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진로결정 대처전략의 구조적 관계 :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Employment Barriers and Strategies for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민지식

Advisor
최수정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농업생명과학대학 농산업교육과,2020. 2. 최수정.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strategies for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e study, four research hypotheses were set up.
First,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suitable for predicting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Secon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employment barrier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has a direct effect relationship. Thir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upport form parents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mediation of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 general self-efficacy also have a mediating effect on commitment t carrer choice. Fourth,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trategies for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has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s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e population of the study is students attending Meister high schools in Korea. there was 15,362 students in 41 Meister High Schools in Korea. In this study, a sample was collected considering the area, major series, sex and grade of each school, 491 students were sampled from 8 school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strategies for coping with career indecision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ll survey items were confirmed through a pilot survey and main survey.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or 18 days from October 2019, and 411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except for the inappropriate response results.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alculation was done using STATA 14 an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latent moderated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using MPLUS 7.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as verified. The goodness-of-fit of the model was verified using five indices. Second, the support from parent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imilarly has a direct effect on general self-efficacy and a direct negative effect on employment barriers. General self-efficacy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s a direct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barriers. Also, the employment barrier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ve a direct effect on the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ird,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support from parents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y partially mediated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 General self-efficacy has a positive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y partially mediated employment barrier. Fourth, productive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barriers and career choice commitment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and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upport from parents,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was verified. Second, all the relationships hypothesized in the structural model have a direct relationship. Third, the support of parents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s a mediating effect on commitment to career choice through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 Fourth, the productive coping strategy and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y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have a moder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of general self-efficacy and employment barrier, and relationship of employment barrier and commitment to career choice.
Based on the conclusions, the following suggestions were made for career guidance for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uidance that promotes improvement of general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factor that affects commitment to career choice and employment barriers. Second, it is necessary to reduce lack of job information and job competency among the lower factors of job barriers to support the career choice of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use appropriate instruments for research on employment barrier. Fourth, career guidance and counseling at schools should consider productive coping strategies and support seeking coping strategies. Fifth, guidance in high school is needed to be more systematic so that coping experiences can be accomplished to learning.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for improvements in research results and for future research. First, in order to improve measurement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future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s of formation process of sub-factors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Second, it is necessary to have a multilateral understanding of the employment barriers perceiving by Meister high school students. Third, future study should be carried out to confirm what factors hinder commitment career choice by comparing depending on high school type. Fourth, future validation study for the newly developed scale of commitment to career choice is needed.
이 연구는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및 취업장벽의 관계를 구명하고, 취업장벽과 진로선택몰입 간의 관계와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의 관계에서 진로결정 대처전략이 조절효과를 보이는지를 확인하는 데에 목적이 있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연구 가설을 네 가지로 설정하였고 이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및 진로선택몰입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 적합도는 변인 간의 인과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할 것이다. 둘째,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및 진로선택몰입은 서로 직접적인 영향관계에 있을 것이다. 셋째,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및 진로선택몰입의 구조적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은 이를 매개할 것이다. 넷째,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및 진로선택몰입의 구조적 관계에서 진로결정 대처전략은 이를 조절할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의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모집단이 총 41개 마이스터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15,36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모집단을 대표할 수 있도록 층화군집비율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총 8개 학교를 군집표집하였고, 학교 소재지, 성별, 계열을 고려하여 결과적으로 연구에는 총 411명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진로선택몰입,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진로결정 대처전략 및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대한 조사문항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각 조사도구는 예비조사와 본조사를 통해 신뢰도를 확인하였으며 연구의 대상에 맞도록 검토 후 일부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자료 수집은 10월 10일부터 10월 28일까지 이루어졌으며 총 491부를 회수하였다. 이 중 결측치, 불성실 응답 및 이상치를 제거하고, 층화표집 기준에 맞게 비율을 조정하고자 난수표를 작성하여 학교 소재지, 성별 비율을 조정하여 총 411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TATA 14를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등의 기술통계분석을 수행하였으며 Mplus 7.0을 이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 잠재조절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취업장벽 및 진로선택몰입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도를 검정한 결과 모두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따라서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이 각 변인간의 인과적 관계를 예측하기에 적합하다고 판단되었다. 모형의 적합도는 총 5개의 지수를 활용해 검증되었다.

둘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부모지지는 진로선택몰입에 직접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β=.220), 마찬가지로 자기효능감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β=.480), 취업장벽에는 직접적인 부적 영향(β=-.226)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자기효능감은 진로선택몰입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β=.500), 취업장벽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β=-.374)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취업장벽은 진로선택몰입에 직접적인 부적 영향(β=-.175)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선택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은 유의한 정적 매개효과(β=.240)가 있었으며, 취업장벽은 유의한 부적 매개효과(β=-.040)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부모지지와 진로선택몰입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의 순차적 매개효과 즉, 진로선택몰입 → 자기효능감 → 취업장벽 → 진로선택몰입의 매개효과는 유의하게 부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β=-.031) 나타났다.

넷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취업장벽과 진로선택몰입의 관계에서 생산적 대처전략과 지지 탐색 대처전략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또한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의 관계에서는 진로결정 대처전략 중 지지 탐색 대처전략만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조절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첫째, 이 연구에서 설정한 모형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진로선택몰입과 부모지지, 자기효능감 및 취업장벽의 구조방정식 모형은 적합도 검정 결과 각 변인 간의 관계를 인과적으로 예측하기에 적합한 모형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구조모형에서 설정된 모든 영향관계는 직접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부모지지는 자기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선택몰입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부모지지는 취업장벽을 부분매개하여 진로선택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부모지지는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을 이중매개하여 진로선택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의 생산적 대처전략과 지지 탐색 대처전략은 자기효능감과 취업장벽 사이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지지 탐색 대처전략은 취업장벽과 진로선택몰입 간의 관계를 조절하며 비생산적 대처전략은 조절효과를 갖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토대로 연구결과의 활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선택몰입과 취업장벽의 하위요인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의 향상을 촉진하는 지도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진로선택몰입을 지원하기 위해 취업장벽의 하위요인 중 취업정보부족과 취업역량부족 수준을 감소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어떤 취업장벽 도구를 사용했는지에 따라 연구 결과의 활용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넷째, 생산적 대처전략과 지지 탐색 대처전략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학교에서의 진로지도 및 상담이 요구된다. 다섯째, 대처 경험이 학습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시스템을 확립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의 결론을 통해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선택몰입의 정확한 측정을 위해 진로목표 선택과 같은 하위요인들이 어떤 상황에서 형성되는지에 대한 연구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을 비롯하여 직업교육을 받는 학생들이 인식하는 취업장벽에 대한 다각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셋째, 일반고등학교와 특성화고, 마이스터고등학교 학생들의 비교를 통해 진로선택몰입을 저해하는 요인이 무엇인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넷째, 대처전략 조사도구의 한계를 고려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86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