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How the Gender of the Household's Head Influences Household Food Security in the Developing Countries : 르완다 사례를 통해 본 가구주의 성별 차이가 개발도상국 가구의 식량안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분석
An Evidence from Rwand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용기

Advisor
김태윤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국제농업기술학과,2020. 2. 김태윤.
Abstract
The gender gap in food security draws serious attention from international communities to achieve the Zero Hunger level of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of the United Nations. Without closing the gender gap in Agriculture and Food Security, the Zero Hunger goal is hard to be achieved. This study aims to further examine the role of gender in household food security of the developing countries by shedding light on household food security in Rwanda.
It makes use of two waves of cross-sectional survey data, the Comprehensive Food Secur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 (CFSVA) 2012 and 2015 collect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Rwanda, and the Food Consumption Scores developed by the World Food Program (WFP) as the indicator of the food security status.
The study employs the Blinder-Oaxaca decomposition method and Ordered Probit model in the analysis of the data to capture the structural cause of the food security between male-headed households (MHHs) and female-headed households (FHHs),
The empirical result demonstrates that the food security status of FHHs is about five point three percent (5.3%) lower in the Food Consumption Score than that of MHHs in the samplings of CFSVA 2015, which slightly dropped from the results of CFSVA 2012. The average probability of households belonging to the food secure (acceptable) group for MHHs is seventy-three percent (73%) and sixty-four percent (64%) for FHHs, which also decreased from the result of the previous survey in CFSVA 2012.
The households assets, endowment and income activities, and the educational level of the Households head are the major positive factors affecting the food security while the marital status of the FHH and crisis coping strategies are restricting factors to household food security. The study also found significant gaps in the food security status of the household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as well as regions.
It is recommendable to develop programs targeting the areas with a higher marginal effect such as strengthening livelihood activities, vegetable gardening, and small livestock raising to address the gender gap in food security.
식량안보 부문에서 성별 격차에 대한 문제가 유엔 지속가능개발 목표를 달성하려는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농업과 식량안보 부문에서 젠더(gender) 간의 격차를 줄이는 것 없이는 기아로 부터의 해방(Zero Hunger)이라는 목표달성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르완다 가구의 사례분석을 통해 개발도상국내 가구주의 성별 차이가 가구의 식량안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르완다 통계청에서 2012년 및 2015년에 수집한 Comprehensive Food Security and Vulnerability Analysis(CFSVA) 2012 와 동 2015를 활용하였으며 가구 식량 안보 측정을 위한 지수로 World Food Program이 개발한 식품소비지수 Food Consumption Scores(FCS)를 사용하였다. 분석 모형으로 식량안보에서 성별 차이에 따른 구조적 격차를 파악하기 위해 Blinder-Oaxaca decomposition method와 Ordered Probit 모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CFSVA 2015 조사에서 여성 가구주의 식품 소비 지수는 남성 가구주에 비해 약 5.3%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2012년 조사시 보다 약간 후퇴하였다. 2015년 조사 당시 식량 안보를 확보한 그룹(식품 소비 지수 상 acceptable 그룹)에 속할 가능성은 남성이 가구주인 경우 73%, 여성이 가구주인 경우에는 64%로 나타났는데 2012년 조사 당시보다 후퇴하였다. 가구의 식량식량안보에 미친 요인으로는 가구의 생활비 수준, 소득활동 및 가구주의 교육수준, 농업활동 등이 식량안보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하였으며 가구주의 결혼관계, 위기 극복방법 등이 식량안보를 제약하는 요소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식량안보 부문에서 가구주의 성별 차이외에도 르완다 내 도시와 농촌간 그리고 지역간 상당한 격차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식량안보 부문에서 성별 차이를 좁히기 위해서는 여성 들의 비농업 활동 활성화, 키친 가든(Kitchen garden), 소규모 동물 사육 등과 같이 해당 활동의 한계효과(Marginal effect)가 높은 분야를 중심으로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 하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5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