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은퇴기 여성의 일-가족 생애이야기와 은퇴의 의미 : The Work-family Life Story of Women in Retirement Age and the Meaning of Retirement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은경-
dc.contributor.author이호숙-
dc.date.accessioned2019-10-21T03:08:46Z-
dc.date.available2019-10-21T03:08:46Z-
dc.date.issued2019-08-
dc.identifier.other000000157280-
dc.identifier.urihttps://hdl.handle.net/10371/16219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280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2019. 8. 배은경.-
dc.description.abstractThis paper examines the experiences of work-family and retirement through the life stories of retired women in their 50s to early 60s. This paper was able to fi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women in middle-class occupations and women in working-class occupations in life's work experience, self-narrative and retirement experience.
The work-family life experience and self-narrative of middle-class women are as follows. Most of the middle-class women engaged in the fields related their University major and continued to work, without interruption in their career, in the jobs they were engaged in when entering the labor market. Middle-class women showed a stronger identity of workers, and work and family were perceived as a life task, not a choice. They often paid for their full living expenses or shared them jointly, and considered their breadwinning roles as natural.
Middle-class women described work-family reconciliation as a difficult task. In most cases, their parents or parents-in-law helped raise the children but, since such help were mostly not stable, those women had to try to find other help. Most of the middle-class husbands did not participate in housekeeping and upbringing, but the problem of housework sharing did not become a factor of conflict, as women regarded it as a situation of the times. Middle-class women were proud of their status as working mothers to their children, but they also expressed their feelings of sorriness because they did not seem to spend much time and attention on their children. The main narrative that appears in middle-class women is about their work experiences, especially their self-development efforts and experiences in the workplace. They explained in detail how hard they worked during their careers and the discrimination and difficulties they faced because they were women.
The work-family life experience and self-narratives of working-class women are as follows. Working-class women entered the labor market with less than high school graduation as blue-collar workers, unpaid family workers or simple office workers. Most of them experienced discontinuities of employment due to the marriage retirement, and there was no case in which the job at the time of their marriage had lasted until their retirement. It was in economic necessity or by chance that working-class women came back to work. For women in the working-class, their economic activities were perceived as subsidies to their livelihoods. Some of the women were responsible for the actual sustenance. but they still had a perception that their husbands were breadwinners. Most working-class women were positive about working, and what was important for them was the fact that they were working rather than in which jobs they were engaged.
The working-class women stated that work-family reconciliation was not difficult. They nurtured their children during the career interruption and most of them worked part-time when re-entering the labor market. In addition, since there were more difficulties than work-family reconciliation in their life, they could not feel too much pressure on work-family reconciliation. While most women in the working-class were unable to receive external support for housekeeping or parenting, but those working-class women in this paper were able to work at their retirement levels because their husbands were cooperative in their housework or nurturing. The working-class women were proud of herself as a working mother in that they were able to educate and nurture their children in a stable manner because they shared the economic responsibilities of households. The working-class women described their life stories around their families, especially husbands and their husbands families, and unfair treatment of their husbands and husbands families that were not helpful to their lives appeared as the main narrative.
The study participants' perceptions of retirement process and retirement are as follows. While retired women in middle-class have been continuously working in a single workplace for 30 to 40 years, those retired in working-class have been retired from unlimited term contract positions and had relatively short years of continuous service. The middle-class women quitting the career job had various reasons for resignation and most of those reasons were related to the workplace, which were not family-related factors. Retired women in working-class suggested only one or two reasons of retirement and those were relatively more family-related factors.
Some of the middle-class women stated that they no longer wanted to engage in economic activities after retiring from their main jobs, and were working under conditions of part-time or setting their own schedule if they participated in post-retirement economic activities. Most women in the working-class were working full-time after retirement, and were engaged in similar occupation categories to those before retirement, but their working conditions were getting worse.
Most of the women who judged themselves to be retired were most retired from the public sector, and they recognized their resignation as retirement. Other women acknowledged that they had resigned, but refused to prescribe their status as a retirement. The study participants in this paper defined retirement as not doing economic activities, not being able to socially necessary things, not having social relations, nonexistent, and something changing. Those who defined retirement as not being able to socially necessary works were also included housework and care for their grandchildren in the category of labor. The notion that the concept of labor includes both paid work and unpaid work is a distinct characteristic of women's definition of retirement.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participants in this paper for retirement were bilateral meaning such as new beginnings, leisure, and loss. Middle-class women often perceived retirement as a new beginning of life and leisure, and working-class women often referred to it as loss.
The paper also showed that women are much more attached to their families than men regardless of their classes, but it is found that there is differences in the negotiating power between work and family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occupations corresponding to classes. In this paper, we believe that the existing explanation, which says women are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because they have family obligations, reverses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facts and should be changed. Because women are in a disadvantageous position in the labor market and are engaged in unstable jobs, they can easily choose to cut their careers and cannot exercise their negotiation power in work-family reconciliation and thus, become to play a role of family care.
In previous retirement studies, the experience of working-class women was analyzed as the experience of the general women, and the differences in retirement between men and women were highlighted. In this paper, the retirement process and retirement experience of women who engaged in the middle-class occupations and women who engaged in the working-class occupation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e findings of this paper show that retirement experience of women with long-term careers in good occupations does not differ from that of men workers.
-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50대에서 60대 초반의 은퇴기 여성의 생애 이야기를 통해 일-가족과 은퇴 경험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논문에서 중간계급 직종에 종사했던 여성과 노동계급 직종에 종사했던 여성들은 생애 노동경험과 자기 서사, 은퇴경험에서 차이가 있다는 것을 드러낼 수 있었다.
중간계급 여성의 일-가족 생애 경험과 자기서사는 다음과 같다. 중간계급 여성은 대학 진학시 결정한 학과가 직업과 연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노동시장에 진입할 당시 종사했던 일자리에서 경력단절 없이 근무하였다. 중간계급 여성들은 노동자 정체성을 강하게 나타냈으며, 일과 가족은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아닌 하나의 삶의 과제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들은 생활비를 전적으로 부담하거나 공동으로 부담하는 경우가 많았고, 생계부양을 당연한 것으로 여겼다.
중간계급 여성들은 일-가족 양립을 어려운 과제였다고 서술했다. 대부분은 친정부모나 시부모가 아이 양육을 도와 주었지만 안정적으로 돌봐 주는 경우는 극소수에 불과했기 때문에 여성들은 도움의 조직을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만 했다. 중간계급 남편들의 대부분은 가사와 양육에 참여하지 않았지만, 여성들은 이것을 시대적 상황으로 해석했기 때문에 가사분담 문제가 갈등의 요소가 되지는 않았다. 중간계급 여성들은 일하는 엄마로서 자신의 삶이 자녀들에게 자랑스럽기도 하지만, 자녀들에게 시간과 관심을 적게 쏟은 것 같아서 미안하기도 한 양가감정을 드러내었다. 중간계급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주된 서사는 자신의 일에 대한 것으로, 특히 자기개발 노력, 직장생활에서의 경험에 대해서 상세히 서술하였다. 이들은 자신이 직장생활을 하는 동안 얼마나 열심히 일을 했는지와 여성이기 때문에 받았던 차별이나 어려움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했다.
노동계급 여성의 일-가족 생애 경험과 자기서사는 다음과 같다. 노동계급 여성들은 고등학교 졸업 이하의 학력을 가지고, 생산직⋅무급 가족종사자⋅단순 사무직으로 노동시장에 진입했다. 이들은 대부분 결혼 퇴직으로 경력이 단절되었으며, 결혼 당시의 일자리가 퇴직 시까지 지속된 경우는 한 사례도 없었다. 노동계급 여성들이 다시 일을 하게 된 것은 경제적인 필요 또는 우연한 계기에서 였다. 노동계급 여성들에게 자신의 경제활동은 생계에 보조적인 것으로 인식되었다. 일부 여성들은 실질적인 생계부양을 하고 있었지만, 이 경우에도 남편이 생계부양자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었다. 노동계급 여성들 대부분은 일하는 것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는데, 이들에게는 어떤 일에 종사하느냐 보다는 현재 무슨 일이든 일을 하는 것 자체가 중요했다.
노동계급 여성들은 일-가족 양립을 힘들지 않았다고 서술했다. 이들은 경력단절을 한 상태에서 자녀를 양육했고, 노동시장 재진입시 시간제로 일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또한 삶에서 일-가족 양립보다 힘든 일이 더 많았기 때문에 일과 가족을 양립하는 것에 큰 부담을 느끼지 않을 수 있었다. 노동계급 여성은 가사나 양육에 외부의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지만 본 논문의 노동계급 여성들은 남편이 가사나 양육에 협조적이었기 때문에 퇴직에 이를 정도로 일을 할 수 있었다. 노동계급 여성은 일하는 엄마로서의 자신을 자랑스럽게 여겼는데, 자신이 가계의 경제적인 책임을 같이 나누었기 때문에 아이들을 안정적으로 교육시키고, 양육할 수 있었다고 평가했다. 노동계급 여성들은 자신의 생애이야기를 가족, 특히 남편과 시집 식구들을 중심으로 서술했고, 자신의 인생에 도움이 안 되는 남편과 시집에서의 부당한 대우가 주된 서사로 나타났다.
연구참여자들의 은퇴과정과 은퇴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다. 중간계급 정년퇴직 여성들은 30년에서 40년을 한 직장에서 지속적으로 일해 온 반면에, 노동계급 여성들은 무기계약직에서 정년퇴직했고, 상대적으로 근속년수가 짧았다. 중도퇴직한 중간계급 여성들은 여러 가지 퇴직 사유를 들었고, 직장과 관련한 비가족적 요인이 주가 되었다. 노동계급 여성들이 퇴직 사유로 제시한 것은 한 가지 또는 두 가지에 불과했으며, 상대적으로 가족 관련 요인이 더 많았다. 중간계급 여성들 중 일부는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 경제적인 활동을 더 이상 하고 싶지 않다고 서술했고, 퇴직 후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경우에는 시간제나 시간 운용이 자유로운 조건 하에서 일하고 있었다. 노동계급 여성들의 대부분은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후에도 당연히 경제활동을 해야 한다고 여기고 있었고, 단절 없이 일을 하고자 했다. 노동계급 여성 대부분은 퇴직 후 전일제로 일하고 있었고, 퇴직 전 직종과 유사한 직종에 종사하고 있었지만 노동조건은 더 열악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이 은퇴했다고 주관적으로 판단한 여성들은 공공부문에서 정년 퇴직한 사례들이 대부분으로, 이들은 퇴직을 곧 은퇴로 인식했다. 이 외의 여성들은 자신들이 퇴직한 것은 인정했지만 자신의 상태를 선뜻 은퇴한 것으로는 규정짓지 않으려고 했다. 본 논문의 연구참여자들은 은퇴를 경제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 것, 사회적으로 필요한 일을 하지 못 하는 것,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 하는 것, 은퇴는 없는 것, 은퇴는 변화하는 것으로 정의하고 있었다. 은퇴를 사회적으로 필요한 일을 하지 못 하는 것으로 정의한 여성들은 가사 노동, 손자녀 돌봄도 노동의 영역에 포함해서 논의하고 있었는데, 유급노동과 무급노동 둘 다를 포함한 개념으로 노동을 상정하는 것은 여성의 은퇴 정의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연구참여자들이 은퇴에 부여하는 의미는 새로운 시작, 여유로움, 상실, 양면적인 의미였다. 중간계급 여성들은 은퇴를 삶의 새로운 시작, 여유로움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았고, 노동계급 여성들은 은퇴를 상실로 의미화한 경우가 많았다.
본 논문을 통해서도 여성들은 계급과 관계없이 남성에 비해 훨씬 더 가족에 고착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계급에 해당하는 직종의 특성에 따라 일-가족에 대한 협상력에서 차이가 발생함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여성이 가족 의무를 지고 있기 때문에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는 기존 설명의 선후관계가 바뀌어야 한다고 본다. 여성이 노동시장에서 불리한 위치에 있고, 불안정한 직종에 종사하기 때문에 쉽게 경력단절을 선택하게 되고, 일-가족 양립에서 협상력을 발휘하지 못 하게 되어 가족내 돌봄 역할을 담당하게 되는 것이다.
기존 은퇴 연구에서는 노동계급 여성의 경험이 여성일반의 경험으로 분석되어졌고, 남성과 여성간 은퇴의 차이점이 부각되었다. 본 논문에서 중간계급 직종에 종사했던 여성들과 노동계급 직종에 종사했던 여성들의 은퇴과정과 은퇴 경험은 상당한 차이가 나타났다. 주요한 일자리에서 장기간 경력을 가진 여성들의 은퇴 경험은 남성노동자들의 은퇴 경험과 다르지 않다는 것을 본 논문의 발견으로 볼 수 있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장 서론 1
1절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1
2절 선행연구 검토 6
1. 은퇴에 대한 페미니스트 접근 6
2. 여성의 은퇴 연구 9
1) 여성의 은퇴 과정 9
2) 여성의 은퇴 경험 10
3절 용어 정의와 분석틀 13
1. 용어의 정의 13
1) 은퇴 13
2) 퇴직 14
3) 계급 15
2. 분석틀 17
4절 연구 방법 19
1. 질적 연구의 설계 19
2. 면접조사 과정 20
3. 연구참여자의 특성 23
2장 여성의 일-가족 경험의 사회적 조건: 1970년대-현재 28
1절 젠더 관계에 영향을 준 사회 변화 28
2절 기혼 여성의 가족적 삶 32
1. 근대적 주부 역할의 성립 32
2. 전업주부와 취업주부의 사이에서 38
3절 여성 노동시장의 변화와 기혼 여성 노동의 성격 40
1. 미혼 여성 위주의 여성 노동시장: 1970년대 41
2. 기혼 여성 노동자의 약진: 1980년대 45
3. 기혼 여성의 노동 참여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는 시기: 1990년대 47
4. 중고령 여성 노동자의 증가: 2000년대 이후-현재 51
4절 일-가족 생애의 유형들 56
3장 노동자로서의 생애 경험 62
1절 노동 이력 62
1. 미혼 여성 노동 63
1) 고학력 여성 63
2) 저학력 여성 66
2. 기혼 여성 노동 69
1) 일자리의 지속 69
(1) 경제적 필요성 69
(2) 일자리의 특성 71
(3) 주변의 지지 74
2) 일자리의 단절 76
(1) 여성의 생애 사건에 의한 단절 76
(2) 경력 복귀 후의 일자리 80
2절 유급노동의 의미 90
1. 노동자 정체성 90
1) 나는 일을 해야 하는 사람 91
2) 생계부양의 당연함 94
3) 가족의 성공이 아닌, 나의 성공 96
2. 생계 보조자 97
1) 도움은 되겠죠 97
2) 어떤 일이냐가 아니라 일을 하는 것 자체가 중요함 101
4장 기혼 여성으로서의 생애 경험 104
1절 가족 내 역할 104
1. 일-가족 양립 문제 104
1) 일-가족 양립은 어려운 과제 105
(1) 초기 양육기의 어려움 105
(2) 도움의 조직을 위한 노력 109
(3) 남편: 의무의 면제 113
2) 일-가족 양립은 사소한 일 116
(1) 힘들지 않음: 다른 문제가 더 힘들었지 116
(2) 일-가족 양립: 나 아니면 가족 120
2. 일하는 엄마 123
1) 미안함과 뿌듯함 124
2) 자랑스러움과 보람 127
2절 주된 서사 131
1. 노동 중심 서사 131
1) 자기개발 노력 131
2) 직장생활에서의 경험 135
2. 가족 중심 서사 141
1) 도움이 안 되는 남편 141
2) 시집에서의 부당한 대우 147
5장 퇴직 과정과 은퇴 인식 152
1절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과 은퇴 152
1. 주된 일자리에서의 퇴직 상황 152
1) 정년퇴직 153
(1) 중간계급: 전형적인 정년퇴직 153
(2) 노동계급: 무기계약직에서의 정년퇴직 156
2) 중도퇴직 158
(1) 중간계급의 퇴직 158
(2) 노동계급의 퇴직 163
(3) 퇴직 서사: -였으면 퇴직을 못 했죠 166
2. 주된 일자리 퇴직 후의 경로 168
1) 경제활동 의사 없음 168
(1) 돈 버는 일은 안하고 싶어요 169
(2) 바쁘지만 자유로운 하루 172
2) 경제활동 참여 176
(1) 일의 의미 176
(2) 퇴직 후 재취업 과정 183
(3) 경제활동 참여 형태 188
2절 은퇴에 대한 인식 193
1. 자신의 은퇴 여부에 대한 판단 193
2. 은퇴에 대한 개인적 정의 198
1) 경제적인 활동을 하지 않는 것 198
2) 사회적으로 필요한 일을 하지 못 하는 것 199
3) 사회적 관계를 맺지 못 하는 것 202
4) 은퇴는 없는 거 같애 203
5) 변화하는 개념 205
3. 은퇴에 부여하는 의미 207
1) 새로운 시작 207
2) 여유로움 209
3) 상실: 언저리에 있다는 생각 211
4) 양면성: 공존하는 거 같애요 212
6장 결론 215
1절 연구 결과 요약 215
1. 중간계급 여성의 일-가족 생애 경험과 자기 서사 215
2. 노동계급 여성의 일-가족 생애 경험과 자기 서사 217
3. 은퇴 과정과 은퇴에 대한 인식 220
2절 연구의 함의와 향후 과제 223
참고문헌 227
Abstract 243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여성 은퇴-
dc.subject일-가족-
dc.subject젠더/계급-
dc.subject여성 노동-
dc.subject중고령 여성-
dc.subject중간계급 여성-
dc.subject노동계급 여성-
dc.subject생애이야기-
dc.subjectwomen retirement-
dc.subjectwork-family-
dc.subjectgender/class-
dc.subjectwomen labor-
dc.subjectmiddle-aged women-
dc.subjectmiddle-class women-
dc.subjectworking-class women-
dc.subjectlife story-
dc.subject.ddc305.4-
dc.title은퇴기 여성의 일-가족 생애이야기와 은퇴의 의미-
dc.title.alternativeThe Work-family Life Story of Women in Retirement Age and the Meaning of Retirement-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AlternativeAuthorHosook Lee-
dc.contributor.department사회과학대학 협동과정 여성학전공-
dc.description.degreeDoctor-
dc.date.awarded2019-08-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7280-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0▲000000000041▲000000157280▲-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