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형상과 의미 연구 : A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Violenc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어진

Advisor
정병설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폭력폭력 서사한글장편소설구조적 폭력문화적 폭력여성 폭력폭력의 은폐타자화여성 독자violenceviolence narrativesKorean classical novelsRoman-fleuveSohyeonseongrok(蘇賢成錄)Yuhyogongsunhangrok(劉孝公善行 錄)Boeungiurok(報恩奇遇錄)Myeongjubowoelbing(明珠寶月聘)structural violencecultural violencefemale readershi소현성록유효공선행록보은기우록명주보월빙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19. 8. 정병설.
Abstract
화합과 조화의 세계를 형상화했다고 여겨지는 한글장편소설에는 차별, 혐오, 적대, 폭력, 불화, 불행 등 삶의 부정적인 국면에 대한 이야기가 비중 있게 등장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중에서도 폭력의 문제에 집중하여, , , 및 에 나타난 폭력의 형상과 의미를 밝히고자 했다. 이를 기반으로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취하고 있는 전략과 소설사적 의의를 규명하는 것을 최종의 목표로 삼았다. 본 연구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Ⅱ장에서는 한글장편소설에 나타난 폭력의 다층성에 대해 조망하였다. 한글장편소설에서는 가시적이며 사적(私的)인 방식으로 발생하는 개인적 폭력과, 작품 속 인물 행동의 근거가 되며 당대에 내재하고 있었다고 여겨지는 구조적 폭력, 이 모든 것을 합리화하는 문화적 폭력이 중층적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는 이와 같은 폭력의 다층적 양상을 작품 속 구체적인 예를 통해 고찰하였다.
제Ⅲ장에서는 , , 및 에 나타나는 폭력의 형상과 그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에서는 양부인, 소현성, 소운성, 소운명 등 가부장 또는 장차 가부장이 될 주인공들이 등장하여 제가(齊家)의 도구로 폭력을 사용한다. 그리하여 폭력의 원인이나 결과에 대한 관심이나 문제의식은 차단되고, 가부장의 폭력은 서술자와 주변인물의 발화를 통해서 정당화된다. 은 폭력의 수단적 가치에 대해 인정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작품 속에서 폭력에 대한 정당화가 거듭될수록, 그 행위의 정당성에 의심이 생겨나는 역설이 발생한다. 이는 궁극적으로 폭력의 수단적 가치를 인정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진실을 드러내는 측면이라고 보았다.
과 에서는 폭력적인 인간을 등장시키고 이를 본격적으로 문제 삼고 있다. 특히 폭력의 책임 소재를 찾고 화합하는 결말에 관심을 두고 있다. 이는 폭력에 대한 반성적 시각을 보이는 것으로, 과 구별된다. 에서는 부친 유정경이 유연을 향한 직접적 폭력의 가해자로 등장하지만, 작품은 지속적으로 유홍의 성격적 결함이 그 원천에 놓여있음을 강조한다. 은 폭력의 책임을 유홍의 성격적 결함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다만 유홍의 거짓말로부터 시작된 유정경의 폭력이 가내의 여러 인물들을 향한 폭력으로 재생산되는 과정을 핍진하게 그리면서도, 이때 중요한 원인이 되고 있는 유연의 태도와 대응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문제제기를 하지 않는다. 사태의 원인을 유홍에게 전가시키면서도 유정경과 유연의 관계 회복에만 관심을 두는 결말은, 폭력의 참상에 대한 진정한 탐구와 반성을 불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작품의 결말에 제시되는 화합이 실은 공허한 것임을 드러내는 역설로 이어졌다고 보았다.
은 부친의 폭력을 감내하는 주인공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과 매우 유사하다. 다만 위연청은 부친에게 일방적으로 순응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뜻을 굽히지 않고 적극적으로 대응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작품은 위지덕과 위연청이 스스로 옳다고 믿는 삶의 태도와 가치관을 피력하는 과정에서 폭력이 발생하는 과정을 그려낸다. 이렇듯 에서는 폭력의 책임을 위지덕에게만 전가시키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직접적인 폭력의 가해자로서 그의 반성에 진지한 관심을 두고 있는 점이 주목된다. 특히 꿈이라는 환상적 장치를 사용하되, 그 안에서 위지덕으로 하여금 고통을 경험하게 하는 점, 이로써 회과를 이끌어내고 있는 점은 과 대조적이라고 보았다. 은 꿈을 통해 폭력을 추방시킬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 것이다.
에서는 충동적인 폭력의 주체가 각자의 불행에 힘입어 결탁해나가는 과정을 자세히 형상화한다. 에서는 욕망의 결탁의 결과로서 폭력을 그리고 있는 것이다. 다만 그 결탁이 매우 충동적인만큼 취약한 기반 위에서 이루어졌음을 동시에 보여주기도 한다. 에서는 폭력의 주체들이 지속적으로 세력을 늘려나가면서, 피해자를 향한 폭력의 수위 또한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형상화해서 보여준다. 따라서 피해자들은 지속적이고 반복적인 폭력에 희생되어 일상과 삶 전체를 말살당하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은 점에서 은 폭력적 인간의 회과나 그와의 화해보다는, 그것이 지닌 잔혹성 자체에 관심을 두고 있다고 보았다.
제Ⅵ장에서는 폭력 서사가 독자의 몰입을 유도하고 흥미를 제고시키기 위해 공통적으로 취하고 있는 서사 전략에 대해 탐구하였다. 제1절에서는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폭력을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고, 이로써 독자들로 하여금 폭력의 주체와 대상 모두에게 거리를 두게 하는 전략에 대해 살폈다. 폭력 서사에서 여성 폭력 주체는 폭력을 기계적으로 재생산하며 과잉된 형태로 표출하는 것은 물론이고, 약자에게 폭력을 전이시키는 것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 병증에 걸린 존재로 그려지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분노에 절어있거나 감정을 주체하지 못하는 모습이 괴물이나 미치광이와 흡사하게 그려지는데, 자극적인 이들의 모습에서 독자는 거부감과 매혹을 동시에 느낄 것이라고 보았다. 폭력 서사가 이와 같은 여성을 집중 조명하는 과정은, 여성의 폭력이 실은 구조와 사회, 집단, 혹은 그들에 의한 소외와 배제 등의 문제와 연루되어 있음을 망각하게 하고, 흥미의 대상으로 전락시키기 위한 전략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폭력 서사가 폭력으로 인해 망가진 인간의 신체를 서사에 전면화하는 현상에 대해 살폈다. 폭력의 피해자는 피가 낭자하고 뼈가 드러난 채로, 혹은 머리가 깨어지거나 얼굴이 으깨어진 채로, 심한 경우에는 주검이나 육괴에 가까운 형상으로 서사의 전면에 드러난다. 이때 처참하게 훼손된 등장인물의 신체는 독자에게 온전한 신체를 상기시키도록 하면서 만족감과 우월감을 제공하여 독서를 지속하게 할 것이라고 보았다. 폭력 서사가 망가진 신체에 대한 자극적인 묘사에 집중할수록, 작품 속 폭력의 경험을 특수하고 비정상적인 개인의 문제로 축소시키는 한편, 참혹하게 변해버린 신체가 사실은 부당하게 가해진 폭력의 결과이거나 구조와 사회에 의해 조장된 결과일 수 있다는 자각을 방해할 것이라고 보았다.
제2절에서는 폭력 서사가 웃음과 화합하는 결말을 통해 독자로 하여금 등장인물들이 겪는 불행을 망각하게 하는 과정에 대해 살폈다. 폭력 사태에 직접 가담하지 않았던 주변인물들이 과거의 폭력 사건을 농담으로 재담론화하는 현상이 일부 확인되는데, 이는 폭력의 순간들을 웃음과 뒤섞어 연출하면서 그 문제적 성격을 반감시킨다고 보았다. 한편 작품에서 반복적으로 암시되는 행복한 결말은 독자들로 하여금 작품 속 폭력이 만들어낸 비극에 온전하게 감정이입하는 것을 차단하게 하고, 이를 통해 작품 속 참상과 불행을 타자화하는 결과로 이어졌을 것이라고 보았다.
제3절에서는 한글장편소설 속 폭력 서사가 현실 반영을 통해 독자들의 몰입감을 제고시키는 측면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강력한 폭력의 담지자로 등장하는 가부장이 분노에 매우 취약하거나, 가중사에 무관심하거나 심지어 어리석은 인물로 그려진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또한 가부장이 폭력을 연좌의 형태로 자행하고 폭력성을 과시하는 면모가 부각되기도 하는데, 폭력 서사는 이와 같은 부정적인 가부장의 형상을 묘사하면서 여성 독자들에게 위안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어서 폭력이 발생할 때, 제삼자들이 개입하여 폭력 사태를 중지시키거나 가해자를 향해 설득의 말을 하는 장면들이 보인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제삼자들이 보이는 연대나 저항은 매우 미약한 수준이며, 실질적인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더 많지만, 피해자들이 끝내 방치되지는 않으리라는 전망을 보여주면서 독자들에게 위로와 안도감을 제공했을 것이라고 보았다.
이상의 전략을 통해 폭력 서사는 독자로 하여금 작품 속 폭력이 형상화하는 여러 문제들에 거리를 두게 하고, 작품 속 폭력의 주체와 대상들을 모두 타자화하도록 통제해 왔다고 보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폭력 서사는 향유자들을 폭력에 안주하게 만들었다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제Ⅴ장에서는 한글장편소설 폭력 서사의 소설사적 의의를 고찰하였다. 먼저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폭력의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단편 가정소설을 함께 논의할 수 있다고 보고, , 등과 비교를 진행하였다. 특히 가부장의 형상과 피해자의 태도를 중심으로 한글장편소설이 폭력의 근원에 대해 은폐하고 있는 점에 대해 살폈다.
이어서, 한글장편소설 형성기의 작품인 , , 등과의 비교를 통해, 폭력 서사의 통시적 변화를 고찰하고자 했다. 특히 이후 한글장편소설의 폭력 서사가 확대되며, 여성인물들이 부각되는 점에 대해 살폈다. 더불어 이전 시기 작품들에서 볼 수 없는 폭력에 대한 다채로운 묘사, 풍부하고 핍진한 인물의 부정적인 내면에 대한 묘사, 망가진 인간의 정신과 신체에 대한 관심이 폭력 서사를 통해 성취되었다고 보았다.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forms and meaning of violenc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focusing on the works Sohyeonseongrok (蘇賢成錄), Yuhyogongsunhangrok (劉孝公善行錄), Boeungiurok (報恩奇遇錄) and Myeongjubowoelbing (明珠寶月聘).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Chapter 2 reviewed the violence that appears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personal violence, structural violence, which was inherent in the society of that time and forms the basis of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in the roman-fleuve, and cultural violence, which justifies all of the above, function within a tiered system. This thesis examined the multi-level aspect of the violence in the violence narratives by analysing specific examples in each work.
Chapter 3 analyzed the forms and meaning of the violence featured in all four works. In Sohyeonseongrok, protagonists who are the head of the family or soon-to-be head of the family, such as Lady Yang, So Hyeon-seong, So Woon-seong and So Woon-myeong, use violence as a tool for governing the household, disciplining their children or undutiful daughters-in-law through violence. Therefore, the cause or result of the violence they commit are never questioned and the violence is instead repeatedly justified by the narrator and the supporting characters. However, this continuous justification of violence within the work paradoxically evokes more doubt about the justness of the violence. Despite this, Sohyeonseongrok clearly regards violence as a tool for the establishment of public justice. As a result, the narrative of violence in the work principally demonstrates the effectiveness of violence. Like this, Sohyeonseongrok appears to acknowledge the practical value of violence as a tool.
In Yuhyogongsunhangrok, it is Yu Jeong-kyeong who directly commits violence against his son Yu Yeon, but the narrative continuously focuses on how the violence arises as a result of Yu Hongs character flaws and the troubles suffered by those around him because of this. In other words, the narrative places the blame for the violence on Yu Hongs personal weaknesses. However, although the work vividly depicts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first committed by Yu Jeong-kyeong as a result of Yu Hongs lies leads to instances of violence that affect more members of the family, it fails to question the attitude or response adopted by Yu Yeon which is the primary cause of this. The conclusion of the work, which focuses only on the fact of Yu Jeong-kyeong and Yu Yeons reconciliation, eliminates any potential within the work for true examination of, or reflection on, the terrible consequences of violence. As such, the works conclusion merely reveals the meaninglessness of the characters reconciliation as the violence in Yuhyogongsunhangrok is left unresolved.
Boeungiurok, is similar to Yuhyogongsunhangrok in its depiction of a protagonist who is forced to endure the violence of their father. However, the protagonist of Boeungiurok, Wui Yeon-cheong, does not submit to his father but actively retaliates against him. The violence is therefore incited by Wui Ji-deok and Wui Yeon-cheong each demonstrating their commitment to the belief that they are in the right. Boeungiurok does not put all the blame for the violence on Wui Ji-deok but shows interest in his penitence as the direct perpetrator of the violence. Although this revelation is framed as occurring within a dream, Wui Ji-deok experiencing suffering and this leading to his penitence distinguishes the work from Yuhyogongsunhangrok. Boeungiurok offers the potential of violence being quelled by using a dream as a literary device.
Myeongjubowoelbing portrays impulsive agents of violence spurred on by their sufferings gradually securing power by banding together as well as depicting in great detail the violence committed against the protagonists as a result of this. Of course, the more impulsive the conspiracy, the weaker its foundation. As the agents of violence continuously expand their power, the level of violence inflicted on the victims also escalates to an extreme degree. The narrative of violence in Myeongjubowoelbing shows violence being mercilessly inflicted on victims whose entire lives are shattered, revealing the cruelty of violence. It can be argued that Myeongjubowoelbing shows more interest in the atrocity of violence than the repentance of the perpetrator or reconciliation between perpetrator and victim.
Chapter 4 of this thesis attempted to explore the narrative strategies adopted by all four violence narratives to immerse the reader and enhance the entertainment value of the narrative. The first subchapter examined the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strategy of reducing the violence to the problem of a specific individual, thereby distancing the reader both from the agents and victims of violence. The first part of this subchapter studied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narratives reduce the violence to, or cover it up as, the problem of a sick woman. The female agents of violence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are portrayed in a manner akin to monsters or maniacs, which has the effect of estranging and fascinating the reader. The violence narratives fail to connect the dramatic images of these women to underlying problems in the surrounding structures, society or community, or to the alienation and marginalization of women promoted by them, and reduces the female agents of violence to a source of amusement.
The second part of this subchapter analyzed the exhibition of the bodies damaged by violence in the violence narratives. The descriptions of injured bodies arouse in the reader a sense of satisfaction and superiority by reminding them of their own wellbeing. The graphic depictions of mangled bodies make the reader regard the experience of violence within the narrative as an isolated, unusual experience specific to the affected individual. This holds the reader back from recognizing that the pitifully broken bodies of the victims in the narrative might be the result of unfairly inflicted violence or a consequence promoted by real contemporary structures and society.
The second subchapter investigated the process of the otherization of the affliction suffered by the characters in the violence narratives through contemptuous laughter and a conclusion of reconciliation. On some occasions, either during the moment an act of violence is committed or sometime after the act, a derisive comment is made about the violent event. This tone of mockery on the subject of violence waters down the problematic nature of the violence. Likewise, the repeated implication of a happy ending will likely have prevented contemporary readers from fully empathizing with the tragedy created by the violence in the narrative, which this thesis deemed problematic as it could lead to a sense of detachment from ones own afflictions which become otherized.
The third subchapter dealt with the way in which the violence narratives in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make readers more deeply immersed in the narrative by reflecting their contemporary social reality. In particular, the heads of the household, the main perpetrators of the violence within the works, are depicted as being prone to anger, indifferent to household affairs or simply ignorant. Another element that stands out is the way in which violence is flaunted by the perpetrators and proliferated through the phenomenon of collective punishment. These factors encourage the reader to question the head of the household, who is portrayed as a negative figure, and will thereby have offered some comfort to the female readership. Furthermore, on some occasions, a third party will physically intervene or try to persuade the perpetrator with words in an attempt to put a stop to the violence. Although the solidarity and protest offered by the third parties are feeble attempts which usually have no real impact, their intervention will have provided readers some comfort by showing that the victims were not completely neglected.
This thesis argues that through the strategies explained above, Korean classical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allowed contemporary readers to become complacent about violence by reducing the violence to the personal problem of the affected individual and preventing the reader from connecting it to the problems of the real structures and society around them.
Finally, chapter 5 of this thesis contemplated the fictional significance of violence narratives in Korean roman-fleuve. First, it compared them with short Korean novels that also deal with violence within the family, such as Janghwahonryeonjeon (薔花紅蓮傳) and Kiminhyangjeon (金仁香傳), and, focusing on the characterisation of the heads of the household and the victims attitudes, examined the aspects that are concealed in Korean roman-fleuve violence narratives in relation to the source of the violence. Then, by comparing the four texts chosen for this thesis with early forms of the Korean roman-fleuve such as Gueunmong (九雲夢), Sassinamjeongi (謝氏南征記) and Changseongamirok (彰善感義錄),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expansion of the roles of female characters in correspondence with the development of the violence narrative. In comparison to 17th century fiction, narratives that were developed after the publication of Sohyeonseongrok, the era of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roman-fleuve, contain more diverse descriptions of violence, richer and more vivid descriptions of the inner workings of morally questionable characters and increased interest in damaged human minds and bodies.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33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36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