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낙성대동 샤로수길의 외식업 점포 변화과정 연구 : A Study on the Changing Types of Restaurant Business in Naksungdae-dong Sharosu-gil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길은정

Advisor
김세훈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샤로수길골목상권상업가로외식업외식업 점포점포변화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환경대학원 환경조경학과,2019. 8. 김세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cess by which the old restaurant and business district near Nakseongdae Market, located in Nakseongdae-ro 14-gil, Gwanak-gu, has been transformed with the entrance of trendy restaurants and shops; the area is now known as Sharosu-gil. The aim of the study is to reveal the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ation.
Sharosu-gil, which has not been studied relative to studies of other alley areas in Seoul, such as Hongdae, the historic district, and Gangnam District, has been a focal point in the area. This is a space where one can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anges in restaurants and stores and activations in the alley because the number of restaurants has exploded during the process of becoming famous.
Among other commercial districts in Sillim-dong and Bongcheon-dong that have a history with Seoul National University, the new stores in Sharosu-gil—the fastest activated business district near Seoul National University—converge with the restaurant industry. Thus, how this convergence affects the retail landscape of Sharosu-gil must be explored.
This study begins with a question about the timing of the spread of the restaurant industry in Sharosu-gi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ansion process and the types of food featured there.
Since 2010, with the opening of restaurants believed to have formed the initial image of the destination opened, the commercial sector has become saturated with restaurants, and the extent of the types of business conducted in the area has become much broader in 2019.
In the case of Sharosu-gil, the commercial districts have been existed previously but revitalized as new shops and stores opened in the same location of the commercial and residential spaces.
Newly opened stores are restaurants that have particular types of culinary businesses and shown as the homogeneous characteristics.
In the past, Sharosu-gil was composed of retail store selling daily necessities, Korean food, and snacks, and barbecue restaurants. Since then, new restaurants have opened, and their increasing numbers have united the owners in the restaurant business. Accordingly, menus handled by restaurants have been subdivided. Current restaurants determine the image of Sharosu-gil by providing a service and experience-oriented element with a wide range of meal choices.
Within the linear lateral commercial spher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peed of change for the entrance and central area of Sharosu-gil; the sizes and shapes of buildings have also affected the rate of change.
The landscape is shaped differently than it was in the past because of the remodeling of the interior and exterior of the existing building, rather than by reconstruction.
When considering the start of the full-scale revitalization of Sharosu-gil in 2013, it took less than six years for new restaurants and stores to fill the entire street after pushing out those with existing living rights. Then, corporate franchises entered.
The quick activation drew administrative and social attention and achieved both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positive understanding about the area. The result was a sharp rise in rental prices. The side effects included a slump in commercial areas outside of Sharosu-gil.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identify the time when the restaurants and stores have been expanded and revitalized rapidly and predict the changing process of the area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by tracing down what happed in the past.
Previous retailers—including two couples and shoe stores that used to hold prime Nakseongdae market positions—have disappeared.
It will be important to come up with measures to cope with changes in the area, which can be seen as the beginning of gentrification. Furthermore, a clear, authentic image of Sharosu-gil must be constructed.
본 연구의 목적은 기존에 존재하던 관악구 낙성대동 관악로 14길 낙성대 시장 인근의 생활상권이샤로수길이라는 명칭 아래 외식업 점포의 밀집이 특징적으로 일어난 과정을 파악하고 그 요인과 특성을 밝히는 것에 있다.
홍대 상권, 한옥 상권, 강남 상권 등 서울의 여타 골목상권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샤로수길은
명소화되고 알려지는 과정에서 외식업 점포가 폭발적으로 증가하였기 때문에 외식업 점포의 변화와 골목상권의 활성화 간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공간이다. 서울대학교의 역사와 함께하는 신림, 봉천동의 기타 상권들 중 가장 빠르게 활성화 된 샤로수길 내 신규 점포의 업종이 외식업종으로 수렴하는 것을 확인하고 이러한 특성이 이후 샤로수길의 소매경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샤로수길 내 외식업의 확산 시기와 더불어 확산 과정에 어떤 특징이 나타나며 이를 유형화할 수 있는가에 대한 질문에서 시작한 본 연구는 대상지의 초기 이미지를 형성했다고 여겨지는 외식업 점포가 개점한 2010년부터 상권 내 업종 유형이 외식업 점포로 포화된 2019년 현재까지를 시간적 범위로 한다.
샤로수길의 경우 기존에 상권이 존재했으나 신규 상권의 모습으로 재활성화 되었고, 기존 점포 자리 및 주거 공간이 신규 점포가 개점했다. 새로 개점한 점포들의 업종이 특정 종류인 외식업으로 동종 집적되는 특성을 보인다. 생활소매점포와 한식, 분식, 고깃집 위주의 점포로 구성되었던 샤로수길은 신규 외식업 점포들이 유입되어 전체적 대분류 업종은 외식업으로 수렴하고 외식업 점포들이 다루는 메뉴는 세분화 되었다. 현재의 외식업 점포는 음식의 섭취보다 식사 선택의 폭이 매우 넓은 서비스적 , 체험적 요소로서 샤로수길의 이미지를 결정한다. 선형 가로 상권 내에서 입구 구역과 중심 구역 변화 속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건물의 규모나 형태도 변화 속도에 영향을 미쳤다. 재건축보다 기존 건물의 내, 외부 리모델링에 의해 과거와 다른 경관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구간으로 나누어 유형화가 가능하다.
샤로수길의 본격적 활성화 시작점을 2013년으로 보았을 때, 기존 생활상권을 밀어낸 후 신규 외식업 점포가 가로 전체를 채우고, 이후 기업 프랜차이즈가 유입되기까지 채 6년도 걸리지 않았다. 빠른 활성화는 행정적, 사회적 관심을 끌었고 환경적인 개선과 이미지 개선을 동시에 이루었다. 하지만 이로 인해 급격한 임대료 상승이 있었고, 샤로수길 가로 외의 상권이 침체되는 부작용이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샤로수길 내의 외식업 점포의 유형 변화과정을 추적함으로써 상권 내 외식업 점포의 확산 시기와 활성화 시점을 특정할 수 있으며, 앞으로의 변화과정도 일부 예측이 가능하다. 과거 낙성대 시장 자리를 지키던 두붓집, 신발가게 등 새로운 수요층에 대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소매점들은 사라졌다. 젠트리피케이션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을 이러한 변화에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샤로수길의 명확한 이미지를 구축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35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18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