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 연구
출신 지역별, 대학 소재별 격차를 중심으로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성상-
dc.contributor.author박미희-
dc.date.accessioned2019-10-21T03:03:44Z-
dc.date.available2019-10-21T03:03:44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8308-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14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08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2019. 8. 유성상.-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employment outcomes of university graduates. It observes that the social and human resources impacting job acquisition are concentrated in Seoul, and, moreover, that institutions in Seoul sit at the top of a social (reputational) hierarchy of universities. The study examines how growing up in Seoul and graduating from a university in the city affects students first post-graduation jobs, and attempts to determine whether these factors produce structural differences in labor market performance.
The study is based on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Survey(KEEP), specifically from the 4th to 12th year (2007-2015) of the 3rd grade middle school student panel. The analysis method used vari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pendent variable. Where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discrete, such as in the case of employment status, regular employment, and employment in large corporations,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applied. In the case of occupational status, a continuous variable, the ordinary least square (OLS) method was used. First, all graduates of 4-year universities were analyzed. Then the data was divided into samples according to university location (within Seoul, or not in Seoul) and analyzed again: since university location and home region overlaps, and educational experience differs depending on university location, the data needed to be divided according to whether or not the graduated institution was in Seoul so that it could be determined if students home region influences post-graduation employment where university status remains the sam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family background, educational experience, and employment preparations of university graduates varies with their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n general, the relatively superior family environment and local resources of university graduates from Seoul allowed them more opportunities to prepare for employment. They made strategic use of their individual resources in the job search process and ended up in more stable, higher paid jobs with better working conditions than graduates from outside the capital. Graduates who grew up outside of Seoul and did not attend a university in Seoul tended to have the poorest backgrounds. When those who grew up in Seoul attended universities outside the capital, they generally used their socioeconomic resources more efficiently in their employment preparations and searches than their peers from other regions who did not go to a Seoul-based university.
Investigation into the effect of home region on employment outcomes showed that this variable influenced employment status and acquisition of regular employment, but did not influence employment in large corporations or the graduates positions in their first job. Home region was found to have influenced employment outcome for graduates of universities based both inside and outside the capital. Its effects on both employment and full-time, regular employment did not disappear even when variables related to university rank, job preparation, and regional society were controlled for.
Based on these results, furth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y home region influenced graduates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Analysis of both graduates nationwide and graduates from only Seoul-based institutions indicated that home region directly influenced employment outcomes, rather than through mediating variables. This means that were there two university graduates with the same background and accomplishments, who differed only in terms of whether or not they grew up in Seoul putting exactly the same amount of effort into getting a job, the graduate from Seoul would have a better chance of success. It would also be more likely for them to find a stable and secure position. Moreover, these effects were more pronounced among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On the other hand, analysis of the sample containing graduates of universities based outside Seoul showed that job preparation activities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home region: graduates who had attended universities outside Seoul but grew up in the capital were more likely to have taken extra measures, such as preparing for job interviews while still a student, attending job fairs, or taking vocational training, and this can be said to have raised their chances of finding employment of low, or high, quality.
Other factors that positively influenced to transition into the labor market included being male, university rank, job search experience and overseas training. Being male, having parents' with a high level educational, a good SAT score, and overseas training all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Job position, which indexes with ones authority at work, was only influenced by SAT scores. The analysis of the sample made up of graduates from universities in Seoul only, the higher their parents' income level, the more likely the graduates were to be employed at a large company. Graduates with the highest levels of familism, or who used official networks in the employment search proces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On the other hand, those who studied for qualifications while still a student, or had a lot of experience preparing for employment actually tended to find themselves in lower positions in their first jobs. In the sample of graduates from universities outside Seoul, the higher their parents education level, the higher their achievement level, and the more overseas training they had, the more likely the graduates were to secure employment at a large corporation. If public employment networks were used in the job-hunting process, there was a high probability of finding a job at a large company. These results suggest that, unlike graduates of universities in Seoul, graduates of institutions based outside Seoul must prove their productivity by accumulating human capital if they are to find employment at large corporations.
The paper goes on to discuss the disparities involved in the acquisition of first post-graduation jobs. After graduation, job opportunities were distributed differentially depending primarily on the graduates home region. And the fact that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mpact on success in the labor market implies that labor market performance is linked to social-structural problems in our society; since the position a graduate manages to secure in their first job influences the positions they can acquire later, the discrepancy in early jobs according to home region and university location is likely to henceforth function as a mechanism driving the expansion of inequality between social classes. Other mechanisms functioning to increase inequality were gender and family background; in higher education it is difficult for women to acquire the same human capital as men, and even if they do, they face other forms of discrimination in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the socioeconomic background of parents influences the labor market performance of their children through various channels.
I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 from the analysis conducted in this study; differences in social class, gender, and region are not only structurally manifested in university graduates' first post-graduation jobs – the individual factors work together to produce inequality in later social mobility.
-
dc.description.abstract이 논문은 대학에서 노동시장으로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 과정에서 나타나는 격차와 그 원인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이 논문은 불균등한 지역 발전으로 우리 사회의 자원이 서울에 편중되어 있으며 대학의 사회적 위상 역시 서울 지역을 중심으로 위계화 되어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이에 이 연구는 출신 지역이라는 개인의 귀속적 배경이 대학의 소재지(대학의 서열)와 더불어 대학 졸업자의 노동시장 이행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서 교육이 개인의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해 주는지 혹은 귀속적 배경과 연계하여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재생산하고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한국교육고용패널(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KEEP)의 중학생 패널 4차년도(2007)∼12차년도(2015)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 대상은 취업 불가능자 및 노동시장 이행 경로에 차이가 있는 무급종사자와 자영업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4년제 대학 졸업자 중 임금근로자 662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분석 방법은 종속변수의 특성에 따라 다르게 적용하였다. 종속변수가 취업, 정규직 취업, 대기업 취업 여부 등 이산형 변수일 경우에는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모형을 적용하였고, 종속변수가 연속형 변수일 경우에는 일반최소자승법을 활용한 회귀분석(OLS, ordinary least square)을 실시하였다.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지에 따라 대졸자 개인의 배경과 취업 준비를 위한 교육 경험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는 비서울 지역 출신 대졸자보다 비교적 우수한 가정 배경과 지역의 자원을 바탕으로 대학 재학 중 다양한 취업 준비 활동을 하였다. 그리고 개인이 보유한 사회적 네트워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여 취업하였다. 그러나 학업성취 수준은 동일 소재 대학 내에서 비서울 출신이 약간 더 높았다. 서울 출신은 비서울 출신보다 취업 결과가 좋았으며, 서울 출신이면서 서울 소재 대학을 다닐 경우 가장 성과가 좋았다.
다음으로 대졸자의 첫 일자리에 출신 지역의 영향이 존재하는지 분석한 결과, 출신 지역의 효과는 취업과 정규직 취업 분석에서만 나타났다.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 집단과 서울이외 소재 대졸자 집단으로 대학 소재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도 출신 지역은 취업과 정규직 취업 가능성을 높였다. 그런데, 출신 지역 변인은 졸업한 대학의 소재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취업 결과에 영향을 주었다. 서울 소재 대졸자 분석 결과에서 출신 지역은 다른 요인을 매개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취업 결과에 영향을 주었으나 서울이외 4년제 대학 졸업자 분석에서는 출신 지역 변인이 취업 준비 활동을 매개하여 영향을 주었다.
출신 지역 변인 이외에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요인은 성별, 대학의 서열, 취업 준비 활동 경험, 해외연수 경험, 구직 경로 등으로 나타났다. 남성일수록, 구직 준비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해외연수 경험이 있을수록 취업 및 정규직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대학의 소재에 따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서울 소재 대졸자의 경우 남성, 해외 연수 경험, 서울 소재 대학 내 하위서열 대학이 취업 및 정규직 취업 가능성을 높였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은 남성, 구직 준비 활동 경험 정도, 해외연수 경험이 취업 및 정규직 취업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대기업 취업에는 출신 지역은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남성, 부모 학력, 수능성적, 해외연수 경험, 가족주의 가치 변인이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다만, 사적 연결망을 활용한 구직경로는 부적 효과가 있었다. 대학의 소재별 분석에서는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들의 경우 부모의 소득수준이 높을수록, 구직 준비 활동 경험이 많을수록, 가족주의 가치를 지닌 대졸자일수록 대기업으로 취업할 가능성이 높았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 분석에서는 남성일수록, 부모의 학력이 높을수록, 성취수준이 높을수록, 해외 연수를 다녀오거나 구직 과정에서 사적연결망을 활용하지 않을 경우 대기업으로 취업할 확률이 높았다. 서울이외 소재 대학 졸업자가 대기업으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서울 소재 대졸자보다 취업을 위해 더 많이 노력해야 할 뿐만 아니라 개인의 가정배경과 개인의 성취수준까지 모두 높아야만 안정되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이 가능하였다. 다음으로 직업지위는 수능성적만이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수능성적 등급이 높을수록 첫 일자리의 직업지위도 높아졌다. 이는 대졸자의 노동시장 성과 차이의 상당 부분이 대학 입학 이전의 성취능력이라 할 수 있는 수능성적 차이에 의해 설명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서울 소재 대학 졸업자만을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에서는 수능성적 이외에도 자격증과 구직준비 활동이 직업지위에 영향을 주었는데, 그 효과는 부적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 수준의 불평등 기제를 발견하였다. 먼저, 졸업 후 일자리의 기회는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요인에 따라 차등적으로 배분되고 있었다. 더욱이 출신 지역의 영향은 서울 소재 대학과 결합될 때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대학의 소재는 채용 과정에서 선별의 준거로 작동하고 있었는데, 서울 소재 대학은 노동시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인적자본을 상징하고 있었다. 그 결과 동일한 대졸 학력을 획득하더라도 서울이외 소재 대졸자가 서울 소재 대졸자와 같이 안정되고 좋은 일자리로 취업하기 위해서는 더 많은 인적자본을 쌓아 고용주에게 자신의 생산성을 증명해야만 가능하였다. 출신 지역의 영향이 대학 소재와 연계되어 초기의 직업지위획득 과정에 영향을 주면서 취업 준비 경험, 교육 및 훈련의 효과, 노동시장의 성과가 모두 출신 지역과 대학소재에 따라 계층화되고 있었다. 이러한 구조 속에서 지방 출신으로 지방 대학을 졸업한 자들은 노동시장 이행에서 가장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다. 초기 직업지위획득 과정에서 취업의 기회가 사회구조적 요인에 따라 차별적으로 주어진다는 점은 계층 불평등의 재생산과 관련하여 중요한 시사점을 갖는다.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이 대학 간 서열을 매개로 노동시장에서 불평등을 양산하는 기제로 작동하고 있는 것이다.
성별과 가정배경은 또 다른 불평등 기제였다. 고등교육 단계에서 여성은 남성과 동일한 인적자본을 획득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획득했다고 하더라도 노동시장에서 또 다른 차별을 받고 있었다. 출신 지역과 대학 소재에 따라 노동시장에서의 성과가 계층화되어 나타나는 가운데, 지방 출신으로 지방 대학을 졸업한 여성은 노동시장에서 불평등을 겪을 가능성이 가장 컸다. 그리고 부모의 교육수준과 소득수준은 취업 여부 보다는 질적으로 우수한 일자리로의 취업을 통해 자녀에게 재생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 획득에서 나타나는 격차는 사회구조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동하여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노동시장에서의 격차가 사회구조적인 요인에 의한 차이에서 비롯된다면 개인의 노력만으로는 이러한 격차를 극복하기란 어렵다. 특히, 초기의 직업지위는 이후의 지위획득과정에까지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첫 일자리에서 발생하는 격차 문제는 이후 사회 이동에서의 사회계층 간 불평등 문제로 연계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대학 교육은 출신 지역이라는 귀속적 배경의 영향을 완화시키기보다, 노동시장에서 발생하는 사회구조적 불평등을 대학 내 서열을 통해 재생산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2. 연구문제 11
Ⅱ. 이론적 배경 14
1. 이론적 논의 14
1) 개인주의적 관점 14
2) 구조주의적 관점 19
3) 사회관계적 관점 21
2. 노동시장 성과 결정요인에 대한 선행연구 22
1) 개인적 요인 23
2) 구조적 요인 28
3) 사회관계적 요인 30
3. 노동시장과 지역 간 격차 32
1) 대학의 위계적 분화와 지역 격차 33
2) 노동시장에서 나타나는 지역 간 불평등 38
4. 선행연구의 제한점 42
Ⅲ. 연구방법 46
1. 분석자료 46
1) 분석자료 46
2) 분석대상 47
3) 분석 자료의 제한점 48
2. 변인구성 52
1) 종속변수 52
2) 독립변수 55
3. 분석방법 62
Ⅳ. 분석결과 66
1. 출신 지역 및 대학 소재별 특성 비교 66
1) 출신 지역 및 대학 소재별 대졸자의 특성 66
2) 교육경험 및 노동시장 이행 실태 73
3) 취업 결과 78
2. 대졸자의 첫 일자리 지위획득 격차 분석 83
1) 대졸자의 첫 일자리 취업 분석 84
2) 대졸자의 첫 일자리 정규직 취업 분석 95
3) 대졸자의 첫 일자리의 대기업 취업 분석 105
4) 대졸자의 첫 일자리의 직업지위 분석 117
Ⅴ. 논의 및 결론 125
1. 논의 125
2. 요약 및 제언 138
참고문헌 151
부록 169
Abstract 17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고등교육-
dc.subject지위획득과정-
dc.subject불평등-
dc.subject취업 격차-
dc.subject지역 격차-
dc.subject.ddc370-
dc.title대졸자의 초기 직업지위획득 연구-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title.subtitle출신 지역별, 대학 소재별 격차를 중심으로-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8308-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8308▲-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