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의 재검토와 행위자에 대한 이해 : A Critical Review of the Concept Historical Empathy and Better Understanding of the Historical Agenc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임수형

Advisor
양호환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사회교육과(역사전공),2020. 2. 양호환.
Abstract
Today, students have experiences in which they can easily empathize with historical figures through various media such as TV, movies, YouTube, historic sites, etc., and sometimes accept the images conveyed by the media uncritically. Therefore, history education research needs to examine how to use the emotional reactions of students in their lessons to understand history.
In history education, the concept of historical empathy has been established as a cognitive dimension that explains the motives and intentions of a historical agent based on the historian's work process. However, a problem was revealed in the process of the concept being realized in the classroom, and I explored alternative teaching methods for the concept. This study examined problems with the educational use of historical empathy revealed in the history education community in Korea by identifying discrepancies between the concept and its practical use in classes. In this study, I explore how to teach an emotional response to the past that occurs when students learn historical empathy. Learning historical empathy is a process of balanced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ontext and actors using affective connections. I present the factors to consider in the students learning process, divided into the context, which is the target of learning, and students, who are the learners.
I present a teaching-learning process model with four stages: introduction, investigation, display, and reflection. In particular, Lee Bong-Chang was presented as a class example, and alternative learning resources and inquiries were presented to enable students to participate in historical empathy. The reason for choosing Lee as the figure for the class example is that rather than focusing on the specific image of Lee, which was already planted in students perception, I tried to present a teaching scheme so that students could judge Lee's decision making, motives, and intentions in the context of the time and as a human being who lived at that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based on a critical review, the concept of historical empathy in the cognitive-affective dimension was presented as a balanced understanding of the context and historical agent using affective connections. Second, based on a theoretical review, this study sought to find practical ways to utilize the teaching and learning model and teaching devices that can be applied to the classroom. Third, through an understanding of historical characters, this study suggested a way for students to understand human actions in the continuity of time, not just in the context of the past. As a result of the foregoing, the process of historical empathy will not just end with the exploration of the past, but will also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that will help the present and future of students and provide direction in their lives. History education should not only teach students how to get closer to the figures of the past, but should also be abl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present and future lives of students through an understanding of the past. This study focuses on theoretical research, and it is expected that more practical classes and research will be conducted based on this research.
역사교육에서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은 역사가의 작업 과정에 바탕을 두어, 사료를 바탕으로 과거인의 행위의 동기와 의도를 설명하는 인지적 차원의 개념으로 자리잡아왔다. 그러나 역사적 감정이입이 수업 현장에서 실현되는 과정에서 문제점이 드러났고, 이에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에 대한 비판적인 검토와 새로운 교수방안을 모색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과 수업의 실천 사이의 부조화 현상을 통해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에 대한 한계점을 검토하고, 학생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을 하면서 생겨나는 과거인에 대한 정서적 반응을 어떻게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탐구를 활용하여 역사적으로 이해하도록 도울 것인지를 모색했다. 이에 본 논문은 학생의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이 사료를 바탕으로 과거 행위자의 동기와 의도를 탐구하고, 학생의 행위자에 대한 정서적 연결을 통하여 학생 자신의 위치와 역사적 행위의 결과를 판단하는 과정이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이를 정서적 연결을 활용한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라고 제시했다.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요소를 학습의 대상과 주체로 나누어 제시했다.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는 먼저, 학생들이 과거 행위자가 당대를 살아가면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사고‧신념 체계를 맥락적으로 탐구하는 것에서 시작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들은 과거의 행위자가 현재와 다른 사회문화적인 틀 안에서 능동적으로 의사결정을 했으며, 그의 행위는 과거에서 오늘날까지 시간이 흘러 현재의 학생들에게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의 선행지식과 현재주의적 사고는 학습을 돕는 촉진 요인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학습의 주체인 학생들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에서 그들의 사고, 가치, 신념이 현재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깨닫고, 행위자를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학습 과정은 학생들로 하여금 현재와 미래에 어떠한 의사결정을 할 것인가를 생각해보도록 도울 수 있다.
본 논문은 학생의 학습 과정을 중심으로 도입-탐구-표현-반성 4단계의 교수학습 과정 모형을 제시하였다. 특히 이봉창에 대한 수업 사례를 통하여, 학생들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 과정에 참여할 수 있는 대안적 교재와 발문을 제시하였다. 수업 사례의 인물로 이봉창을 선정한 이유는 학생들이 역사적 감정이입 학습과정에서 그들의 인식 속에 심어진 이봉창에 대한 특정한 이미지에 치중하기보다는, 그 시대적 맥락과 그 시대를 살아가는 한 인간으로서 이봉창의 의사결정과 동기와 의도를 판단할 수 있도록 교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했기 때문이다. 또한 이봉창에 대한 다양한 자료가 남아있었던 점은 대안적 교재 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본 논문은 인지적 차원의 역사적 감정이입에 대해서 비판적으로 검토한 점, 인지적-정서적 차원의 역사적 감정이입 개념을 정서적 연결을 활용한 맥락과 행위자에 대한 균형적 이해라고 규정한 점, 이를 수업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모형과 교수장치로 구체화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행위자에 대한 이해를 통해서 학생들이 과거인의 의사결정을 과거의 맥락에서만 탐구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의 연속성 속에서 인간의 행위를 이해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역사적 감정이입 과정은 과거 탐구에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학생들의 현재와 미래를 판단하고, 삶의 방향성을 제공하는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다만, 향후에는 이러한 개념의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실제 역사수업에 적용한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가 추가적으로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6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