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사회적 지지의 조절 효과를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소담

Advisor
김혜란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2020. 2. 김혜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1) th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adolescent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2)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dolescents are likely to experienc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heir resulting side effects are fatal and long-term. Moreover, the level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is easy to persist during adolescence. Therefore, to lead the healthy adaptation and development of adolescent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factors which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and make effective intervention based on this. Thu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social support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has a negative impact on adolescent children in many ways, including increasing the level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ese studies also predict that not only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t a high level at a single point in time, but also persistent exposure may affect adolescent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However, as the existing empirical studies are mostly based on the cross-sectional research design methods, there ar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the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examined whether the effects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were influenced by the persistence of exposure. Based on Cohen & Wills(1985) buffering effect model, this study also predicted that social support in adolescence would act as a protective factor that buffers the negativ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Thus,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e impacts of social support from friend and teacher, the main social supporters of adolescence, by examining the effects of th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 children.
Therefore, there are two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First, does the persistence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ffect th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 children? Second, do the effects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differ according to the level of social support? To verify these research questions, data from the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3rd~5th wave panel survey of 4th-grade student was used and 1,934 teenager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ANOVA, post hoc tests and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was found to be positively associated with levels of aggression and delinquency behavior of adolescents. In other words, the more persistent the violence exposure of adolescents children, the higher the level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This finding suggests that interventions targeting adolescent children with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level of persistence of exposure. It should be noted, however, that in the case of aggression, temporary and persistent exposure each had a significant effect, whereas delinquency behavior had only be associated with persistent exposure. Second, friend support was found to buff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and teacher support was found to buffer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delinquency behaviors of adolescents. These findings show that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vary depending on who the supporter is and the level of persistence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while being partially in line with the buffering effect model.
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cused on persistence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examined th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children.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social support could serve as a protective factor which buffers the negative effects of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especially the persistent one. Finally, by examining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separately according to its source, this study found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social support of adolescents more specifically.
Meanwhile, there are seven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ntervention strategies should be devised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marital violence, a fundamental risk factor that negatively affect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 children. Second, social welfare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families with marital violence. Third, efforts should be made to identify adolescents who have persistently experience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and to intervene in them in depth. Fourth, in the intervention of adolescent children with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the persistence of exposure and the types of problem should be taken into. Fifth, efforts to strengthen teacher support are needed. Sixth,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effective measures to make friend support more positive and supportive. Finally,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through cooperation with related institutions such as schools.
In conclusion,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adolescents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social support. This could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of adolescents by identifying the effects of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on externalizing behavior problems and provide the basis for developing discriminatory ways of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persistent exposure to marital violence.
본 연구의 목적은 (1)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2) 그것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의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는 것이다.
청소년기는 외현화 문제행동을 경험할 가능성이 크며, 그에 따른 부작용이 치명적·장기적이고, 그 수준이 지속되기 쉬운 시기이다. 따라서 청소년기, 더 나아가 성인기의 건강한 적응 및 발달을 이끌기 위해서는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효과적인 개입을 이루어나갈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부부폭력 노출 경험,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선행연구들에 따르면, 부부폭력 노출은 외현화 문제행동을 비롯한 여러 가지 측면에서 청소년 자녀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연구들은 또한, 단일 시점에서 높은 수준으로 부부폭력에 노출되는 것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노출되는 것 역시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한다. 그러나 기존의 경험적 연구들은 대부분 횡단적 연구 설계방법에 기반을 두고 있어,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의 영향을 밝히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에 초점을 맞추어, 부부폭력 노출 경험의 지속성 정도에 따라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나타나는지 검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또한 Cohen & Wills(1985)의 완충효과 모델에 따라, 청소년기의 사회적 지지가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보호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측하였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주요 사회적 지지원인 친구 지지, 교사 지지가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과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떠한 효과를 가지는지 경험적으로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증하고자 하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은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가? 이러한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초4패널 3~5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3~5차년도에 모두 응답하였고 관련 항목에 결측치가 없는 양부모 가족 청소년 1,93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분석은 분산분석과 사후검정, OLS 추정방법을 이용하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분산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부부폭력 노출 지속 경험이 청소년 자녀의 공격성과 비행 행동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즉, 청소년 자녀의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지속적일수록 외현화 문제행동 수준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부부폭력 노출 청소년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개입에 있어, 노출의 지속성 수준을 고려한 차별화된 접근이 필요하다는 관점을 제시한다. 다만 공격성의 경우 일시 경험과 지속 경험이 각각 유의한 영향을 미친 반면, 비행 행동은 지속 경험만 유의한 영향을 미쳤음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친구 지지와 교사 지지 수준에 따라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이 청소년 자녀의 공격성과 비행 행동에 미치는 정적 영향의 수준이 달라지는지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그 결과, 친구 지지는 부부폭력 노출 지속 경험이 공격성에 미치는 정적 영향의 수준을 완충하고, 교사 지지는 부부폭력 노출 지속 경험이 비행 행동에 미치는 정적 영향의 수준을 완충함을 확인하였다. 다시 말해, 친구 지지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으로 인한 공격성 수준의 증가가 유의미하게 감소하며, 교사 지지가 높은 청소년의 경우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으로 인한 비행 행동 수준의 증가가 완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결과는 Cohen & Wills(1985)의 완충효과 모델에 부분적으로 부합함과 동시에, 사회적 지지를 제공하는 지지원에 따라, 또 이를 받는 청소년 자녀의 부부폭력 노출 지속성 수준에 따라 사회적 지지의 효과가 다르게 나타남을 보여준다.
본 연구가 가지는 이론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부부폭력 노출 수준이 아닌 지속성에 초점을 맞춰,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둘째,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가 부부폭력 노출 경험, 특히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의 부정적 영향을 완충하는 보호 요인으로 역할 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적 지지를 지지원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봄으로써,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과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 사회적 지지의 관계를 보다 구체적·세부적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를 살펴보면, 첫째,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근본적인 위험요인인 부부폭력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개입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 둘째, 부부폭력이 발생한 가정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이 필요하다. 셋째, 부부폭력 노출을 지속적으로 경험한 청소년을 발굴하고, 이들에게 심도 있게 개입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넷째, 부부폭력 노출 경험 청소년 자녀에 대한 개입 시 노출의 지속성과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문제행동의 유형을 고려한 차별적인 개입이 고려되어야 한다. 다섯째, 교사 지지를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청소년의 친구 관계가 더욱 긍정적이고 지지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학교 등 유관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더욱 효율적·효과적인 개입을 이루어야 한다.
정리하자면 본 연구는 부부폭력 노출의 지속성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그것이 청소년의 사회적 지지 수준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부부폭력 노출, 특히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이 청소년 자녀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함으로써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지속적인 부부폭력 노출 경험이 있는 청소년에 대한 차별적인 개입방법 마련의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8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