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제 6, 7기(2013-2017) 국민건강영양조사를 활용한 우리나라 만 19세 이상 성인의 가구형태별 동반식사 유무에 따른 정신건강상태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Mental Health Status in Adult according to Commensality and Household types Using 6th, 7th (2013-2017)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신은진

Advisor
조성일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보건대학원 보건학과(보건학전공),2020. 2. 조성일.
Abstract
본 연구는 제 6, 7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7) 자료를 바탕으로 만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동반식사 유무 및 동반 대상에 따른 정신건강 위험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단면 연구이다. 일반적 특성과 동반식사 유형에 따른 스트레스, 우울감 등 정신건강 위험요인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이중 종속 변수의 결측을 가지고 있는 대상자와 세끼 모두 주 2회 이하로 먹는 대상자는 제외하여, 총 23,675명 (남성: 9,725명, 여성: 13,9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분석 방법은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세분화하여 스트레스와 우울감에 대한 동반 식사유형 (가족동반식사, 타인동반식사, 혼밥)과 일반적 특성(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행태특성)에 대해 기술 분석과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교차분석을 하였으며,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종속변수인 스트레스와 우울감의 주요관심변수인 동반 식사 유형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고자 다른 혼란변수를 통제하였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에서 동반식사 유형이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대상자의 개인적 특성들을 보정하였을 때, 1인가구에서는 가족동반식사를 기준으로 타인동반 식사나 혼밥에 대해 스트레스 발생의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고, 다인가구는 아침, 점심, 저녁에 대해 모두 혼밥군에서 스트레스 발생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OR: 아침-1.129 (1.041-1.224), 점심-1.102 (1.006-1.208), 저녁-1.373 (1.256-1.5)). 다인가구의 경우 저녁 식사는 타인동반식사의 경우에도 가족동반식사에 비해 스트레스 발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OR: 1.338 (1.205-1.485)). 우울감에 대해서는,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저녁식사에 대해 가족동반식사 대비 혼밥을 하는 경우가 우울감이 더 발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OR: 1인가구-1.614 (1.006-2.59), 다인가구-1.233 (1.091-1.392)). 이는 동반식사가 대상자들에게 정서적 안정을 주어 정신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건강한 식습관과 긍정적 정신건강을 위하여 함께 식사할 수 있도록 환경적인 개선이 필요하고, 동반식사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홍보 또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동반 식사 시 대상에 따라 우울감과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여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해 내었고, 1인가구와 다인가구로 층화분석을 하여 가구 형태별 지표를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1인가구와 다인가구 모두 저녁의 동반식사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가구원수에 따라 1인가구에 대해서는 저녁식사를 혼밥보다는 동반 식사를 하도록 중요성을 강조하고, 다인가구에 대해서는 저녁에 가족과 함께하는 식사를 좀더 강조함으로써 일원화되지 않고 다각화된 올바른 식습관 확립의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바란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혼밥 상황을 분석에 고려하지 못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어, 향후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각 혼밥 상황에 따른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식습관 요인의 정확한 파악이 필요하다.
Based on data from the 6th and 7th Korea National Health Nutrition Survey (2013-2017), this study is a descriptive cross-section study to identify mental health risk factors according to the types of commensality.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ntal health risk factors such as stress and depression according to the type of commensality were explored. A total of 23,675 (men: 9,725 and women: 13,950) were analyzed excluding those who had missing dependent variables and ate meals less than two times a week.
The research analysis method were subdivided into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erson household, descriptive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o identify association for the types of commensality (Eating with Family, Eating with others, and Eating alone) and general characteristic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 behavior characteristics) about stress and depression. And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other confounding variables were controll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stress and depression, which are dependent variables according to the major interest variables types of commensality.
As a result of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type of commensality on stress with adjustment of other confounding variables, no difference was observed in single-person household population for eating with others group or eating alone group compared to eating with family group, but in the multi-person household popula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ly higher stress in the eating alone group for breakfast, lunch and dinner (OR: Breakfast-1.129 (1.041-1.224), Lunch-1.102 (1.006-1.208), Dinner-1.373 (1.256-1.5)). And also for multi-person household population, a higher rate of stress was observed in eating with others group for dinner compared to eating with family group (OR: 1.338 (1.205-1.485). As for depression, it was found that both single-person household and multi-person household were more depressed when they were eating alone for dinner (OR: Single-person household-1.614 (1.006-2.59), Multi-person household-1.233 (1.091-1.392)). This can be interpreted as commensality has a positive effect on mental health by providing emotional stability to the subjects, thus requiring environmental improvement so that they can eat together for healthy eating habits and positive mental health, and promoting the positive effects of the commensality should also be mad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has produced significant results by analyzing differences in the effects on depression and stress by the type of commensality, and through stratified analysis of households with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s to present indicators of each type of household. Both single and multi-person household showed a significant impact for dinner on their mental health. So, depending on the number of households, it should b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having dinner together rather than eating alone for single-person households, and for multi-person households, the emphasis on dining together with family for dinner should be given as a basic material that provides directions for establishing proper diets that are not monolithic but diversified. This study has limitations that have not been considered in the analysis of various eating alone situations, so further studies in the future requir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in eating alone situations and an accurate understanding of the eating habits factors affecting mental health.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9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