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만성질환자의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이 건강 결과에 미치는 영향 : The im pact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on Health Outcome for the Patients with Chronical Illness
한국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PCC모델의 경로분석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최소진

Advisor
유명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정책관리학전공),2020. 2. 유명순.
Abstract
Chronic disease is the major cause of death worldwide due to the entrance into an aging society and changes in living conditions, thus disease must be managed effectively. Chronic patients should visit the medical institution, be treated and prescribed during the treatment period, and patient-doctor communication should be facilitated. Therefore, this year's data from 2011 was applied in the 'Korea Medical Panel Survey Annual Data Version 1.0' to analyze the path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affecting health outcome in chronic diseases. Among the participants of the 2011 Korea Medical Panel survey, 13,140 adults and men aged 18 and older were included. For the design of the research model, Richard L. Street Jr.a,b, Gregory Makoulc, Neeraj K. Arora d, Ronald M. Epstei, a conceptual model, was referred to.

The conceptual model referred to in this paper is an integrated model of each path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to quality of life, which is a factor of health outcome. Thus, this study has three purposes. First, does the level of patient centeredness of communication affect health outcomes? Second, do proximal outcomes mediate the effect of patient centeredness on health outcomes? Third, do the mediators influence the intermediate outcome of proximal outcomes?

In this study, as Korea Medical Panel was not weighted with quality of life variables, the pre-treatment work was performed and analyzed by directly converting with reference to EQ-5D index variable generation program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aw Data Usage Guidelines. This study conducted a path analysis to confirm the fit of the model and to examine the effects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factors (listening, explanation, treatment time, resp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to verify the intermediate effect of satisfaction on medical interview,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ject's path analysis, among the four factors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listening, explanation, treatment time, respect), the treatment time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p<0.001). Explanation, treatment time, and respec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interview (p<0.01). Drug medication compliance significantly affected the quality of life (EQ-5D) (p<0.01). The overall path of the path analysis of the conceptual model using the Korean Medical Panel data was not identified. Therefore, the analysis model was re-established as the significance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and drug medication compliance was identified through the optimal model search. The goodness-of-fit of the modified analytical model was CFI=0.979 and RMSEA=0.046, which is higher than the goodness-of-fit of the conceptual model, CFL=0.978 and RMSEA=0.041. Furthermore, drug medication compliance was a partial intermediate effect in terms of treatment time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quality of life as a dependent variable. Hence, if the doctor had sufficient time for the chronically ill patients, the compliance with drug medications was increased, and as a result, the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was confirmed to increase.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for patients of domestic patient-doctor communication, rather than the doctor listening well to them, if sufficient time was spent to show respect to the patient and explain it well, there were indirect results as well as direct health outcomes.

As a limitation, as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doctor communication and quality of life is used as an integrated conceptual model, attention should be paid not only to the interpretation of the quality of life of dependent variables, but also to the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t, intermediate and dependent variables. In the future, i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is conducted through longitudinal studies using additional variables, a research model will be provided to show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data in this study, the results may vary greatly, which would make the current data less effective. Despite the limita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 that the role of doctors' efforts is important and necessary to manage and treat the diseases themselves for chronic diseases in future medical interviews. In the future,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atient-doctor communication in medical interviews for the chronic diseases of doctors for the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만성질환은 세계 사망 주원인임에 따라 효과적으로 관리 되어야 한다. 만성질환자는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의사와의 커뮤니케이션을 원활히 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만성질환자의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이 건강 결과에 미치는 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한국 의료패널 조사 연간 데이터 Version 1.0 의 2011년도 한 개년의 자료를 활용 하였다. 2011년 한국 의료패널 조사 참여자 중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13,14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 모형 설계는 개념모형인 Richard L. Street Jr.a,b, Gregory Makoulc, Neeraj K. Arora d, Ronald M. Epstei를 참고하였다.

본 논문이 참고한 개념 모형은 각각의 경로는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이 건강 결과의 요소인 삶의 질까지의 관계를 살펴보는 목적으로 문헌 고찰을 통해서 통합된 모형이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목적이 존재한다. 첫째, 커뮤니케이션의 환자 중심성 수준은 건강 결과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Proximal Outcomes는 커뮤니케이션의 환자 중심성이 건강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셋째, Intermediate Outcomes는 Proximal Outcomes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가?

본 연구는 한국 의료패널이 삶의 질 변수의 가중치 적용이 되어있지 않음에 따라, 국민건강영양조사 원시자료 이용지침서에서 EQ-5D index 변수 생성 프로그램을 참조하여 직접 환산하여 전처리 작업을 시행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하고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요소 (경청, 설명, 진료 시간, 존중)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경로 분석을 수행하였고, 진료 면담의 만족의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 방법이 사용되었다. 연구대상자의 경로 분석을 분석한 결과,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의 네 가지 요소 (경청, 설명, 진료 시간, 존중) 중 진료 시간은 삶의 질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p<0.001). 설명, 진료 시간, 존중은 진료 면담의 만족도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p<0.01). 약물 복약 순응도는 삶의 질(EQ-5D)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쳤다 (p<0.01). 한국 의료패널 자료를 활용한 개념적 모형의 경로 분석의 전체적인 경로는 확인이 되지 않았다. 최적 모형 탐색을 통해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과 약물 복약 순응도의 유의성이 파악됨에 따라 분석 모형을 다시 설정하였다. 수정된 분석모형의 적합도는 CFI=0.979, RMSEA=0.046로 개념 모형에서의 적합도인 CFL=0.978와 RMSEA=0.041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물 복약 순응도는 부분 매개효과로 독립변수인 진료 시간과 종속 변수인 삶의 질에서 효과가 나타났다. 즉, 의사가 만성질환자에게 충분한 진료 시간을 가지면 약물 복약 순응도가 높아지고 결과적으로 환자의 삶의 질이 높아지는 경로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국내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에서 환자는 의사가 자신의 얘기를 잘 들어 주는 것보다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존중을 표하며 설명을 잘하면 환자에게 간접적인 영향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건강 결과에 미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하지만,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과 삶의 질 간의 관계는 통합된 개념 모형이 사용됨에 따라, 종속 변수의 삶의 질이라는 해석뿐만 아니라, 독립변수, 중간 변수, 종속변수 간의 관계에도 주의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자료의 한계성으로 인해 결과가 크게 변동이 있을 수 있어 현재 자료로는 실효성이 떨어질 것이다.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진료 면담에서 만성질환자들을 대상으로 질환을 스스로 질병을 관리 및 치료하기 위해 의사들의 노력이 역할이 중요하고 필요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종단적 연구로 환자-의사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진행된다면 모형의 설명력을 보여 줄 수 있는 연구 모델이 나 올 것이다. 앞으로, 본 자료는 의사들에게 만성질환자 대상으로 환자-의사 진료 면담 커뮤니케이션 향상 노력을 기울일 수 있도록 기초자료에 사용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421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