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 Study on the Assistance Program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다문화 학생 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황혜선

Advisor
Erik Mobrand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국제대학원 국제학과(국제지역학전공),2020. 2. Erik Mobrand.
Abstract
현재의 한국은 세계화의 움직임에 따라 이민자들로 구성된 미국과 같은 다문화사회로 향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 큰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 국제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의 남성과 결혼하여 맺어진 국내출생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라고 볼 수 있다. 통계청의 통계를 살펴보면 초반 조사가 시작된 다문화 가정의 신생아 인원 수는 2008년 13,443명에서 2017년 18,440명으로 증가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한국의 전체 신생아의 비율로 보면 다문화 가정의 아이들은 2008년 2.9%에서 2.3% 증가한 2017년에 5.2%로 나타난다. 이는 저출산의 문제로 전체 학생의 수가 감소하는 상태에서 다문화 가정 학생의 비중이 증가하는 실정을 보여준다.
이러한 다문화 학생의 증가는 그들이 자신들의 진로를 대비하기 위해 현재 알맞은 지원을 받고 훗날 우리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사회인으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다문화 학생의 상급학교 진학률은 한국 학생과 비교하였을 때 현저히 떨어지며 이는 그들을 지원 하는 프로그램과 현실에서의 공백에 있다고 보았다. 다문화 학생 중에서도 노동이민자 등이 섞여있는 도시가 아닌 국제결혼을 통해 이루어진 다문화 가정의 자녀의 비중이 높은 시골지역의 다문화 학생을 중심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다문화 학생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중에서도 본 연구에서는 공간으로 나누어 그들이 필수적으로 다니는 공립기관인 학교와 도시뿐만 아니라 농촌지역의 다문화 학생들을 지원하기 위하여 만들어진 여성가족부 산하기관인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 집중하여 지원 프로그램과 현장의 목소리를 분석하여 그 사이의 공백을 알아보려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북도의 옥천 지역을 중심으로 한 다문화 청소년 지원 정책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지원 프로그램 담당 학교 선생님과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운영자 그리고 수혜자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인식과 요구를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심층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문헌조사는 각 정부 부처의 다문화 관련 복지 정책을 정리한 보건복지부의 복지로와 충북넷 및 여성가족부의 정책자료와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홈페이지를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고, 면접조사는 옥천의 공립 중학교 교사, 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담당자, 그리고 다문화 가정의 어머니들 7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첫째, 국제결혼을 통해 이루어진 국내 출생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의 거주 비율이 높은 농촌지역인 옥천은 그들만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운영이 어렵다는 것과 해당 운영자들에게 다문화 관련 업무가 쏠린다는 점이 있었다. 둘째, 그들을 정의하는 다문화라는 단어에 거부감이 낮은 참여로 나타나고 개별 프로그램대신 다른 한국 아이들과 함께하는 프로그램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중언어 프로그램에 대해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은 상반된 의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문화 가정 어머니들의 한국어 능력이 그들의 네트워크와 자녀의 진로 준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서울의 중앙정부가 본 연구의 중심인 국내 출생 다문화 청소년이 다수 거주하는 시골지역의 특징을 고려하여 향후 알맞은 지원정책을 개발해야 함을 시사한다.
Todays Korea is moving towards the multicultural society like the countries such as U.S.A due to the globalization. Especially, the role of Korea-born multicultural students who are born from Korean father and foreign mother is increasing. According to Statistics Korea, it has been analyzed that there has been an increase number of multicultural children born recording 18,440 in 2017 compared to 13,443 in 2008 when they first started the statistics focusing on the birth of multicultural children. Also, when this is compared in ratio with overall children born in Korea, it is estimated to be 5.2% in 2017 which has been increased twice as much from 2.9% in 2007. This demonstrates the state of increased proportion of multicultural students when overall students are decreasing due to low birth rate issue.
Therefore, it is crucial to support them accordingly in order to prepare them with their career, and hopefully to grow into one proud individual who can fully play their role in the society. However, despite the support, the percentage of them going to upper level schools are lower than non-multicultural Korean students which in this research assumes because of the gap existing between the assistance programs and its implementation in reality. Among them, the multicultural students in rural areas are the focus of the research comprised of family from international marriage, not the ones who reside in the city which is mixed with labor immigrants as well. This research concentrated on the programs offered mainly at th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public school an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ing Center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in order to find out the gap by analyzing the assistance programs and the voices on the spo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rvey the awareness and demands of the public school teache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eam leader and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about the policies to support the multicultural students focusing on Okcheon, Chungcheongbuk-do.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literature survey, in-depth and focus group interviews are performed. Literature survey is done by analyzing the government ministries comprehensive welfare policies regarding multicultural students arranged in Bokjiro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Chungbuk-net, booklets from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and Okcheon-gun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website. The interviews are conducted with one public middle school teacher, on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team leader, and seven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in Okcheon.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regions like Okcheon, which is the countryside where more proportion of Korea-born multicultural students reside in, it is difficult to run specific programs targeted to them along with program directors having too much work. Second, the word multicultural leads to low participation of the programs and preference towards unified programs with other Korean students. Third, th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had different reaction towards the necessity of bilingual programs divided into connection of the foreign mothers country and language usefulness. Fourth, the multicultural family mothers Korean skills can affect in forming their network which connects to their childs participation for the assistance programs and their career plan. This result implies that the central government needs to develop customized assistance policies for the multicultural students who have large residence proportion residing in the rural areas of the country.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84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