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절초점과 메시지 프레이밍 간의 조절적합성이 초등학생의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 Effects of the Regulatory Fit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 Framing on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s of Elementary Students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아람

Advisor
류재명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협동과정 환경교육전공,2020. 2. 류재명.
Abstract
Environmental education is truly completed when students practice and participate. If so, how can we induce action and involvement? This study began with finding answers in Higgins' Regulatory Focus Theory.
Higgins referred to an individual's unique motivational nature as regulatory focus and found that persuasive messages differed by each persons disposition. The accordance between regulatory focus and messages is called Regulatory Fit. When fit occurs, people experience the right feelings. And that feeling raises people's interest and involvement. It also affects the assessment of the consequences of an action, increasing the likelihood that people will do it again. Thus, if students experience regulatory fit in environmental education, they can increase their motivation and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action. In addition, since regulatory feelings can play a positive role in the development of individuals, the application of regulatory fit is also meaningful in terms of educ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applying the regulatory fit on environmental educati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proposed to achieve this purpose is How do the regulatory focus control the influence of message framing on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Meanwhile, studies of message framing revealed that the subject of the message and the type of subject also influenced the framing effec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valuate the framing effect considering both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 subjects of the study. In this regard,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to set up Does the effect of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message framing, even if regulatory fit occur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the experiment was designed with 'factorial design between 2 × 2 subjects' by setting message framing as an independent variable, regulatory focus as a control variable, and environmental behavior intention as a dependent variable. This study was conducted on 196 5th and 6th grade students in J, Y elementary schools in Seoul, and randomly divided the two groups and distributed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essages (gain/loss framing). After conducting the regulatory focus test of students, the effects of regulatory fit were verified through binary variance analysis and independent group t-test. In addition, to answer the second research question, the regulatory fit group was divided according to the framing type and the independent group t-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message framing and regulatory focus. That is, in the case of improvement focus, the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was higher in gain framing than in loss framing. In the case of preventive focus, the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was higher when loss framing was used.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the framing type. In this case, the message framing effect was not seen in the case of the regulatory fit, but it was confirm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type of message framing that is effective for the environmental behavioral intention according to regulatory focu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suggested that the field of application of the regulatory focus theory could be extended to the field of environmental education. Second, the effects of regulatory fit were also confirm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demonstrating the possibility of using regulatory fit to achieve the go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ird, it provided ideas about environmental education textbooks and teaching strategies by showing that students regulatory focus should be considered when constructing environmental education messages. Fourth, it was indirectly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experience regulatory fit in other fields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se, this study proposes the use of regulatory fit in the areas of environmental education class model and textbook construction, and also suggests additional researches in environmental education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regulatory fit.
환경교육은 학생들의 지식뿐 아니라 태도와 행동이 더 나은 방향으로 변화하는 것을 추구하며, 학생들의 실천과 참여가 있을 때 진정으로 완성된다. 그렇다면, 학생들의 실천과 참여를 어떻게 이끌어낼 수 있을까? 개인의 동기와 동기를 유발하는 기제에 대해 밝힌 히긴스의 조절초점이론에서 해답을 찾는 것으로부터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히긴스는 개인의 독특한 동기 성향을 조절초점이라 불렀고 각자의 성향에 따라 설득력이 있는 메시지 유형이 다름을 밝혔다. 성향과 메시지가 일치하는 것을 조절적합성이라 하는데, 조절적합성이 발생하면 사람들은 옳고 바람직한 느낌을 경험한다. 그리고 그 느낌은 메시지에서 제시하는 행동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인다. 뿐만 아니라, 행동의 결과에 대한 평가에도 영향을 미쳐 사람들이 그 행동을 다시 하게 될 가능성을 높인다. 따라서 환경교육에 있어 학생들로 하여금 조절적합성을 경험하게 한다면, 환경행동에 대한 동기와 참여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적합감정은 개인의 발달에 있어서도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조절적합성을 적용하는 것은 교육적인 측면에서도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본 연구는 조적적합성을 환경교육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계획하였다. 본 목적을 이루기 위해 제시한 연구 질문 첫번째는 초등학생의 조절초점성향은 메시지 프레이밍이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어떻게 조절할 것인가?이다.
한편, 메시지 프레이밍에 대한 연구들은 메시지의 주제나 피험자의 유형도 프레이밍 효과에 영향을 미침을 밝혔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환경교육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따라서 연구 대상인 초등학생과 환경이라는 주제를 모두 고려하여 프레이밍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의 두번째 연구 질문으로 조절적합성이 발생하더라도, 메시지 프레이밍의 유형에 따라 환경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지는가?를 설정하였다.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독립변수로 메시지 프레이밍, 조절변수로 조절초점, 종속변수로 환경행동의도를 설정하여 2 × 2 피실험자 간 팩토리얼 디자인으로 실험을 설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 소재 J, Y 초등학교 5, 6학년 196명이었으며, 학생들을 무작위로 두 집단을 나누어 이득과 손실 프레이밍으로 제작한 환경교육 메시지를 배분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조절초점 성향 검사와 환경행동의도 검사를 실시한 후, 이원분산분석과 독립집단 t-검정을 통해 조절초점의 조절효과 및 조절적합성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더불어 두번째 연구 질문에 답하기 위해 조절적합성이 발생한 집단을 프레이밍 유형에 따라 나누고 독립집단 t-검정을 실시하여 집단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메시지 프레이밍과 조절초점간에는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향상초점의 경우에는 손실 프레이밍에 비해 이득 프레이밍에서 환경행동의도가 더 높았고, 예방초점의 경우에는 이득 프레이밍에 비해 손실 프레이밍을 사용했을 때 환경행동의도가 더 높았다. 하지만 조절적합성이 발생한 경우 프레이밍 유형에 따라 환경행동의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를 통해 조절적합성이 발생한 경우 내에서는 메시지 프레이밍 효과가 보이지 않지만, 조절초점성향에 따라 환경행동의도에 효과적인 메시지 프레이밍의 유형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절초점이론의 적용 분야가 환경교육 분야에까지 확장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둘째, 조절적합성의 효과를 환경교육에서도 확인함으로써 환경교육의 목표달성을 위한 조절적합성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셋째, 환경교육 메시지 구성 시 학생들의 조절초점 성향을 고려해야함을 보여줌으로써 환경교육 교재 및 수업 전략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
넷째, 교육의 다른 분야에서도 조절적합성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함을 간접적으로 제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조절적합성을 환경교육 수업 모형 및 교재 구성 등의 영역에서 활용할 것과 조절적합성의 효과 검증을 위한 환경교육에서의 추가적인 연구를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87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