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The Internal and External Effects of Knowledge Sources with Implications for the Middle-Income Trap : 지식 원천의 내외부적 효과와 중간소득함정에 대한 시사점: 한국과 태국 간의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etween Korea and Thailand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Sira Maliphol

Advisor
Lee, Jeong-Dong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Middle-income trapInnovation systemsInnovation transition failureTypes of knowledge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공과대학 협동과정 기술경영·경제·정책전공,2019. 8. Lee, Jeong-Dong.
Abstract
The middle-income trap is caused by the failure to grow an economy through the structural change of an economy. Structural change can be actualized through production and innovation capabilities. Whether or not the structural change leads to growth, however, depends on whether or not the source of growth is innovation-driven. Thus, innovation transition failure can lead to the middle-income trap (Lee et al., 2019). This dissertation provid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patterns of capabilities development of Korea and Thailand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the transition process.
Most studies on innovation systems focus on advanced countries that tend to leave out differing drivers of productivity and economic growth for developing countries. Developing countries at the lower ranges of income must, thus, find ways to transition to innovation-based growth with few reliable models to follow. This dissertation distinguishes catching up from transition by the source of growth; catching up does not usually differentiate between efficiency-driven growth and innovation-driven growth. This study represents an exploratory work because there have not been previous studies on innovation transition failure in the past. This dissertation focused on the potential causes of innovation system transition and by extension its failure. Since knowledge accumulation drives innovation, the three studies focus on measuring knowledge flows and accumulation through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networks and identifies the determinants and institutions of accumulation of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Chapter 2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examin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flows on the productivity growth of two different types of economies: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at has successfully transitioned, i.e. Korea, and a national innovation system that has failed to transition, i.e. Thailand. Korean industrial sectors are driven by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are dependent on R&D activity and its related spillovers. Therefore, foreign sources of production capabilities, via inward FDI, are not expected to have positive effects on productivity growth. In Thailand, production capabilities are still the main and only significant drivers of growth overall. While disembodied knowledge flows from industrial sector R&D activity have a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productivity, the overall effects are negative. The scale and efficiency of learning through R&D needs to be increased across the economy.
Chapter 3 presents a study that takes a double-sided approach in examining the automotive industries in Korea and Thailand. First, a network analysis approach is used to provide a snapshot of the strength of two main flows of knowledge networks in an innovation system: embodied and disembodied. The embodied and disembodied networks show the relative strengths of industrial sector knowledge flows in comparison to each other and within each country. The knowledge networks in Korea are stronger, and they have also strengthened over time when measured by the economic and technological systems and subsystems. The knowledge networks in Thailand present a more ambiguous outcome. Again, the main growth in the knowledge networks comes from non-R&D related activity.
The second part of chapter 3 examines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to understand the underlying dynamics of change. The actors at the top of the industries within the systems have remained the same in both countries with most firms exiting at the bottom, which should be expected. From a global perspective, however, the difference in catch-up is quite different. Hyundai is the only remaining Korean automaker. Its survival is based largely on its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were nurtured by institutions within the sectoral innovation system that allowed it to eventually compete against global leaders. In contrast, the top firms in the auto industry of Thailand are still foreign MNCs that have continued to consolidate the market through foreign innovation capabilities.
Chapter 4 turns to a national perspective. Taking a national innovation systems perspective, Korea has managed to develop globally competitive firms with strong innovation capabilities in several industries, e.g. Hyundai, Samsung, and LG. In Thailand, the lack of innovation system transition is taken as an underlying cause of the middle-income trap in Thailand. Similar to the auto sector examined in chapter 3, MNCs dominate the biggest manufacturing sectors for similar reasons. The sectors where the largest companies operate in Thailand are protected from competition, disincentivizing development of innovation capabilities. The national innovation system has had weak actors (Intarakumnerd et al., 2002) that have not markedly changed in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The study finds that the institutions and policies that affect knowledge accumulation were late to form and even slowed the process of accumulation.
The implications for the studies in this dissertation emphasize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that drive innovation capabilities. Variation between the sources of productivity growth by knowledge type is an important aspect of innovation transition and therefore growth. Realignment of institutions that affect the trade and economic structures are likely to upset incumbents that are vested in the existing structures and institutions that support them. While capabilities grow in complexity, part of the complexity is that new capabilities must be added to existing capabilities, increasing management complexity. Further implications are that government policies can be used to encourage artificial demand for innovation capabilities that support knowledge flows through multiple channels. Since R&D expenditure is already targeted, policies should try to find ways to increase the innovation effects of knowledge workers more efficiently and rapidly for the different types of knowledge.
The main contributions of the study are examining technology capabilities in more discrete forms based on the type of knowledge flow in an economy and quantifying the change in knowledge networks of innovation systems using dichotomous matrices of IO data of embodied and disembodied knowledge channels.
중간소득함정은 국가 경제의 구조적 변화를 통한 경제 성장이 실패하면서 비롯된다. 구조적 변화는 생산과 혁신 능력을 통해서 실현될 수 있다. 구조적인 변화가 성장으로 이어질지의 여부는 성장 원동력의 혁신 기반 여부에 따른다. 본 논문은 한국과 태국의 능력 개발 패턴에 대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중간소득함정에서 전환하는 데의 차이를 보여준다.
국가혁신체제에 대한 연구는 보통 선진국에 초점을 맞추며 생산성 동력과 개발국의 경제적 성장을 간과한다. 소득에 있어 하위권에 속한 개발국의 입장에서는 다소 적은 수의 혁신 중심 경제로의 전환 사례와 접하게 된다. 이처럼 혁신 전환 실패에 대한 과거 연구가 없기 때문에 본 연구는 탐색적 조사에 해당한다. 본 연구에서 혁신 체제 전환의 가능한 요인 그리고 나아가 전환의 실패를 전적으로 다룬다. 지식의 축적이 곧 혁신을 몰기 때문에 다음 세 가지 세부 연구는 여러 종류의 지식네트워크를 통한 지식의 축적을 측정하고 여러 종류의 지식 축적의 결정 요인과 해당 기관을 알아본다.
제2장은 계량적 연구로서, 국가혁신체제로 성공적으로 전환한 대한민국과 전환에 실패한 태국의 서로 다른 두 형태의 경제체제에 있어 여러 가지 지식흐름의 영향을 살펴본다. 한국의 경우, 외국인 직접투자를 통한 국가 외부 생산 능력 원동력은 생산성 성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대신 한국의 산업은 연구개발 능력과 그와 관련된 파급 효과에 의존한 혁신 능력에서 추진력을 갖는다. 태국에서는 아직 생산 능력이 성장의 주요한 또한 유일하게 유의미한 원동력이다. 연구개발을 통한 학습의 효율성을 국가 경제 전반적으로 확산하여야 한다.
제3장은 한국과 태국의 자동차 산업을 양면적인 접근 방법으로 살펴본다. 첫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혁신 체제에 있어 지식네트워크의 두 주요 흐름인 체화된 그리고 비체화된 지식네트워크에 대한 단편을 제공한다. 체화 그리고 비체화 네트워크는 각 나라의 지식흐름의 상대적 힘을 보여준다. 한국의 지식네트워크가 더 강하며 기술 체제와 하부 체제에서 측정되었을 때 시간의 흐름에 따라 더욱 견고해졌다. 태국의 지식네트워크는 다소 애매한 결과를 보인다. 다시, 지식네트워크의 주요 성장은 연구개발과 무관한 활동에서 비롯된다.
제3장의 두 번째 부분에서는 변화의 역학을 이해하기 위해 산업 분야의 혁신 체제를 살펴본다. 체제 내의 산업들의 최고 수준인 행위자들이 양 국가에서 똑같이 상위권을 유지하고 대부분의 기업이 하위권에서 박탈한다. 하지만 글로벌한 관점에서 따라잡기의 차이는 매우 다르다. 현대자동차는 유일하게 생존하는 한국 자동차 기업이다. 현대자동차의 생존은 분야별 혁신 체제 내에서의 기관들이 육성한 혁신 능력에 크게 의존한다. 대조적으로, 태국 자동차 산업의 상위권 기업들은 모두 외국 혁신 능력을 통해 시장을 통합하고 있는 외국 다국적 기업들이다.
제4장은 국가적 관점으로 돌아간다. 국가적 혁신 체제의 관점에서 한국은 현대, 삼성이나 LG와 같이 여러 산업에 있어 높은 혁신 능력을 갖춘 세계적인 경쟁력의 기업들을 개발할 수 있었다. 태국의 경우, 혁신 체제 전환의 실패는 태국의 중간소득함정의 근본적인 요인으로 이해된다. 제3장에서 살펴본 자동차 산업 분야와 비슷한 이유로, 다국적 기업이 가장 큰 분야인 제조업은 지배한다. 나라의 가장 큰 회사들이 경쟁하는 분야들은 경쟁으로부터 보호되어 혁신 능력의 발달에 반인센티브를 받는다. 국가 혁신 체제에서 약한 행위자(Intarakumnerd et al., 2002)는 많이 변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지식의 축적에 영향을 끼치는 기관과 정책이 늦게 형성되었고 본 기관과 정책이 오히려 축적의 과정을 늦추었다는 것을 발견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혁신 능력을 모는 여러 가지 지식을 강조한다. 지식의 종류에 따른 생산성 성장 요인의 차이는 혁신 전환, 그러므로 성장의 중요한 부분이다. 능력이 다양화되면서도, 이 다양성의 일부에는 새로운 능력들이 이미 존재하는 능력들에 첨부되어 관리 복합성을 증가시켜야 한다. 나아가 국가의 정책의 여러 경로를 통하여 지식 파급 효과에 이바지하는 혁신 능력의 인위적 수요를 장려할 수 있다. 연구개발 지출은 이미 계획에 따르기 때문에 정책의 초점을 여러 종류의 지식에 따라 더욱 효율적이고 급속하게 지식 노동자의 혁신 효과를 증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맞추어야 한다.
Language
eng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037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28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