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문학 현장 답사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 연구 : A Study on the Education of Classical Korean Poetry Using Field Survey of Literature: Focused on and
<도산십이곡>과 <어부가>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지안

Advisor
고정희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한국어교육전공),2020. 2. 고정희.
Abstract
본 연구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 고급학습자를 위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을 위하여 문학 현장 답사를 활용한 교육의 가능성을 밝히고 교육 방안을 구체적으로 설계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현재 한국어교육에서의 문학교육은 중급 이상의 학습자들에게 교수되고 있고 대체로 소설이나 현대시 위주의 읽기 영역으로 간단하게 교수되거나 부수적인 교육 대상으로 인식되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나 초급 한국어 학습자에서 중‧고급 학습자로 나아갈수록 문화와 문학 교육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 이에 본 연구는 문학 현장 답사를 비계로 삼아 고전시가 학습의 거리감과 어려움을 해소하는 한국 고전시가 교육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장소의 개념을 검토하고 세분화하였다. 장소는 구체적인 체험 활동의 기반이자 맥락적이고 문화적인 의미와 관련되는 추상적인 공간에 가치를 부여한 개념이다. 이를 직접 경험함으로써 텍스트에 나타난 장소성 획득과 텍스트의 심도 있는 이해, 더 나아가 상호문화 발견에 이르는 체화된 지식의 습득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교육적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본고는 학문 목적의 한국어 고급 학습자들이 문학 현장 답사를 통해 보인 고전시가 반응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는 장소 탐구를 통한 텍스트의 장소성 발견, 장소성 경험을 통한 텍스트 해석, 모문화의 환기를 통한 문화 간 비교로 크게 세 가지 측면으로 나타났다. 장소 탐구를 통한 텍스트의 장소성 발견에서는 자연 공간을 통한 장소 정체성 체험, 인문 공간을 통한 장소감 형성으로 나누었다. 학습자들은 자연 공간과 인문 공간을 통해 텍스트에 나타난 장소성을 발견하고 텍스트의 의미를 활성화하며 주체적으로 수용하였다. 장소성 경험을 통한 텍스트 해석에서는 시공간성 경험을 통한 창작배경의 구체화, 신체성의 추체험을 통한 시적화자의 이해로 나누었다. 학습자들은 장소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작품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요소들을 심층적으로 해석하여 감상하는 모습을 보였다. 모문화의 환기를 통한 문화 간 비교에서는 장소성과 학습자의 문학 경험 연결, 모문화와 목표문화의 장소성 대조로 분류하였다. 학습자들은 문학 현장 답사를 통해 장소에 나타난 문화적 의미를 포착하고 문화 간의 대조 및 비교를 통하여 문화적 공감 및 감상을 심화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아울러 본고는 학습자들의 구체적인 자료를 근거로 장소의 표면적 이해, 장소와 텍스트의 연결 실패, 텍스트에 대한 상호문화적 이해의 부족이라는 한계점도 살펴보았다.
이에 한국어 고급학습자의 문학 현장 답사에 따른 고전시가에 반응 양상 분석에서 확인된 가능성과 시사점을 바탕으로 문학 현장 답사를 활용한 한국 고전시가 교육의 방법을 설계하였다. 텍스트에 대한 일차적 반응 형성, 텍스트 해석을 위한 배경지식의 습득, 보조 학습 자료를 활용한 장소성 경험, 감상문 작성을 통한 장소성 경험의 재구성을 교육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 고전시가 학습의 어려움과 거리감을 문학 현장 답사를 활용하여 극복하고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와 주체적 문학 향유를 촉진시켰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지닌다. 또한 장소성을 활용하여 고전시가 텍스트에 대한 명시적‧정의적 감상과 상호문화능력 신장을 위한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밝히며 이에 근거한 교육 방법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도 일정한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ossibility of Korean classical poetry using field trips to learn Korean language and to design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detail.
Currently, literary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taught to middle-class learners and is generally regarded as a simple or incidental education subject in novel or modern poetry-oriented reading areas. However, as we move from beginner to middle and high-level learners, the importance of literature and culture is emphasized. In response, this research suggests that Korean classical poetry solves the distance and difficulty of learning by making a field trip to literature.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reviewed and subdivided the concept of place. Places are the foundation of specific experience activities and concept that values abstract space related to contextual and cultural meaning.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by experiencing it firsthand, in that it is possible to acquire embodied knowledge, ranging from the location of the text to th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text and, furthermore, the discovery of mutual culture.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main textbook analyzed and classified the response patterns of classical poetry based on the field survey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These three aspects were found to be discovering the place of text, interpretation of text through the experience of location, and comparation between cultures through the ventilation of mother culture. The discovery of the Placeness of text through location exploration was divided into experience of place identity through natural space and create sense of place through human space. The learners discovered the Placeness shown in the text through natural and human space, activated the meaning, and embraced the meaning of the text.
Text interpretation through Placeness experience was divided into concrete background through time-spac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poetic narrator through physical experience. Through various experiences in the place, learners have shown a deep interpretation of the various elements that the work contains.
In the comparison between cultures through the ventilation of mother culture, it was classified as Linking the literature learning experience with the Placeness and Contrasting the Placeness of mother culture with the target culture. After the primary appreciation of the work, learners were shown to deepen cultural empathy and appreciation through the linkage of cultural meaning in the place and the contrast and comparison between intercultural cultures. Based on the learners specific data, the main body also looked at the limitations of understanding the surface of the place, failing to connect the place with the text, and lack of mutual 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text.
Based on the possibility and implications found in the analysis of response patterns at the classical poetry education following the above high-level Korean learners' field trips, the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using field trips in literature is designed the method of education. Formation of primary response to text, acquisition of background knowledge for interpretation of text, experience of Placeness using secondary learning data and reconfiguration of Placeness experience through writing appreciation sentences were presented as education methods.
This research ha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that it overcame the difficulties and distinctions of classical poetry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utilizing field trips to literature, and promoted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the enjoyment of the subject literature. There is also a certain significance in that the classical poem, using Placeness, specifically stated the possibility for explicit and just appreciation of text and enhancement of mutual cultural capabilities, and derived a method of education based on it.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0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