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데이빗슨의 무법칙적 일원론 옹호
정신적인 것의 무법칙성과 부수현상론 문제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예인

Advisor
이석재
Issue Date
2019-08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Keywords
정신 인과심신 이론심물 동일성무법칙적 일원론부수현상론정신적인 것의 무법칙성데이빗슨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철학과(서양철학전공),2019. 8. 이석재.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데이빗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이 정신 인과에 관한 유효한 분석 이론일 수 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는 것이다. 다양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현재 무법칙적 일원론은 정신 인과에 관한 유효한 분석 이론이라고 보기 어려운 상황이다. 일견 결정적으로 보이는 비판들이 제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이 답하려는 질문은 다음과 같이 재기술된다. 무법칙적 일원론은 현재 직면한 주요 비판들로부터 옹호될 수 있는가?
이 질문에 답하려면, 무엇보다도 이 주요 비판들이 분명히 밝혀져야 한다. 무법칙적 일원론에 제기된 주요 비판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무법칙적 일원론의 주요 전제 중 하나인 정신적인 것의 무법칙성이 어떻게 확보될 수 있는지가 분명치 않다. 둘째, 무법칙적 일원론은 정신적인 것에 관한 부수현상론으로 보인다. 첫 번째 비판은 무법칙적 일원론의 토대가 불안정하다는 비판이고, 두 번째 비판은 무법칙적 일원론이 정신적인 것의 인과적 유효성을 지켜내지 못한다는 비판이다. 요컨대, 무법칙적 일원론은 토대와 유효성 모두에 관하여 비판받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무법칙적 일원론은 이 두 비판으로부터 옹호될 수 있는가? 본 논문에서는 무법칙적 일원론이 이 두 비판으로부터 옹호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두 비판은 모두 무법칙적 일원론에 대한 오해에서 비롯되었으며, 따라서 이 오해를 바로잡는다면 두 비판은 더 이상 무법칙적 일원론에 대한 유효한 비판이 될 수 없다. 물론 데이빗슨의 논의가 난해한 탓에, 그 논의를 적확하게 해석하여 재구성하는 일은 간단치 않다. 게다가 무법칙적 일원론의 핵심 개념들이 데이빗슨의 심리 철학에만 한정되어 있지 않아, 무법칙적 일원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데이빗슨의 행위 철학과 해석 이론에 이르기까지 폭넓은 검토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데이빗슨의 심리 철학, 행위 철학, 해석 이론을 아우르는 이해를 바탕으로 무법칙적 일원론에 대한 적확한 해석을 제안하고, 이를 통해 비판들이 기인한 그 오해를 불식시킴으로써, 두 비판으로부터 무법칙적 일원론을 옹호할 것이다.
주요한 두 비판으로부터 무법칙적 일원론을 옹호하기 위하여, 본고의 작업은 크게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II에서는 무법칙적 일원론이 전제하고 있는 기본 개념들과, 무법칙적 일원론의 핵심 논증과 테제를 간략하게 설명한다. 무법칙적 일원론이 전제하는 형이상학을 모두 옹호하는 것은 이 논문의 목적이 아니므로, II에서는 이들에 관한 정당화나 옹호가 아니라 그 소개를 목표로 할 것이다.
이후 III에서는 토대에 관한 비판인, 데이빗슨에게 정신적인 것의 무법칙성이 어떻게 확보될 수 있는가라는 물음에 답할 것이다. 이를 위하여 III의 1에서 기존의 주요 해석들을 확인하고 분석한 뒤, 2에서는 데이빗슨의 무법칙성 논의에 관한 나의 해석이 제안된다. 여기에서, 정신적인 것의 무법칙성이 어떻게 확보되는가는, 데이빗슨의 해석 이론의 핵심 개념인 자비의 원리를 통해서만 비로소 이해 가능한 문제임이 밝혀질 것이다.
마지막으로 IV에서는 유효성에 관한 비판인, 무법칙적 일원론은 정신적인 것에 관한 부수현상론이라는 비판과 관련하여 논의가 진행된다. 이를 위하여 IV의 1에서는 초기의 부수현상론 비판인 형이상학적 부수현상론이라는 비판과 그에 대한 데이빗슨의 직접적 대응이 성공적인지를 분석하고, 데이빗슨의 대응에도 불구하고 설명적 부수현상론이라는 비판은 여전히 유효한 비판일 수 있음이 논의된다. 이어서 IV의 2에서는 무법칙적 일원론이 설명적 부수현상론이라는 비판에 어떻게 대응 가능한지 논의하도록 하겠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행위 철학과 해석 이론을 포함하는 데이빗슨의 철학 이론 전체를 조망할 때 비로소 데이빗슨의 무법칙적 일원론에 대한 보다 완전하고 발전된 이해가 가능함이 밝혀질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swer the question of whether Donald Davidson's anomalous monism can be a valid analysis of mental causation. Despite its various advantages, there are difficulties for the anomalous monism to be considered a valid analysis of mental causation in the present situation. It is because seemingly conclusive criticisms have been raised. Therefore, the question to be answered by this thesis is restated as follows: Can anomalous monism be defended from the main criticisms with which it is currently confronted?
To answer this question, first of all, those major criticisms must be made explicit. There are two main criticisms of the anomalous monism. First, it is not clear how the anomalism of the mental, one of the main premises of the argument for anomalous monism, can be secured. Second, the anomalous monism seems to be an epiphenomenalism about the mental. The first criticism is that the foundation of anomalous monism is unstable, and the second criticism is that anomalous monism can not guarantee the causal effectiveness of the mental. In short, the anomalous monism is criticized in the respects of its foundation and its validity.
In this thesis, I argue that the anomalous monism can be defended from these two main criticisms. I try to show that both of these criticisms stem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the anomalous monism, and therefore, if this misunderstanding is corrected, the two criticisms can no longer be relevant to anomalous monism. Of course, Davidson's discussions are complicated, so it's not easy to interpret them correctly and reconstruct precisely. Moreover, the core concepts of anomalous monism are not limited to Davidson's philosophy of mind, so a full understanding of anomalous monism requires extensive investigations of his philosophy of action and interpretation theory. Therefore, I proposes more accurate interpretation of the anomalous monism on the basis of an understanding of Davidson's philosophy of mind, philosophy of action, and interpretation theory, and thereby eliminating the misunderstanding caused by the criticism.
My defenses of the anomalous monism against two main criticisms consist largely of three parts. First of all, I briefly describes the basic concepts and the main arguments and thesis of the anomalous monism.(II) I do not aim to defend all metaphysics presupposed by the anomalous monism, so I will not try for justification or defense but elucidation.
I will then show how the anomalism of the mental, the foundation of Davidsons mental theory, can be secured. To do this, after identifying and analyzing the main existing interpretations(1 of III), I propose my interpretation of Davidson's discussion of anomalism(2 of III). Here, the anomalism of mental proves to be only understood correctly through the principle of charity in interpretation, a key concept in Davidson's semantics.
Finally, I discuss the criticism that the anomalous monism is a epiphenomenalism about the mental,(IV) To do this, I examine whether Davidson's direct response to the early criticism on epiphenomenalism is successful, and argue that the criticism of explanatory epiphenomenalism may still be valid in spite of Davidson's response.(1 of IV) I will then show how anomalous monism can respond to the criticism that it is just an explanatory epiphenomenalism.(2 of IV) And in doing this, I make it clear that more complete understanding of Davidson's anomalous monism will be possible when considering the whole of Davidson's philosophical theory, including his philosophy of action and interpretation theory.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34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73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