트너십이 구축되는 현상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먼저 기업과 공공의 파트너십을 통한 지역재생 사례의 변화와 특성에 대하여 짚어보며, 기업이 참여한 지역재생 사업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선행하였다. 이후 기업사회공헌을 통한 기업주도의 민관파트너십형 지역활성화사업 사례연구를 통해 기업주도 지역활성화사업이 이전의 정부주도, 주민주도 사업과 다른 특성과 파트너십의 운영과정을 상세히 짚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가파도 프로젝트』라는 구체적 사례연구를 통해 국내의 지역활성화사업에서 지역파트너십이 지니는 특성을 알아보고, 성격이 다른 파트너십 참가자들 간 지역활성화사업을 위해 갖는 소통의 과정을 알아보았다. 나아가 국내에서 지역파트너십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이며, 앞으로의 지역활성화사업에 있어 협력사업에서 기업의 역할과 공공의 역할에 대하여 고민해보고자 하였다.
『가파도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2018년까지 기업(현대카드)이 공공(제주특별자치도)에 제안하여 주민(가파도민)과 함께 파트너십을 이뤄 진행한 3자 협의 형태의 지역활성화사업이다. 가파도 프로젝트는 주민 참여를 가장 중요한 요소로 삼았고 사업 공개 이후 주민이 직접 지역활성화사업을 통해 구축된 시설을 운영하는 것을 목표로 진행된 사업이다. 가파도 프로젝트는 2012년부터 제안, 계획단계를 거쳐 2018년 이를 공개하였고, 주민운영을 통한 장기적인 목표를 두고 지속적으로 추진 중인 현재진행형 사업이라는 데에 더욱 의미가 있다. 본 연구는 가파도 프로젝트에서 사업의 단계별 중심이 되는 파트너십 구성원의 역할이 다르며, 파트너십 참가자들의 특성과 상세목표의 차이가 사업의 진행과정에서 조성계획과 구축상의 변화를 일으킨 중요요인이라 정의하였다. 또한, 각 파트너십 구성원의 특성과 구성원의 단계별 영향력 변화가 사업의 계획변경 및 결과물에 있어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지역활성화사업을 위해 공공과 기업, 주민이 파트너십을 이루고 협업할 때, 효율적인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파트너십 참가자들 간의 지속적인 의견 교류와 시너지 효과 창출을 위한 제도적 발판이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또한 지역활성화사업을 위해 협업하는 파트너십 참가자들 간 사업 초기부터 상세 목표 공유, 업무 방식 차이와 속도의 조율, 균등한 권력관계 형성과 신뢰도의 형성 등이 사업 진행에 있어 긍정적이고 결정적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앞으로의 파트너십형 지역활성화사업에서 특성이 다른 주체들이 협업할 때, 각자의 위치에서 기여할 수 있는 영역을 찾고 해당 영역에서 각각의 강점을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도록 절차를 마련하며, 주체별 효과적 협업을 위한 과제와 영역을 정립하고 지속가능한 지역활성화사업을 위한 논의를 이끌어 가고자 한다.
Until recently, the main subjects of regional regeneration projects have mainly been the government (public institutions) and social organizations (citizens). Nowadays, attention is paid to companies as new partners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s. The companies have recently preferred public institutions as collaborative partners in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projects, and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activities also gradually proceed to direct and practical participation for specific regions. Like this, as the needs of society and company are meshed up, it is expected that the regional projects based on the partnerships among public institutions, companies and residents will increase. However, some get increasingly interested in partnerships due to the increasing interdependence among social sectors and are concerned about the fact that the regional revitalization through public-private partnership is considered the only means. In order to exhibit a substantive effect of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through corporate participation, it seems that it should be possible to improve regional competence from the long-term perspective and present a solu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ocal community. Today, there is an increasing necessity of a collaborative public-private partnership that includes local community groups, through interdependence for problem-solving on the regional dimension. In addition, there is an increasing tendency of the phenomenon in which varied aspects of partnership are constructed.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first investigated the case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s in regional regeneration through corporate and public partnership and conducted theoretical discussions first on the regional regeneration projects in which companies participated. Then, through a case study of corporate-led public-private partnership-typ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s through corporate social contribution, this study would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rporate-led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government-led and residents-led ones and the operation of the partnerships in detail. For this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artnerships in the domestic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through a study of the specific case of Gapado Project and examined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between partnership participan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for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Moreover, this study would be concerned with the preferred direction of the domestic regional partnerships and the corporate and public roles in the cooperative project in th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in the future.
Gapado Project is a three-party consultation-typ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implemented through a partnership with residents (Gapado residents), proposed to a government office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by a company (Hyundai Card) from 2012 through 2018. The Gapado Project took the residents participa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and aimed to operate the facilities constructed through a direct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after the project was made public. The Gapado Project was made public in 2018 through the stages of proposal and planning from 2012, and it is much more meaningful that it is a project continuously in progress promoted with a long-term goal through the residents operation. This study noted that the roles of the partnership members, who would be the center of the project by stages in the Gapado Project were different and defined the partnership participants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in the detailed goals as important factors causing changes in the plan for creation and in the construction in the progress of the project.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artnership members and changes in the members influence by stages had substantial impacts on changes in the plan of the project and its results.
Thus, it was judged that an institutional foothold should preferentially be prepared for continuous exchange of opinions between partnership participants and the creation of a synergy effect to draw efficient output when public institutions, companies and residents would cooperate, forming partnerships for a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In addition, it was judged that sharing detailed goals between the partnership participants who cooperate for a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from the early stage of the project, coordinating the difference in the operation method and the speed, and forming an equal power relationship and reliability would play positive and decisive roles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ject. Therefore, this study would establish tasks and areas for effective collaboration by subject and lead discussions for a sustainabl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finding the areas to which subject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could contribute from their respective positions when they cooperate in a partnership-type regional revitalization project in the future and preparing procedures they can use their respective strengths effectivel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3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8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