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작품 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복 행위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petitive Acts in the Art-Making Process
연구자의 작업을 중심으로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전윤조

Advisor
오귀원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미술대학 미술학과,2020. 2. 오귀원.
Abstract
This paper examines the repetitive acts exhibited in the researchers art-making process. The researcher perceives the repetitive acts as the result of psychological issues arising from a loss of hearing, and an attempt to establish a solid identity. The repetitive acts are regarded as holding greater significance than mere acts leading to the final product.

The researcher analyzed the repetitive acts in terms of action, material and form, and interpreted them as having the following meanings.
First, the repetitive acts were categorized into winding, slinging, unwinding, sticking, collecting, sewing, stacking and hanging, and the meaning behind each type was analyzed. Each action hints at the traumatic experience and psychological state of the researcher. The act of winding around something is an attempt to hide or fix, while the act of winding thread around a frame means regeneration. The act of slinging reflects the researchers passive state of mind, and unwinding is a way of accommodating complex psychological states. The act of sticking is an expression of the researchers experience, and the collection of incomplete shapes shows a determination to address and tackle problems. The act of sewing is self-healing, and the act of stacking releases suppressed emotions through structural features. The act of hanging represents the sense of lethargy and despair felt by the researcher in reality. The compulsive repetition is the triggering of the defense mechanism in response to a state of anxiety, and is believed to be influenced by the excessive language training that the researcher attended unwillingly during childhood.
Second, the limiting of repetitive acts to materials modifiable by hand was noted and analyzed. The use of modifiable materials was seen as an attempt to express the finiteness and duality of humans based on the loss of hearing and interactions with others. In particular, the choice of soft materials like thread is a desire for psychological stability that is lacking in reality due to the loss of hearing. At the same time, it serves as an effective medium in revealing ones true self.
Third, the meaning behind the repeated creation of incomplete forms (dolls with disabilities in all four limbs or body parts) was derived. This was a projection of the contradictory feelings felt from the loss of hearing. The defense mechanism had been triggered to suppress the memories and emotions associated with trauma, and the habit of repetition can be traced to the language training experience from childhood. The researcher was constantly making new work to compensate for the sense of loss and despair arising from physical disability, and the intentional visualization of trauma was aimed at self-healing and understanding of inner self.
Since the researcher is aware of the impact that the loss of hearing has on art and daily life, the repetitive acts were analyzed in relation to personal and psychological issues. In this process, the use of modifiable materials and repetitive acts were verified as part of art-making for oneself. By engaging in repetitive acts, the researcher is seeking answers to questions addressed to oneself or working towards specific goals. While the primary theme was previously identified as the researchers physical disability and emotional pain, it was in fact dealing with the universal theme of psychological issues. The repetitive acts were a way of suspecting and confirming the prejudice against psychological struggles. By approaching psychological issues from a broader perspective, the scope of work and artistic expression can be broadened and extended beyond hearing loss, which will in turn give deeper meaning to the repetitive acts involved in art-making.
본 논문은 연구자의 작품 제작 과정에서 나타나는 반복 행위에 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본인 작업의 반복 행위가 청각 상실에서 비롯된 심리 문제를 직시하고 불확실한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의미를 지닌다고 인식했다. 이에 반복 행위가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수단 이상의 의미를 가진다고 생각하고 이를 면밀히 고찰했다.

연구자는 반복 행위에 관한 연구를 행위, 재료, 형태의 측면에서 구분하여 진행하고 다음과 같이 그 의미를 도출하였다.
첫째, 연구자의 반복 행위의 유형을 감기, 걸기, 풀기, 붙이기, 모으기, 꿰매기, 쌓기, 매달기 행위로 구분하고 각 행위의 의미를 분석했다. 이들은 본인의 외상성 경험과 심리 상태를 각기 다른 의미로 드러낸다. 연구자가 어떤 대상을 감는 행위는 가리거나 속박하는 의미를, 실로 뼈대를 감는 행위는 재생의 의미를 지닌다. 걸기 행위는 걸린 대상을 통해 연구자의 수동적인 심리 상태를 암시한 것이며, 풀기는 복잡한 심리 상태를 조절하려는 의도를 함유한다. 붙이기 행위는 본인의 경험을 표현하고, 불완전한 형태를 만들어서 모은 행위는 문제를 형상화하고 대면하려는 의지를 내포한다. 실로 꿰맨 행위는 고정과 치유의 의미를 가지며, 쌓기 행위는 구조적 특징을 통해서 억눌린 내면 상태를, 매달기 행위는 연구자가 현실에서 느낀 무기력함과 욕구의 좌절을 상징적으로 드러낸 것이다. 그리고 강박적으로 반복되는 행위는 불안 심리에 대처하기 위한 방어 기제의 심리 작용이며, 어린 시절 연구자의 의사에 반해 무리하게 진행했던 언어 훈련 경험의 영향이 있는 것으로 해석했다.
둘째, 연구자의 반복 행위가 손의 힘으로 다룰 수 있는 가변적인 재료에 국한된 것에 주목하면서 그 의미를 분석했다. 연구자의 가변적인 재료의 사용은 청각 상실 및 타인의 말과 행동으로부터 경험한 인간의 유한성과 이중성을 표현하려고 한 시도인 것으로 판단했다. 특히 손힘에 순응하는 실과 같은 부드러운 재료로 반복 행위를 추구하는 것은 장애로 인한 현실 한계 속에서 심리 안정을 갈망하는 것이자나를 잘 보여줄 수 있는 언어를 찾으려고 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이해했다.
셋째, 연구자가 불완전한 형태(사지가 불구인 인형과 신체의 부분)를 반복해서 제작하는 행위의 의미를 도출했다. 그 결과 본인의 청각 상실로 인한 모순감정을 투사하는 과정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외상성 기억과 감정이 여전히 연구자의 내면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느끼면서 이를 억압하려는 심리 기제가 작용한 것, 그리고 언어 훈련 경험으로부터 일종의 반복 습관이 형성된 것으로 밝혔다. 또한 연구자가 신체 불구로 인한 본질적인 상실감을 메꾸고자 대체물을 추구하는 과정에서 계속 만들게 되는 것이며, 연구자의 심리를 치유하고 내면 상태를 이해하고자 본인의 문제를 일부러 반복해서 시각화하는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판단했다.

연구자는 청각 상실이 현실에서 절실한 문제이고 이것이 본인의 일상과 작업에 크게 영향을 끼치고 있음을 인지하기 때문에, 반복 행위를 본인의 문제 및 심리 상태와 결부하여 분석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가변적인 재료의 사용과 반복 행위를 통한 연구자 작업의 속성이나를 위한 작업에 가까움을 확인할 수 있었다.나를 위한 작업에서 반복 행위는 자신에게 부여한 어떤 질문에 대한 답을 탐구하거나 혹은 나름의 원칙과 목표를 정한 후 이를 수행하는 태도를 가진다. 또한, 연구자의 신체 불구와 마음의 상처를 다룬다고 생각했던 작업이 결국 심리 문제라는 보편적인 주제를 다루는 것이며 반복 행위가 이에 대한 편견을 의심하고 확인하는 의미도 함께 지님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견해와 함께 청각 상실에 한정했던 심리 문제의 관점을 확장한다면, 작업 내용과 표현 범주를 넓히고 다양한 관점에서 도출한 반복 행위의 의미를 심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588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41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