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실업은 왜 우리를 불행하게 하는가? : How does unemployment make us unhappy?: Impact of unemployment on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실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과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김영

Advisor
김수영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회과학대학 사회복지학과,2020. 2. 김수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reveal the negative impact of unemployment on happiness and its impact in relation to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other words, the study shows that unemployment reduces peoples happiness not only through worsening the economic situation but also through lowering the self-esteem, where they are driven to the point of feeling worthless.
As the issue of unemployment is growing in importance, the need for comprehensive assessment of the impact is also accentuated for development of the proper policy response. The foregoing discussions on the issues of unemployment have in most cases focused on their economic effects, whereas the ultimate problem of unemployment is the reduced happiness. In the light of this point, the current study examines the detrimental effect of unemployment on happiness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economic and psychological changes caused by unemployment.
The negative impact of unemployment on happiness was tested by means of the fixed effect model, controlling for various observed variables and unobserved but stable characteristics of the individuals. Also,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tested by the mediation analysis suggested by Baron and Kenny(1986). Furthermore, to investigate the non-pecuniary effect of self-esteem independent of the economic effect,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as tested after controlling the mediating effect of household income using progressive adjustment regression model. The analysis is based on the data from the two(2017-2018) waves of the KoWePS(Korean Welfare Panel Study).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Unemployment has a detrimental effect on happiness after fixed effects are controlled for; (2) poor self-esteem functions as a mediator between unemployment and happiness; (3)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remains after the mediating effect of household income has been taken into account and the relative magnitude of self-esteem mediator was bigger than that of the household income.
The analysis yields several important finding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happiness. The study empirically revealed the negative impact of unemployment on happiness, shedding light on the causality issue with controlling fixed effect. And the study statistically revealed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which has been discussed within the conceptual framework. Furthermore, it decomposed the pecuniary and non-pecuniary mediating effect and showed that unemployment has reckonable psychological effects to be taken into account as well as economic effects.
The findings in this paper suggest that the discussion on unemployment should be expanded from considering the topic of economic income alone to the topic of happiness. And self-esteem must be taken into account as a main mediato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unemployment and happiness. The policy implication is that unemployment should be reduced and the unemployment policy must care about its impacts on self-esteem, considering that job is not only a source of income but also of self-esteem.
본 연구의 목적은 실업이 주관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이 그 영향을 매개함을 보이는 것이다. 다시 말해, 실업이 사람을 불행하게 만들며, 실업으로 인한 불행이 소득 감소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의 저하, 즉 스스로를 가치 없는 사람으로 느끼는 것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실업은 현재 우리 사회에서 가장 주목받는 사회문제일 뿐 아니라 미래에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난제이다. 이러한 실업문제에 대응함에 있어, 실업이 실업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종합적으로 파악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기존의 실업 담론은 주로 실업의 경제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어왔으나, 실업이 사회정책적으로 문제가 되는 궁극적인 이유는 실업으로 인한 소득 상실 자체가 아닌, 소득 상실 등을 통해 낮아지는 행복, 즉 불행에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실업이 야기하는 문제의 초점을 소득에서 행복으로 확장하고, 실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매개하는 경제적 요인뿐 아니라 비경제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의 영향을 확인하였다.
먼저 고정효과모형(fixed effect model) 패널 회귀분석을 통해 실업이 미관측 요인들을 통제하고도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정효과모형으로 Baron과 Kenny(1986)의 매개효과검증 3단계 분석을 수행하여 실업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함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점진적 보정(progressive adjustment) 방법을 활용하여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가 경제중심적 담론처럼 경제적 소득의 영향을 받을 뿐 아니라 소득의 영향을 제하고도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고 두 매개효과의 비중을 살펴보았다. 분석에는 주관적 행복 변수가 처음 포함된 한국복지패널 12차(2017)년도 자료부터 현재 접근이 가능한 가장 최근의 자료인 13차(2018)년도 자료까지 2개년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업은 주관적 행복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업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실업이 주관적 행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경제적 요인인 가구소득의 영향을 통제하고도 매개하며, 실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비중이 가구소득의 매개효과 비중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이론적 측면에서 실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경제적 영향을 제외하고도 그 영향을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을 입증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먼저 실업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과는 실업과 행복의 상관관계를 분명히 입증하고, 실업이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는 인과관계를 주장함에 있어 비허위성 조건을 충족하여 설득력을 더하였다. 또한 기존 이론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졌으나 실증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실업, 자아존중감, 행복의 관계를 미관측 변수의 영향력을 통제한 상태에서 보다 엄밀하게 증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실업이 경제적 영향뿐 아니라 경제적 영향으로부터 독립된 심리적 영향을 가진다는 사실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실업에 대한 논의가 소득에서 행복으로 확장되어야 한다는 것과 실업으로 인한 불행에 대응함에 있어 자아존중감이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한다는 정책적 함의를 제공한다. 그러므로 먼저 현재적 차원에서는 행복수준을 낮추는 실업에 대응하는 실업지원제도가 강화되어야 하며, 실업지원제도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이 고려되어야 한다. 나아가 미래에 구조적 실업이 일반화될 때의 실업정책은 기존의 유급노동이 소득뿐 아니라 자아존중감의 원천이었다는 사실을 고려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즉 실업자에게 사회적 역할을 부여하고 이를 사회적으로 인정하여 경제적으로 보상하는 소득정책을 고려할 것을 제안한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165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College of Social Sciences (사회과학대학)Dept. of Social Welfare (사회복지학과)Theses (Master's Degree_사회복지학과)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