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 근대 유교 지식인의 '유교 종교화론' : Discourse of Confucian Religionization and Confucian Intellectuals in Modern Korea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이현정

Advisor
허수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사학과,2020. 2. 허수.
Abstract
This thesis is adiachronic analysis of religionizing Confucianism or Confucianreligionization discourse in the 1910s and 1920s that examines the embeddedlogic within the major works of Confucian intellectuals who advocated suchdiscourse.
Confucian religionizationemerged in the modernizing context in which Confucian intellectuals simultaneouslysought to adopt to the changing times and preserve accustomed Confucian values.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religious influence over people in various forms had expanded with the influxof modern understanding of religion, and in turn, religious nature hadembedded its place in the concept of Confucianism. Since the dispute betweenthe Old and New School of Thought in mid-to-late 1900s, Confucianism departedfrom the realms of philosophical learning and leaned towards the realms ofreligion that emphasized spiritual understanding.
Prior and subsequent to1910, Park Eun-siks Essay on Confucian Reformation (1909), LeeSeung-huis writing on Teaching of Confucian Learning and Progress of Confucian Learning (1914) focused on religion as the mechanismfor Confucian preservation and social dissemination. Park and Lee discernedthat preserving Confucianism required appropriate measures in adopting tomodern society. Therefore, Park and Lee found that Confucianism couldre-invent itself as a modern religion and function as the moral parameter inmodern society. Park emphasized the inner virtue and Lee in everydayvirtue to underscore the timeliness of Confucianism in the realm ofmorality and to confirm its validity in the modern era.
On the other hand,questions of social utility and worth continued to encircle Confucianism in the1910s as previously. Also, the entry of colonial power in the 1910s addedpolitical and institutional pressure.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ssuedits expansive Regulations in Religious Propagation in 1915, which excludedConfucianism from the institutional religion for reasons that it lackedreligious forms. Vulnerable to social criticisms and institutional exclusion,Confucianism was faced with doubled predicament. Leading into the 1920s, intellectualsattentive to the spiritual and inner nature of religion emerged along withthe arrival of Reconstructionist (gyejo-ron)discourse. The subsequent trend of religious social reconstruction would theninfluence religions like Buddhism and Chondoism, including Confucianism.
Lee Byung-hons Confucian Restoration Theory (1919) andSong Ki-siks ConfucianRevitalization Theory (1921) were one of the prominent Confucianreligionization discourses prior and subsequent to 1920. Lee and Song sought toapply the Christian model of religious system and forms onto Confucianpractices in order to promote Confucianism as religion. In particular, Leeunderstood why Confucianism was excluded in the Regulations in ReligiousPropagation and confronted the matter accordingly. Although it is unclear thathe was cognizant of the Regulations, Song also recognized that Confucianpractices lacked institutional qualifications. Therefore, Lee and Songadvocated for specific guidelines such as the establishing religious order,selecting sacred text, and training instructors, accordingly. In addition,these intellectuals, influenced by the religious social reconstructionisttrend, emphasized comprehensive nature of Confucianism, which encompassedreligion, philosophy and science, as indicators to its timeliness.
In 1910s and 1920s, Confucianreligionization was a discursive means to imagine future for Confucianism as a modernreligion. The religionization discourse displayed how Confucian intellectualssought to redefine their place in the changing times by proving its timelinessand by discussing its social dissemination. However, varying reactions ofConfucian intellectuals to the Regulations in Religious Propagation provedthat the trajectory of religionization discourse had acclimated according tothe rapid changes in corresponding periods.
이 논문은 1910년 전후와 1920년 전후에 한국 유교 지식인들이 제기한 유교 종교화론의 대표 저작을 유교 지식인들의 내적 논리를 중심으로 하여 통시적으로 검토했다.
유교 종교화론은 일군의 유교 지식인이 익숙한 가치인 유교를 보전하면서도, 근대라는 시대적 전환기에 적응하고자 하는 차원에서 제기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반까지 다양한 종교가 대중에 대한 영향력을 넓혀가는 상황 속에서 근대적인 종교 개념이 유입되자, 유교는 점차 종교성을 지닌 용어로 정착하게 되었다. 1900년대 중후반 신구학 논쟁 이후 유교는 학문의 영역에서 분리되어 정신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종교의 영역에서 이해되었다.
1910년을 전후로 한 대표적인 유교 종교화론 저작인 박은식의「유교구신론」(1909)과 이승희의「공교교과론」·「공교진행론」(1914)은 공통적으로 유교의 보전과 사회적 확산의 기제로 종교에 주목했다. 이들은 유교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근대 사회에 적합한 방식을 취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했다. 따라서 근대적인 종교에 착목하면서도 도덕의 측면에서 근대 사회에서의 유교의 역할을 찾았다. 박은식은 내면의 도덕을, 이승희는 일상의 도덕을 강조하면서 유교가 도덕에서는 시의성을 지니고 있음을 강조하여 근대에서 유효하다는 것을 입증하고자 했다.
한편, 1910년대에는 이전 시기와 마찬가지로 유교가 사회적 효용성을 의심받았으며, 더 나아가 조선총독부라는 식민권력이 등장하면서 정책과 제도적으로도 통제 받게 되었다. 조선총독부가 1915년 발포한「포교규칙」은 유교가 종교의 형식을 갖추지 못했다는 이유로 유교를 제도권 종교에서 제외했다. 유교는 사회적 효용성에 대한 비판을 받고 있었던 것과 더불어 종교 제도에서 배제되는 이중의 고충에 처하게 되었다. 그런가하면 1920년을 전후로 한 시기에는 개조론의 사조가 유입되어 정신적이고 내면적인 측면이 강조되면서 종교에 주목하는 지식인들이 등장했다. 그에 따라 종교적 사회개조의 지향이 유행하면서 유교를 포함한 불교, 천도교 등의 종교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920년 전후의 대표적인 유교 종교화론인 이병헌의「유교복원론」(1919)과 송기식의《유교유신론》(1921)은 유교를 종교로 상정하되 종교로서의 조직과 형식을 제도화해야 한다는 데 초점을 두고 기독교를 모델로 삼아 유교에 적용하고자 했다. 특히 이병헌은「포교규칙」으로 유교가 종교에서 배제된 상황과 이유를 충분히 인지하고 이에 적극 대응하였으며, 송기식이「포교규칙」을 인지하고 있었는지는 확인할 수 없지만, 그 역시 유교가 제도적 구체성을 갖추지 못함을 의식하고 있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이들은 공통적으로 교단, 경전, 교사 양성이라는 구체적 지침을 제시하였다. 한편, 이러한 제도적인 보완과 더불어 1920년 전후의 유교 종교화론은 당시의 종교적 사회개조의 영향을 받아 종교, 철학, 과학을 포괄하는 유교의 모습을 강조하여 유교의 시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1910년 전후, 1920년 전후의 유교 종교화론은 근대와 조우하면서 근대 종교로서의 유교를 상상할 수 있게 되었다. 두 시기의 담론은 모두 유교의 시의성을 입증하고자 하면서 사회적 확산을 논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지닌다. 그렇지만「포교규칙」이 발포된 시점을 전후로 하여 차이점을 보였다. 이는 시대적 배경과 상황에 따라 유교 종교화론이 계기적으로 전개 양상을 달리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860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