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에 대한 연구 : A study on Korean Structural Ambigui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Amadori Francesco

Advisor
박진호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석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20. 2. 박진호.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에 대한 연구이다. 즉 이 글에서는 하나의 문장이 두 가지 이상의 해석을 가질 때, 어떠한 문장 성분이 그러한 구조적 중의성을 초래하는지, 그러한 중의성을 해소하는 방안에는 무엇이 있는지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문장에서 구조적 중의성을 발생시키는 원인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정리하고 이들을 유형별로 분류한다. 나아가 이탈리아어 및 영어를 비교 대상으로 하여 구조적 중의성의 문제에서 한국어와 이들 언어가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을 갖는지를 살핀다. 또한 이러한 구조적 중의성의 유형들이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인 원칙과 규칙을 통해서 어떻게 해소될 수 있는지를 설명한다.
구조적 중의성의 해소 방법은 그동안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을 받아 온 연구 주제이다. 따라서 선행 연구 검토를 통해 영어를 비롯한 다른 언어들에 적용되어 온 구조적 중의성 해소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우측 결합 원리, 어휘 선호 규칙, 관련성 이론 등이 제시되어 왔다. 그런데 이러한 방안들이 한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을 해소하는 데에도 적용 가능한 보편적인 원리인지에 대하여서는 논의의 여지가 남아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방안들이 한국어의 구조적 중의성을 해소하는 데에 기여하는지, 만일 한국어에도 적용 가능한 방안이 있다면, 그 방안은 어떠한 유형의 구조적 중의성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각각 장을 달리 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제3장에서는 통사적 원리인 우측 결합 원리를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해소 양상을 살핀다. 이때 발견되는 문제점이나 한계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도 함께 확인한다.
제4장에서는 의미적 원리인 어휘 선호 규칙을 중심으로 하여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 해소 양상을 살핀다. 특히 속격 조사 -의가 포함된 구성 및 명사구에서 일어날 수 있는 중의성을 해소하는 데에 생성어휘부 이론이 어떠한 주요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설명을 시도한다.
마지막으로, 제5장에서는 화용적 측면에서 관련성 이론으로 기반으로 하여 앞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나머지 구조적 중의성의 유형들이 어떻게 해소될 수 있는지에 대한 설명을 시도한다. 맥락이 주어져 있으면 모든 중의성이 수월하게 해소될 수 있다는 것이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경우에 대해서는 어떠한 중의성이 처리될 수 있는지에 대한 더 명쾌한 설명이 필요가 있음이 분명하기 때문이다.
종합하자면, 본고에서는 어떤 문장 성분이나 원인에 의하여 한국어에서 구조적 중의성이 발생하는지, 그렇게 발생한 중의성은 어떻게 해소되는지 등에 대하여 논의하고자 한다. 다른 언어들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서 한국어 구조적 중의성이 갖는 독특한 특징에 관한 기술도 가능할 것이다. 또한 이 외에 유형별로 체계적으로 정리된 구조적 중의성들이 각각 통사적, 의미적, 화용적 범위에서 어떻게 해소되는지 세밀하게 관찰하여 제시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and organize in a more systematic way those Korean grammar patters that can cause a sentence to evoke more than one possible interpretation, thus triggering the so called 'Structural Ambiguity'. The main scope of this paper is not only to reorganize and to throughly explain those elements that can cause structural ambiguity but also to depict which analogies and differences can be disclosed by comparing Korean structural ambiguity with other languages, such as Italian and English.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illustrated in the second chapter. Nevertheless, the research proceeds in discussing how it is possible to disambiguate these categories through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principles and theories. Originally, disambiguation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and active issue to be analysed, and preliminary methods have been applied only to english or other languages, miscalculating if and how in Korean as well that universality could be found as well. Thus, how those principles can be applied to the given Korean structural ambiguity related categories and a different approach for a valuable structural disambiguation will be discussed.
Therefore, in the third chapter It will be discussed which Korean structural ambiguity categories can be solved through the syntactic principle known as 'Right Association Principle (RAP)' and which limits can be found in its application and how can they be overcome.
Similarly, chapter four focuses on which Korean structural ambiguity can be semantically resolved through the employment not only of the so called 'Lexical Preference Rule (LPR)' but also it has been shown the remarkable role of 'Generative Lexicon Theory' in the disambiguating structural ambiguity caused by the use of the genitive particle as well as by noun phrases.
Last but not least, in chapter five it is discussed which categories can be solved with a pragmatic approach by applying the Relevance Theory. Hence, it is known that any kind of ambiguity can be resolved by a given context however, it was needed a more concrete explanation on which categories are more likely to be dealt with within this domain.
In conclusion,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exhaustively explaining which Korean patterns can lead to structural ambiguity. By comparing Korean with English and Italian, it was possible to show Korean peculiar aspects as well as universal features. Furthermore, the thesis aims to show how those structural ambiguity categories can be resolve within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domains.
Language
kor
URI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91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