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보습학원에 참여하는 학부모의 문화적 논리 : Parents Cultural Logic of attending Local Academy(Bo-seup Hakwon) : Experience of High School Student's Parents
고등학생 학부모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규빈

Advisor
유성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교육학과(교육학전공),2020. 2. 유성상.
Abstract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arents'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shadow education) through the concept of cultural logic(Lareau, 2003; 2012). Since cultural logic is organized differently by class, the research was designed to question whether all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on is based on the same cultural logic.
Participating in private education can be understood as an overall parental involvement for children's education, not simply as an economic investment. Not only how much economic capital parents have, but also what values and educational ideas they have, and how they understand the public education system and university system are intertwined and reflected in the participation of private education.
Participating in a local academy(Bo-seup Hakwon) requires a different explanation than the existing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which is represented by intensive private education investments. Firstly, a local academy cannot effectively perform its function of improving academic performance compared to a cram school or a enterprise institution that aims to enhanc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ith a detailed and intensive strategy. Especially for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need immediate results for the test score for the college entrance exam, there is a limitation to understanding for attending local academy only by the logic of investment for academic succes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revealing why parents send their children to local academy will provide a broad understanding of the in-depth logic of parents who are navigating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n a different way than previously understood.
The researche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seven parents to explain the logic of participating in a local academy.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at parents feel obliged to play their role as a parent through educational involvement especially by participating in shadow education. Those sense of obligation is not different from the universal cultural logic of every parent. However, this is constrained by the socioeconomic limits they face, so they have to find their own way. In this conflict situation, the local academy is acting as a compromise properly mediating parents dilemma.
본 연구는 보습학원에 참여하는 학부모들의 사교육 참여 양상을 문화적 논리(Lareau, 2003; 2012)라는 개념을 통해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문화적 논리는 계층에 따라 다르게 구성되는데, 모든 사교육 참여가 과연 같은 문화적 논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시작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사교육 참여는 단순히 경제적 투자가 아닌 부모의 전반적인 자녀교육 개입 활동으로 이해될 수 있다. 부모가 얼마나 경제적 자본을 가졌는지 뿐만 아니라, 어떤 가치관과 교육관을 가졌는지, 교육제도 및 대학 제도를 어떻게 이해하는지 등이 사교육 참여에 복합적으로 반영된다.
학부모가 자녀를 보습학원에 보내는 것은 집중적인 사교육 투자로 대표되는 기존의 사교육 참여 양상과는 다른 설명방식이 필요하다. 우선 동네 보습학원은 촘촘한 전략을 가지고 학생의 학업성취를 높이고자 하는 입시 전문학원이나 대형학원 등에 비해서 학업성취 향상이라는 기능을 효율적으로 수행한다고 하기 어렵다. 특히 당장 눈앞에 다가온 입시를 위해 즉각적인 효과를 도출해야 하는 고등학생 자녀의 경우라면, 보습학원 참여를 학업성취를 위한 투자의 논리로만 이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므로 왜 보습학원에 보내는지를 밝히는 것은 기존에 이해되던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사교육을 이해하고 사교육 시장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의 심층적인 논리를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자는 비슷한 사회경제적배경을 가진 7명의 학부모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보습학원에 참여하는 문화적 논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들은 사교육이라는 자녀교육개입을 통해 부모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는 보편적인 문화적 논리를 공유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는 자신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자본의 한계로 인해 제약된다. 이러한 딜레마적 갈등상황에서 보습학원은 학부모들의 딜레마를 적절히 중재하며 갈등을 소강하는 타협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769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