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흔들리는 시선-잔상에 의한 모호함의 시각적 표현 연구 : Study on the Expression of Obscurity by Unstable Attention-Afterimage : Focusing on My Artworks
나의 작품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샛별

Advisor
김성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동양화과,2020. 2. 김성희.
Abstract
This thesis examines the painting works incorporating the idea of the target-based cognitive process. Since 2013, in illustrating visual representation throughout the oeuvre that employs subject matters such as unstable, sight, ambiguity, and afterimage, figurative features are analyzed and the research works are compartmentalized based on the motivation and purpose behind the creation of the work, contents of the work, and creation process and material technique.
The analysis is commenced upon the means and method of subjective perception that essentially pertains to the exchange of attention in the process of familiarization, and furthermore, the cognition of various conditions is profoundly examined of which the variation emerges from individual interpretations based on personal experiences. The study intends to discourse upon the cognitive concept included in attention through philosophical theory, alongside a thorough contemplation on the proximity of subject matter to the integration of subjective perception when the essence is considered. Further research and description of potential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orresponding subject matter in relation to my works are anticipated.
To analyze unstable attention, instability and attention are respectively separated and investigated with its theoretical background based on empiricism and phenomenology; the subtleties of cognition accompanied to the attention and the afterimage from instability are expected to be examined. The study is developed based on the contents in order to demonstrate the appropriateness of development of works to obscurity, and uncertainty carried from obscurity is analyzed based on the theory of ambiguity of which the obscure expression is aroused from the superposition of primary expressions of the research works by afterimage from unstableness.
The primary materials are random and make a constant motion in time and space, and express with natural features, it is articulated as a motion image — circle. Materials embedded with repetition and motion, transformation pertain to obscurity caused by the expressive superposition of the afterimage. The study on the representation of the obscurity of an afterimage is approached respectively from temporality and spatiality. Different points in time are composed in layers to create obscurity, a means of expressing temporality is classified depending on the separation of the screen. A difference of cognition on seeing subject and a seen matter through a distinction in the viewpoint of attention is analyzed in the spatial realm. Due to a predominant transforming quality dependent on natural phenomenon infused in space, the co-existing of appearing moments and invisible moments is interpreted with spatiality and further classified and described.
Figurative features revealed based on the research contents are demonstrated through materials and techniques employed in the development of research works. To express conceptual superposition, the integration of quality supported by the oriental painting materials is specified, the acquisition of material and technique from the obscurity quality through intentional contingency is elaborated.
This thesis discusses conceptual reasoning on cognition in the course of a series of subjective perceptions, and further regards the study as an opportunity to conduct arrangement and analysis on research works embracing visually transformed expression applied onto the painting. Through dynamic comprehension, the research value is derived from a formative reinterpretation of moving objects and expressive methods, affirmation on the instability in obscurity, and the creation of enhanced intimacy with existing essence.
본 연구 논문은 내가 관심을 가져온 대상의 인지 과정에 대한 회화 작품들을 연구의 대상으로 한다. 2013년부터 현재까지 흔들림과 시선, 모호함, 잔상 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시각적 표현을 이어 나감에 있어서 작품 제작 동기와 목적, 작품의 내용, 제작 과정과 재료 기법을 통한 조형적 특성을 분석하고 연구 작품들을 분류하였다.
대상을 알아가는 과정 속에 존재하는 시선들의 교차함과 그 시선들 속에서 필수불가결하게 존재하는 주관적인 인식의 과정과 방법에 대해 분석하고, 개인이 경험에 기반해 개인의 해석과 더불어 생겨나는 다양한 상태의 인식에 대해 연구한다. 본질을 생각했을 때 주관적 인식의 종합이 대상과 얼마나 근접할 수 있을지에 대한 고민과 함께 철학적 이론을 통해 시선에 동반된 지각의 개념을 논의하고자 한다. 이것이 나의 작업과 연결시켜 상응하는 주제와 소재에 따라 어떻게 분류 가능한지 연구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흔들리는 시선에 대해서 분석하기 위하여 시선과 흔들림을 분리시켜 경험론과 현상학을 토대로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시선에 동반된 지각과 흔들림으로 인한 잔상이 주는 세부 요소들에 관해 연구해보고자 한다. 이러한 내용적 배경을 토대로 연구하면서 진행한 작품들이 모호한 표현으로 이어지는 것에 대한 당위성을 찾고, 연구작품들이 흔들림에 의한 잔상에 의해서 주된 표현이 중첩이 되며 중첩을 통해 표현되는 모호함이 주는 불안정함을 애매성의 이론을 토대로 분석한다.
주소재들은 무작위적이며 시간과 공간 속에서 끊임없이 움직이고 작위적이지 않은 특징을 가진 것으로, 이를 동적인 이미지의 원형으로서 상정한다. 반복과 움직임, 변화를 내포한 소재들은 잔상의 중첩된 표현으로 모호함을 갖게 된다. 잔상에 의한 모호함에 대한 표현을 시간성과 공간성으로 나누어 연구한다. 시간의 각 다른 점들을 겹으로 구성하여 모호함을 생성하고, 이러한 시간성을 표현하는 방식을 화면의 분리 여부에 따라 분류하여 볼 것이다. 시선의 시점 차이를 통한 보는 주체와 보이는 것의 지각의 차이를 공간 속에서 해석하고, 공간 자체가 자연현상에 의해 변화함의 성질이 지배적이어서 보이는 순간과 보이지 않는 순간의 양각이 존재하는 것을 공간성으로 해석하여 분리, 서술하였다.
연구의 내용적 배경을 바탕으로 드러나는 조형적 특성을 연구작품을 진행할 때 사용하는 재료 및 기법을 통해 설명할 것이다. 개념적으로 설명된 중첩을 표현하기 위해 동양화 재료에서 얻을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한 점을 서술하고, 의도된 우연성을 통해 모호함의 특성을 재료와 기법적으로 얻고자 한 방법을 설명한다.
본 논문은 지각이라는 일련의 주관적 인식의 과정 속에 존재하는 사유를 개념적으로 논의하고, 이를 통한 회화라는 매체에 시각적으로 변형된 표현을 시도하는 연구작품들을 정리, 분석하기 위한 기회로서 서술하고자 한다. 동적인 이해를 통해, 동적인 사물과 표현방식을 조형적으로 재해석하며 모호함이 가진 불안정함을 긍정하고 존재하는 본질과 가까워지기 위한 시도로서 연구 가치를 도출하고자 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952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