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개인-환경 적합성의 개념분류, 측정 및 분석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erson-Organization Fit: Conceptual Distinc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원우; 박희태; 김선태

Issue Date
2010-12
Publisher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연구소
Citation
경영논집, Vol.44, pp. 313-356
Keywords
Person-Organization FitConceptual DistinctionMeasurementAnalysisCritical review
Abstract
개인-환경 적합성에 대한 연구는 개인의 특성, 가치, 능력 등이 환경의 특성, 가치와의 일치 정도가 개인의 태도와 행동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연구해왔다.
그리고 최근에는 개인-환경 적합성의 다양한 개념과 그에 따른 다양한 측정 및 분석방법이 소개되면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적합성의 연구는 몇 가지 혼돈되는 개념과 측정 및 분석방법에 대한 문제점이 발견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외 연구를 바탕으로 적합성 연구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제시하고, 현재까지 진행된 국내 연구의 문제점과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먼저, 국외 연구결과 적합성에 대한 개념분류, 측정 및 분석에 대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환경 적합성의 개념분류에 있어서는 유형에 따른 분류(개인, 집단, 조직수준), 일반적 모드에 따른 분류(개인-개인 적합성, 개인-상황 적합성, 시스템 적합성), 개념화에 따른 분류(일치적, 유사적, 보완적 적합성)로 구분된다. 둘째, 측정과 분석에 있어서는 먼저 적합성 연구모형에 있어 적합성을 종속변수로 하는 모형과 독립변수로 하는 모형으로 구분되며, 적합성의 측정에 있어서는 측정요소의 수(다속성 측정법, 단일속성 측정법), 측정의 방법(직접측정, 간접측정), 측정의 원천(주관적 측정, 객관적 측정)으로 구분된다. 마지막으로 적합성의 분석방법에 있어서는 인식의 차이, 곱하기 항을 이용한 분석, profile 상관관계를 이용한 분석, 카테고리 일치를 이용한 분석, 다항다차회귀식을 이용한 분석의 방법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은 국외 연구결과를 통해 개인-환경 적합성에 대한 기존 연구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은 첫째, 적합성이 여러 수준에서 존재함에도 기존 연구에서는 단일 수준에서만 적합성을 연구하였다. 그러나 적합성과 결과변수와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는 개인의 내적인 적합성뿐만 아니라 개인이 속한 집단과 조직과의 적합성을 함께 고려하는 다수준 적합성 분석이 요구된다.
둘째, 일치적 적합성과 유사적 적합성의 구분이 필요하다. 기존 연구에서는 유사적 적합성과 일치적 적합성의 개념상 차이가 존재함에도 이에 대한 구분이 모호하다. 이는 연구의 측정과 분석에도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연구 결과의 해석에 있어서도 정확한 해석을 위한 구분이 필수적이다.
마지막으로, 국내 연구의 개인-환경 적합성 연구의 검토결과이다. 첫째, 적합성의 개념 구분이 모호하다. 특히, 사용 용어에 있어서도 적합성(fit), 일치성(congruence), 부합성(match), 유사성(similarity, supplementary), 보완성(complementary)으로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어 이에 대한 통일이 필요하다. 둘째, 측정방법에 있어서 국내 연구의 거의 대부분의 연구들이 동일 응답원을 통해 주관적이며 직접적인 측정을 주로 사용함으로써 동일방법편의의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객관적인 측정을 통해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개념에 따른 다양한 측정방법을 사용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분석방법에 있어서 국내 일부 연구에서는 일차적 적합성임에도 차이방법이나 카테고리 일치를 사용하는 사례가 발견되었고, 보완적 적합성임에도 다항회귀분석을 사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따라서 적합성의 개념과 부합되는 분석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적합성의 개념, 측정, 분석에 대한 기존 개념들을 정리하여, 국내에서 진행되는 개인-환경 적합성의 실증연구에서 발견되는 문제점과 해결방안을 제시함으로써 국내 적합성 연구의 학문적 발전에 공헌하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점이다.
Research on person-environment fit has investigated on how the compatibility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in terms of characteristics, value, and ability affects individual attitude, behavior, and performance. Recent development in diverse fit concepts and methods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facilitated more active research in this field. However, the current literature still suffers from some conceptual confusions and methodological limitations. Thus, the current research provides a summary of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present person-environment fit research, presents a comprehensive review of person-environment fit research in domestic journals, and suggests the directions to improve future research in the field.
This study begins with the summary of categorization of fit concepts, and the methods of measurement and analysis, based on the review of current literature including published studies in foreign journals. First, various fit concepts can be categorized based on three different criteria, which include i) level of fit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level), ii) mode of fit (individual-individual fit, individual-situation fit, and system fit), and iii) conceptualization of fit (congruent fit, supplementary fit, and complementary fit). Second, in terms of research model, person-environment fit research has shown two types of research models which use fit as either dependent variable or independent variable. In terms of measurement, diverse methods to measure fit can be categorized along three dimensions, which are number of attributes (multiple attribute measurement, single attribute measurement), methods of measurement (direct measure, indirect measure), and source of measurement (subjective measure, objective measure).
Finally, diverse methods of analyzing fit include perceptual difference methods, analysis using interaction term, profile correlation methods, categorical congruence methods, and polynomial regression analysis.
Next, the current study identifies some problems and solutions in the current fit literature, and suggests the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First, one way to improve person-environment fit research is to expand its domain to multi-level fit research. Even though fit concepts reside at multiple levels, the current fit research has only focused on single level analysis. For more precise examin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it and outcome variables, future fit research is required to conduct multi-level fit analysis which considers not only the effect of fit between individual and environment but also how this effect is affected by the fit between higher level entities, such as the group and organization that the individual belongs to. Secondly, the literature needs to differentiate congruent fit from supplementary fit. Despite the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 current fit research did not make clear distinction. This study argues that future research needs to articulate this difference because possible conceptual confusion may affect the interpretation of empirical result, as well as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erson-environment fit.
Finally, this study presents a critical review of domestic fit research using a comprehensive set of fit studies published in Korean academic journals. First, the current literature is limited in that different fit concepts are used interchangeably without clear differentiation. In particular, studies introduce conceptual confusion by using different terms, such as fit, congruence, match, similarity, supplementary, complementary to refer to the same construct. This study argues for the use of a single term for the same fit concept. Secondly, in terms of measurement, the current domestic research in person-environment fit suffers from potential common method problem, because most studies use subjective and direct measurement using single source. In order to improve research validity, the current study encourages future research to use more objective measure and employ diverse measurement strategies according to the fit concept used in the studys theory part. Finally, as for analytical methods, it is advisable that current domestic fit research considers more congruence between fit concepts and methods of analysis. For example, some studies used difference score methods or category congruence methods even though the fit concept used in the study was congruent fit rather than supplementary fit, and other studies employed polynomial regression although researchers were concerned with complementary fit.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future research choose analytical methods which are compatible with the fit concept the study intends to investigat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future person-environment fit research by summarizing the current development in conceptualization, measurement, and analysis of fit literature, and identifying problems and solution of the present empirical fit research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ISSN
2384-2849
Language
Korean
URI
https://hdl.handle.net/10371/16291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