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스트레스 : Nurses Awareness and Stress in Caring about Perinatal Death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혜원-
dc.contributor.author김은희-
dc.date.accessioned2020-05-07T03:18:05Z-
dc.date.available2020-05-07T03:18:0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0000001597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44ko_KR
dc.description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간호대학 간호학과,2020. 2. 김혜원.-
dc.description.abstractPerinatal death care is a nursing activity for parents and families who experience perinatal death and requires a holistic and comprehensive approach, and family-centered care should be undertaken. To this end, nurses' positive awareness of perinatal death care should be preceded, and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perinatal death, nurses are in a stressful situation, and nurses' stress is a major factor that can influence positive awareness form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attempted to understand nurses' awareness and stress level related to perinatal death nursing care and to prepare basic data for nurses to provide higher quality nursing interventions.
This study wa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36 nurses who were experienced in perinatal death. Data collection was carried out from September 1, 2019 to September 20, 2019. Nurses awareness was measured using the tool of Nurses'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Support by Chan et al. (2013), and included translation process. Nurses Stress was measured using the tool of the Neonatal end-of-life care stress by Jang(2013).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in IBM SPSS 25.0 wi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Nurses' awareness measurement tool consists of three sub-scales, the total average scores of each sub-scale were 52.59(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care), 15.86(attitudes toward hospital policy to bereavement care) and 34.72(attitudes on the training for bereavement care).

2) Nurses who had received education about perinatal bereavement care had higher attitude scores (t=-3.38, p=.003) and position in the clinical field significantly influenced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care (F=5.58, p=.001). Especially,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urses attitudes were significantly more positive than delivery room nurses.

3)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tal policy to bereavement care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 according to a clear policy for the management of perinatal bereavement in working hospital (t=-4.23, p<.001), clinical career in obstetrics & pediatrics part (r=.19, p=.015).

4) Nurses attitudes on the training for bereavement care showed statistically differences according to clinical career in obstetrics & pediatrics part (r=.16, p=.029).

5) The total average score of Nurses' neonatal end-of-life care stress is 112.16,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6) Nurses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ca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tal policy to bereavement care(r=.37, p<.001) and Nurses attitudes on the training for bereavement care(r=.61, p<.001). Nurses attitudes toward hospital policy to bereavement care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attitudes on the training for bereavement care(r=.52, p<.001). Nurses' neonatal end-of-life care stress(r=.38,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Nurses'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care(r=.29, p<.001) and Nurses attitudes on the training for bereavement care(r=.38,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proposed to raise the importance of positive awareness for the perinatal bereavement care, and policy preparation and activation of perinatal death care education affecting the formation of positive nursing awareness are suggested. It is also proposed a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reduce stress caused by perinatal death care.
-
dc.description.abstract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는 주산기 자녀 사망을 경험하는 부모와 가족을 대상으로 하는 간호 활동으로 총체적이고 광범위한 접근을 필요로 하며, 가족 중심의 간호가 수행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간호사의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주산기 아기 사망의 특성으로 인해, 간호사는 스트레스 상황에 놓이게 되며,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간호사의 긍정적 인식 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주요 요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와 관련한 간호사의 인식과 스트레스 정도를 파악하고, 질 높은 간호 중재를 제공하기 위한 자료 마련을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편의표출 된 간호사 136명을 대상으로 시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9년 9월 1일부터 2019년 9월 20일까지 수행되었다. 주산기 아기 사망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은 Chan 등(2013) 의 Nurses Attitudes towards Perinatal Bereavement Support 를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고, 간호사의 스트레스는 장수현(2013)의 신생아중환자실 간호사의 신생아 임종 간호 스트레스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으로 분석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와 관련한 간호사의 인식 측정 도구는 3개의 하위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영역별 평균 점수는 아기 사망 간호 태도 52.59(±4.94)점, 아기 사망 간호 정책의 중요성 15.86(±2.03)점,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의 중요성 34.72(±3.70)점으로 나타났다.

2)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을 받은 경우, 아기 사망과 관련한 간호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t=-3.38, p=.003), 현 근무지도 간호 태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F=5.58, p=.001). 특히, 신생아중환자실의 간호사가 분만실 간호사의 비해 더욱 긍정적인 간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간호사는 해당 근무기관 아기 사망 간호 관련 정책이 있는 경우(t=-4.23, p<.001)와 현 근무지 경력 기간이 길수록(r=.19, p=.015)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관련 정책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4) 간호사는 현 근무지 경력 기간이 길수록(r=.16, p=.029)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5)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스트레스의 전체 평균은 112.16(±13.46)점이고,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태도는 아기 사망 간호 정책의 중요성(r=.40, p<.001),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의 중요성(r=.61, p<.001)과 상관 관계를 보였고, 아기 사망 간호 정책의 중요성은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의 중요성과 상관 관계를 나타냈다(r=.52, p<.001).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스트레스는 아기 사망 간호 태도(r=.29, p<.001), 아기 사망 간호 교육의 중요성(r=.38, p<.001)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관련된 간호사의 긍정적 간호 인식의 중요성을 제고하고, 긍정적 간호 태도 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관련 정책 마련 및 교육 활성화를 제안한다. 또한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수행 시 발생되는 스트레스 감소를 위한 간호사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 운영을 제안한다.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제 1 장 서론 1
1.1 연구의 필요성 1
1.2 연구 목적 5
1.3 용어 정의 6


제 2 장 문헌고찰 9
2.1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9
2.2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 14
2.3 간호사의 아기 사망 간호 스트레스 19

제 3 장 연구방법 23
3.1 연구 설계 23
3.2 연구 대상자 23
3.3 연구 도구 25
3.4 연구 절차 28
3.5 자료 수집 방법 31
3.6 윤리적 고려 32
3.7 자료 분석 방법 33

제 4 장 연 구 결 과 34
4.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34
4.2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38
4.3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의 차이 44
4.4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간의 관계 47


제 5 장 논의 49
5.1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인식 49
5.2 간호사의 아기 사망 간호 스트레스 53
5.3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 인식과 스트레스에 대한 일반적 특성과의 관련성 55
5.4 간호사의 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인식과 스트레스 간의 상관관계 57
5.5 연구의 의의 60
5.6 연구의 제한점 61

제 6 장 결론 및 제언 62

참고문헌 65

부록 77

Abstract 91
-
dc.language.isokor-
dc.publisher서울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0.73-
dc.title주산기 아기 사망 간호에 대한 간호사의 인식과 스트레스-
dc.title.alternativeNurses Awareness and Stress in Caring about Perinatal Death-
dc.typeThesis-
dc.typeDissertation-
dc.contributor.department간호대학 간호학과-
dc.description.degreeMaster-
dc.date.awarded2020-02-
dc.identifier.uciI804:11032-000000159744-
dc.identifier.holdings000000000042▲000000000044▲000000159744▲-
Appears in Collections:
Files in This Item: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