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산지역 아파트 단지의 배치형태 와 주동평면형태의 변화 양상과 요인에 관한 연구 :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and Determinants of Block Plan of Apartment Complex and of its Building Blocks in Busan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상진

Advisor
최재필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아파트형태학형태변화부산배치유형주동평면유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건축학과,2019. 8. 최재필.
Abstract
This study explores morphological transformation and determinants of apartment complexes in Busan, focusing on block plans and building blocks. Though apartmen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in Korean society, it has not drawn enough attention from academia as well as from the public, especially regarding its form. In result, the morphological change has poorly been recognized. Instead, negative, but superficial, evaluation has become a dominant tendency to deal with the form of apartment complexes. There are numerous partial evidences to inform morphological change of apartment complexes, and understanding the change is critical since morphology reflects culture, politics, economy of a society.
The research consists of two parts: the ascertainment of the morphological changes and the analyses of their determinants. The 269 apartment complexe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es, which included basically all apartment complexes over 600 housing units built by 2016 in Busan. The complexes consisted of 3,284 residential buildings, and the number of overall housing units were approximately 330,000. Six periods were set for comparison: Period I(∼1990), Period II(1991∼1995), Period III(1996∼2000), Period IV(2001∼2005), Period V(2006∼2010), and Period VI(2011∼2016).
The result shows that the parallel type of block plan has been dominant until the early 1990s, but the lattice type has become the major one until the early 2000s. In the mid to late 2000s, the block plan has been changed from the lattice type to the diagonal type. With the advent and prevalence of the diagonal block plan type, the scenery of street has drastically changed. The repetitive rectangular boxes of early German siedlung-style apartment buildings are replaced by the new diagonal layout of complicated shapes.
The change in the type of building plans of apartment complexes has mainly occurred from the mid 2000s. The I-type building block was dominant until the mid 2000s, and represented almost 90% of overall buildings. In the beginning of the 2000s, the type of building block has become diverse, and the number of Y-type building block drastically increased in Period V. L-type has become the predominant type in Period VI(from 2011 to 2016) including over 40% of the total.
In summary, there have been three major morphological changes regarding apartment complexes in Busan. The first type was the parallel repetition of simple rectangular building until the early 1990s. The second one is the latticed type of simple rectangular boxes through the mid/late 2000s. And the last one is the skewed type of complicated Y- or L-shaped buildings.
Basically six parameters have been selected to seek the causes of morphological change: the height, the density, the parameter of openness, the ratio of buildings facing-south, the state of natural ventilation, and the ratio of deformed-buildings. It is proved that the first phase change during the early 1990s was the outcome of the increase in the density of apartment complexes. The second phase change through the mid to late 2000s was mainly related with the rise of the ratio of buildings facing south. This finding is different from the general belief that the change might have occurred in order to increase the height of apartment complexes.
It has been claimed in several previous researches that the major morphological change had occurred in the late 1990s or the early 2000s. However,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how that it was the mid to late 2000s that the change has become obvious.
본 연구는 부산지역의 아파트 단지의 형태변화의 양상과 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한국사회에서 아파트는 가장 중요한 대상 중의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그 형태는 대중적인 관심은 물론 학술적인 관심도 제대로 끌지 못했다. 아파트의 형태에 대해서는 주로 피상적인 관찰에 기반한 부정적인 평가가 지배적이며, 이로 인해 아파트의 형태변화의 규명은 연구자들의 관심과는 다소 거리가 있었다. 그 결과 아파트의 형태변화의 양상은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하지만, 아파트 단지의 형태에서 다양한 변화가 진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적인 증거들은 많이 있다. 형태는 사회, 경제,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물리적 결과물이며, 형태변화의 분석은 사회문화적 요구의 변화를 이해할 수 있는 기반이 된다.
본 연구는 형태변화의 양상에 대한 확인과 관련 요인의 분석 등 크게 두 부분으로 구성된다. 부산지역에 2016년까지 건립된 600세대 이상인 아파트 단지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 단지 수는 261개 단지, 주동 수는 3,284개 동, 세대수는 약 303,000세대로 구성된다. 분석을 위해 시기는 기본적으로 5년 단위로 구분하였으며, 1기(∼1990년), 2기(1991년∼1995년), 3기(1996년∼2000년), 4기(2001년∼2005년), 5기(2006년∼2010년), 6기(2011년∼2016년) 등 6시기로 구성된다.
본 연구는 배치형태와 주동평면형태로 구분하여 진행되었다. 배치형태의 변화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사회의 전형적인 아파트 단지 형태라 할 수 있는 일자병렬형 배치는 1990년대 초까지는 가장 지배적인 유형이었으나, 이후 일자격자형 유형으로 대체되었다. 이후 나타난 사선병렬형 유형은 2000년대 중후반부터 주된 배치유형이 되었다. 사선병렬형으로 인해 도시 축을 중심으로 직선형의 가로 경관에 큰 변화가 생기게 되었다. 과거 단순한 사각형 박스의 반복으로 대표되는 아파트 단지변의 가로 경관은 도로에 사선으로 배치된 복잡한 형상의 주동으로 바뀌었다.
주동형태의 변화는 2000년대 중반부터 시작되었다. 이전까지 전체의 90%를 가까이 차지하던 일자형 주동은 2000년대에 들어서면서 Y자형, L자형 등의 등장으로 인해 그 비중이 대폭 축소되었다. Y자형은 5기에서 가장 비중이 확대된 주동유형이며, L자형은 6기에서 전체 주동 중 40% 이상을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은 주동유형이 되었다.
아파트의 형태변화를 기준으로 시기를 크게 구분할 때, 첫 번째 시기는 1990년대 초반까지로 일자형 주동의 병렬형 배치가 중심이 된 시기로 볼 수 있다. 두 번째 시기는 1990년대 초반부터 2000년대 중후반까지로 일자형 주동의 격자형 배치가 주가 되었다. 세 번째 시기는 2000년대 중후반 이후부터 2016년까지로 볼 수 있으며, 다양한 주동유형의 등장과 함께 사선형 배치 등 형태변화가 본격화한 시기로 볼 수 있다.
형태변화의 관련 요인을 분석한 결과, 1990년대 초반 일자병렬형에서 일자격자형 배치로의 변화의 주된 요인은 밀도의 증가였다. 2000년대 중후반 진행된 2차 변화는 사선병렬형 배치로의 변화와 함께 일자형 주동에서 Y자형, L자형 주동으로의 변화가 동시에 일어났다. 2차 변화의 주된 요인은 남향비의 증가로 나타났으며, 이 결과는 층수의 증가 등을 위해 형태가 변화되었을 것이라는 일반적인 예측과는 다른 결과라 할 수 있다.
많은 선행연구들에서 2차 형태변화가 진행된 시기를 1990년대 후반 또는 2000년대 초반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는 형태변화가 2000년대 중후반에 본격화되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이 부산지역임을 감안할 때 이러한 선행연구와의 차이가 지역적 특징 등으로 인해 발생했는지 등의 여부는 추후 후속연구를 통해 확인이 필요하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188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5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