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Association between gamma-glutamyltransferase level and risk of gastrointestinal cancer by glycemic status : 국민 건강보험공단 자료를 이용한 당화 상태에 따른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 수준과 소화기암 발생의 상관 관계 분석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stud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홍승욱

Advisor
김주성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의과대학 의학과,2020. 2. 김주성.
Abstract
Introduction
Elevated serum gamma-glutamyltransferase (GGT)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cancer. However, it is not clear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GGT level and the risk of gastrointestinal cancer would be constant in accordance with the glycemic status. We aim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GGT level, glycemic status and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cancer, respectively, and confirm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wo factors by stratified analysis.

Method
A total of 8,120,665 persons who received general medical check-up from January 2009 to December 2009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were included. Subjec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quartile of GGT level (male: <21, 21-29, 30-47, and ≥48 U/L, female: <13, 13-15, 16-22, and ≥23 U/L) and incidence rates of esophageal, stomach, and colorectal cancer were analyzed for each group using Cox proportional hazards models. Stratified analyses were conducted by glycemic status; non-diabetes,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and diabetes mellitus (DM).

Results
During the 8-year follow-up, 129,853 cases of gastrointestinal cancer newly occurred. The highest GGT quartile group had an increased risk of gastrointestinal cancer compared to the lowest (esophagus: HR= 2.408, 95%CI=2.184–2.654, stomach: HR=1.121, 95%CI=1.093-1.149, colorectal: HR=1.185, 95%CI =1.158-1.211). A significant association was revealed between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cancer with IFG as well as DM. When analyzed stratified by glycemic status, effect of GGT was predominant regarding the risk of esophageal cancer. Meanwhile, the additional effect with GGT and diabetes were identified in the incidence of stomach and colorectal cancer (stomach: HR=1.283, 95%CI=1.237-1.331, colorectal: HR=1.342, 95%CI=1.299-1.386, the highest GGT quartile in diabetes).

Conclusion
High GGT levels, IFG, and DM were respectively closely linked to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cancer. The effect of GGT on the incidence of gastrointestinal cancer varied on the type of cancer and glycemic status.
배경: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상승과 소화기암의 발생 위험은 관련성이 있다. 그러나 혈당 장애가 동반된 환자에게서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와 소화기암의 위험도의 상관관계는 명확하지 않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해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 수치와 혈당장애가 각각 소화기암 발생에 미치는 관련성을 평가하고, 계층화 분석을 통해 두 요인 사이에 상호작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12월까지 국민 건강보험 공단에서 제공하는 일반 건강검진을 받은 총 8,120, 665의 대상자가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대상자는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4분위 값에 따라 구분하였고 각 그룹에 대해 식도, 위 그리고 대장직장암의 발생율을 조사하였다. 또한 혈당 장애를 비당뇨, 공복혈당장애, 그리고 당뇨군으로 구분하여 계층화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8년 동안의 추적관찰 기간동안 총 129,853 건의 소화기암이 발생하였다.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가 가장 높았던 군은 낮은 군에 비해 소화기암 발생의 위험이 높았다. (식도암: 위험비 = 2.403, 95% 신뢰구간 = 2.184-2.654, 위암: 위험비 = 1.121, 95% 신뢰구간 = 1.093-1.149, 대장직장암: 위험비 = 1.185, 95% 신뢰구간 = 1.158-1.211). 당뇨뿐 아니라 공복혈당장애를 가진 대상자도 소화기암의 발생 위험이 높았다. 혈당 장애에 따라 계층화 분석을 하였을 때,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효과는 식도암에서 우세하였다. 반면 위암과 대장암의 발생에 있어서는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상승과 혈당장에 상승 작용이 확인되었다.

결론: 높은 감마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수치와 공복혈당 장애 그리고 당뇨는 각각 소화기암 발생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다. 높은 글루타밀 전이효소의 효과는 혈당 장애와 암종에 따라 달라진다.
Language
eng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776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