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기업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팀의 성과와 변혁적 리더십, 임파워먼트, 흡수역량, 과업불확실성 및 심리적 안전의 구조적 관계 :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eam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Empowerment, Absorptive Capacity, Task Uncertainty, and Psychological Safety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in Korean Large Companie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유영주

Advisor
김진모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팀 성과변혁적 리더십팀 임파워먼트팀 흡수역량팀 과업불확실성팀 심리적 안전대기업 연구개발팀연구개발 팀원구조방정식 모형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2019. 8. 김진모.
Abstract
This study was aimed at examin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in large companies and finding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task uncertainty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a specific path of the structural model. To meet the research objectives, the following steps were taken: i) to examine the structural model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in large companies; ii)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in large companies; iii)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of R&D teams in large companies; iv)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task uncertain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of R&D teams in large companies; and v)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of R&D teams in large companies.
The target of this study is R&D team members in domestic large companies. However, if a large company is rarely involved in research and development, it is hard to find the accurate characteristics of a general R&D team by conducting research on that company. The target population was accordingly set as the R&D teams at the top 50 companies in consideration of the R&D investment volume in 2016 suggested in the Report on Corporate R&D Investment and Performance published by the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stitute (2017). The research method was a survey comprised of scales measuring team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team absorptive capacity, team task uncertainty and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items for demographic information.
For preliminary research, the survey data was collected from 55 R&D team members at large companies between April 16 and 22, 2019. The main survey was collected from 328 members of 95 teams at 15 companies between April 25 and May 23, 2019. The data of 319 members of 91 teams at 15 companies (misleading or inappropriate answers excluded) was used to see the analysis level. As the team-level analysis was not validated, the data of 316 respondents from 91 teams (outliers excluded)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data was analyzed using technical statistics such as frequencies, percentages and standard deviati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t-test via SPSS Statistics 22.0, and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ediation and moderating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conducted using Mplus 6.12.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result of inferential statistics was set at p<.05.
This study resulted as follows: i) The fit indices of the structural model between team performanc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of R&D teams in large companies were all moderate, having appropriately expect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i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d no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while positively affecting team empowerment (β=.594, p⟨.001)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β=.306, p⟨.001), respectively. Team empowerment also had a positive effect respectively on team performance (β=.579, p⟨.001)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β=.575, p⟨.001), which was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β=.332, p⟨.001); iii) mediating effects were analyzed based on the estimation using bootstrapping. The result showed that team empowerment (β=.344, p⟨.001)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β=.102, p⟨.01) significantly mediated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whereas double mediation of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was significant (β=.114, p⟨.001); and iv) there existed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of team task uncertain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between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as well as moderating effects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team absorptive capacity and team performance.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include the followings: 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appropriately expect the team performance; i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has no direct and positive effect on team performance; iii)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team empowerment; iv) Transformational leadership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has a direct and positive impact on team absorptive capacity; v) Team empowerment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directly and positively influences team absorptive capacity; vi) Team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directly and positively affects team performance; and vii) team empowerment and team absorptive capacity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respectively have single-mediating and double-mediating effects on the paths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team performance.
Based on the aforementioned conclusions, th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posed as below: i) it is needed to use objective indices to measure team performance or limit a certain agent as a team leader; ii)future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given the differences of R&D teams by industry; iii) circumstantial moderating variables which may affect team absorptive capacity need further research; iv) future research needs to consider non-human trust in the definition and the scales of team psychological safety; and v) team-related factors affecting R&D team performance should be explored further.
Practical suggestions wer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team performance perceived by R&D team members, based on the conclusions: i) circumstantial factors which can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R&D team leaders should be found; ii) psychological empowerment, not a structural one, needs to be exercised in the process of team empowerment; and iii) it is needed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R&D team members can demonstrate their team absorptive capacity.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 구조 모형의 특정 경로에서 팀 과업불확실성과 팀 심리적 안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데 있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 간의 구조적 모형을 검증하였다. 둘째, 대기업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 간 영향관계를 구명하였다. 셋째, 대기업 연구개발팀의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와 팀 흡수역량이 갖는 매개효과를 구명하였다. 넷째, 대기업 연구개발팀의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에서 팀 과업불확실성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다섯째, 대기업 연구개발팀의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및 팀 성과의 구조적 관계에서 팀 심리적 안전의 조절효과를 구명하였다.
이 연구의 대상은 국내 대기업 연구개발 팀원이다. 그러나 연구개발 활동이 잘 일어나지 않는 대기업은 연구개발팀 특성에 대한 정확한 조사가 어렵기 때문에 과학기술정책연구원(2017)에서 발행한 기업의 연구개발투자와 성과 보고서에 제시된 2016년도 연구개발 투자규모 순위를 고려하여 상위 50개 대기업 리스트를 활용하였다. 조사도구로는 팀 성과,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 팀 과업불확실성, 팀 심리적 안전 척도와 인구통계학적 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예비조사의 경우, 2019년 4월 16일부터 4월 22일까지 대기업 연구개발 연구원 55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조사의 경우, 2019년 4월 25일부터 5월 23일까지 이루어졌으며, 15개 기업의 95개 팀, 328명의 자료를 회수한 후 부적절한 응답을 제외하고, 15개 기업의 91개 팀, 319명 자료를 활용하여 분석 수준을 확인하였다. 팀 수준 분석의 타당성을 검토한 결과, 타당성이 충족되지 않아 91개 팀에 소속된 319명의 응답 자료 중 이상치를 제외한 316명의 응답 자료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2.0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와 상관관계 분석, t-검정을 실시하였으며, Mplus 6.12를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잠재조절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추리통계 결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은 .05를 기준으로 판단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대기업 연구개발팀의 성과와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및 팀 흡수역량 간 구조모형에 대한 적합도는 모두 양호한 것으로 나타나 변인 간 구조적 관계를 타당하게 예측하였다. 둘째, 변혁적 리더십은 팀 성과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팀 임파워먼트에는 정적 영향(β=.594, p⟨.001)을 미쳤으며, 팀 흡수역량에도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β=.306, p⟨.001). 또한 팀 임파워먼트도 팀 성과(β=.579, p⟨.001)와 팀 흡수역량(β=.575, p⟨.001) 각각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팀 흡수역량도 팀 성과에 정적 영향(β=.332, p⟨.001)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에 의한 추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β=.344, p⟨.001)와 팀 흡수역량(β=.102, p⟨.01)은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의 이중 매개효과 또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β=.114, p⟨.001).넷째, 구조모형에서 변혁적 리더십과 팀 흡수역량의 관계, 팀 임파워먼트와 팀 흡수역량의 관계에서 팀 과업불확실성의 조절효과와 팀 흡수역량과 팀 성과의 관계에서 팀 심리적 안전의 조절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으로는 첫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변혁적 리더십, 팀 임파워먼트, 팀 흡수역량은 팀 성과를 예측하는데 적합하다. 둘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성과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셋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임파워먼트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리더의 변혁적 리더십은 팀 흡수역량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팀 임파워먼트는 팀 흡수역량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팀 흡수역량은 팀 성과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한 팀 임파워먼트와 팀 흡수역량은 변혁적 리더십과 팀 성과 간 경로를 각각 단일매개, 이중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팀 성과의 측정에 있어 객관적인 지표를 활용하거나 측정 주체를 팀장으로 한정하여 연구를 수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연구개발팀의 업종별 차이를 고려한 연구를 수행해야 한다. 셋째, 팀 흡수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상황적 조절변인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넷째, 팀 심리적 안전의 개념 및 측정 도구에 있어 비인적 신뢰 측면을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연구개발팀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팀 관련 요인을 추가적으로 탐색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연구개발 팀원이 인식하는 팀 성과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개발팀 리더가 발휘하는 변혁적 리더십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상황적 요인을 구명해 나가야 한다. 둘째, 팀 임파워먼트 실천 과정에서 구조적 임파워먼트가 아닌 심리적 임파워먼트가 실천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연구개발 팀원들이 팀 흡수역량을 실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주어야 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069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8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