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국어 인용 표현의 해석적 사용 교육 연구 : A Study on Korean grammar education focused on interpretative use in the reported speech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박진희

Advisor
민현식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2020. 2. 민현식.
Abstract
The study emphasizes that reported speech' in its function to associate the preceding text with the speaker's own words should be included as part of grammar education, as it is a type of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study aimed to establish speakers improvements in interpretative usability, as the final goal of arriving at expressions of evidentiality. To this end, the study explored how the citation speaker interprets and uses the preceding text, and how the voice of the speaker is involved in the process of languaging. If the reported speech is the result of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speaker and the listener, the result will necessarily reflect the speakers and listeners' voices together.
To design new educational objectives and educational content for expressions of evidentiality, the study critically reviewed current educational practices. As a result, the study found that even though current practices introduce discourse and textual perspectives, these do not capture the content inherent in quotative expressions and how they differ from quotative clauses. It also found that there was a problem with the criteria and methods for classifying direct quoting and indirect quoting in grammar instruction in schools, when it comes to the various ways that evidentiality in actual text can be expressed. In addition, the study found that the content of learning activities was limited to verbal quotations', which do not provide a good enough learning experience on how to quote spoken language as written language, and this leads learners to believe that the emphasis is on accurately reconstructing a written statement .
To address the problems identified in the existing educational content, the study established the concept of reported speech as communication behavior in which language-using subjects actively respond to leading texts to produce new text'. In addition, by expanding the category of expressions, various aspects of reported speech made in actual discourse can be addressed by grammar education. The study emphasized that the nature of reported speech is interactive, based on Bakhtins discussions, and sought to find the essence of reported speech in heteroglossia' and the borrowing of voice'. It also sought to find the communicative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reported speech in the responsive utterances and interpretative use phenomena identified in the chain of text. In addition, in reference to Ducrot who showed how utterances reveal the overlapping of different voices, the study looked at the way in which expressions of evidentiality are constructed.
The ideal learner targeted in this study is a person with a unique voice'. The person who has their own voice is someone who recognizes the presence of others inherent in their speech through reported speech. They are not subjugated to reported speech and can convey various views and values within those voices when using their own voice. However, learners often remain at the level of being dependent on the voice of the preceding text and replacing some of the contents at the word and phrase level. Therefore, the study discusses the need to lead learners to actively explore the intent of what the speaker of the preceding text wanted to convey, and then to move on to the stage of evaluating and interpreting other people's words from their own perspective.
The study found significance in setting one goal of education as conveying the nature of reported speech as interactive, and to grow learners as responsive understanders and interpretative users, ultimately leading them to their own voices through reported speech.
이 연구는 기존의 발화를 자신의 발화 속으로 끌어들이는 인용(引用) 행위가 화자와 청자의 능동적인 의사소통 결과로서 교육의 장(場)에 수용되어야 한다고 보고, 인용 화자의 해석적 사용 능력 신장을 인용 표현 교육의 최종 목표로 정립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인용의 대상이 되는 기존 발화, 즉 선행 텍스트를 해석적으로 사용한 결과가 인용 화자에 의해 어떠한 방식으로 언어화되는가, 그리고 그것을 언어화하는 과정에 또한 인용 화자의 목소리가 어떻게 개입되는가 하는 점에 주목하였다. 인용이 화자와 청자의 능동적인 의사소통의 결과라면 그 결과물에는 반드시 화자와 청자의 목소리가 함께 반영되어 나타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인용 표현의 새로운 교육 목표와 교육 내용을 설계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는 기존의 교육 내용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일을 우선적으로 수행하였다. 그 결과, 기존의 교육이 담화‧텍스트적 관점을 도입하고 있음에도 인용절과 변별되는 인용 표현 고유의 교육 내용을 담아내고 있지 못하다는 점, 실제 텍스트에 나타나는 인용 표현의 다양한 방식을 고려할 때 학교문법에서 직접 인용과 간접 인용을 분류하는 기준과 방식에 문제가 있음을 지적하였다. 또한 학습 활동의 내용이 외적 발화 동사 중심 구어체 인용에 한정되어 있어 문어를 문어로 인용하는 방식에 대한 학습 경험을 제공하지 못했으며, 정확성만을 강조한 결과 피인용문을 재구성하는 것에 대해 학습자가 경직된 인식을 갖게 되는 문제를 초래하였다고 보았다. 따라서 인용의 의사소통 행위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인용 표현 교육 내용을 통합적으로 재구조화해야 하며, 학습 활동 차원에서는 원발화를 자신의 관점으로 간접화하는 방식에 대한 경험을 제공하는 일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기존 교육 내용에서 확인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인용의 개념을 언어 사용 주체가 선행 텍스트에 능동적으로 응답하여 새로운 담화‧텍스트를 생산하는 의사소통 행위로 정립하고, 인용 표현의 범주를 확장함으로써 실제 담화 텍스트 층위에서 이루어지는 인용의 다양한 양상을 교육의 국면에서 다룰 수 있도록 하였다. 이 과정에서 바흐친의 논의에 의거하여 인용의 본질이 대화성에 있음을 강조하였고, 인용 발화의 보고담화적 속성을 발화의 이질언어성과 목소리의 차용 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또한 의사소통 행위적 특성은 텍스트의 연쇄에서 확인되는 응답적 이해와 해석적 사용 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에 더하여, 문법 교육에서 다루어야 할 인용 표현의 핵심적인 교육 내용은 인용의 문법적 표지와 의미 해석의 과정을 분석하는 데 있다고 보고, 발화 행위에서 발화가 복수의 목소리 중첩을 어떻게 표시하는지 보여 주는 것에 두었던 뒤크로(Ducrot)의 논의에 의거하여, 되풀이, 재구성, 관점 표지에 따라 인용 표현이 구성되는 방식을 논하였다.
이 연구에서 궁극적으로 지향하는 학습자상은 자기 목소리의 주체자이다. 자기 목소리의 주제자는 인용의 행위를 통해 자기 발화에 내재하는 타인의 존재, 즉 목소리의 다성성을 인식하면서도 그것에 종속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목소리에 담지되어 있는 다양한 관점과 가치들을 자신의 목소리로 전유하는 자이다. 그러나 학습자들은 선행 텍스트의 목소리에 종속되어 그것을 그대로 옮겨 오는 모방적 메아리, 선행 텍스트의 일부 내용을 단어 및 구절 차원에서 교체하는 수준의 환언적 되풀이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선행 텍스트의 화자가 전달하고자 했던 바가 무엇인지 그 의도를 적극적으로 탐색하는 단계를 거쳐, 타인의 발화를 자신의 관점에서 평가하고 분석하는 해석적 재구성의 단계로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학습자를 이끄는 일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인용절, 인용 표현에 대한 그동안의 문법 교육 내용이 형태적 특징을 분석하는 활동을 중심으로 구성되어 온 반면, 이 연구에서는 학습자로 하여금 인용 표현의 실제적 사용 양상과 인용 표현에 개입된 인용 화자의 관점 및 태도에 주목하게 하는 활동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인용의 본질이 대화성에 있다고 보고, 학습자를 응답적 이해 주체이자 해석적 사용 주체로서 성장시킴으로써 궁극적으로는 인용을 통해 자기 고유의 목소리를 낼 수 있는 데까지 나아가도록 하는 인용 표현 교육의 지향점을 마련하였다는 데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54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84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