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조선시대 음악교육의 양상과 의의 : The aspects and Meanings of Music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조은숙

Advisor
김우진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음악대학 협동과정 음악학(한국음악학전공),2020. 2. 김우진.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purpose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contents, operation methods, and interrelationships implemented through various aspects of music education during the Joseon Dynasty, i.e. music education through scripture learning and culture cultivation, and music education for professional administration and professional musicians. In particular, the education contents of notion which forms an inner eye through the concept of Ak(樂) and its value, and practice which seeks external change through actual performance activities such as TanGeum(彈琴), were different from the main player due to fundamental differences in personality. And it noted that through organic interaction, professional administrators combined with expertise played a leading role in fostering the professional musicians.
The scope of music education targeted for research was extended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resent era to the scope of the wide-ranging categories of education centered on the scriptures of institutional education and the culture of non-institutional education, including specialized education for the management and the cultivation of musicians. In addition, the research method focused on the synthesis and analysis of related literature materials, such as books of scriptures which are essential teaching materials for institutional education, imperial books, history of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literary works, and a national score. Meanwhile, the meaning of music education in the Joseon Dynasty was revealed through a view of the differences in personality between the notion of "Ak(樂)" and the actual nature of "Umyul(音律)", through the pursuit of education-oriented spiritual cultivation at the individual level and the development of education-oriented professional administators and musicians at the national level, having an organic connection and interacting collectively.

First, Music education through scriptural learning was designed to form an inner eye as a notion through the ideals, concepts, principles, and moral codes of Ak(樂), and played a role in attaching fundamental meaning to actual aspects. In particular, 'Lee-Hwang(李滉)' and 'Lee-Yi(李珥)' recognized the value of songs as means of conveying education contents, and 'Hyeonsong(絃誦)' and 'Hyunga(絃歌)' education methods continued to be used for scriptural education. In addition, the government continuously sought alternative policies to establish ideals of "Ak(樂)" and solve pending state affairs by publishing the contents of "Ak(樂)" in the Gwageo(科擧), which is an assessment of scriptural education and a system for the use of human resources. Music education through improving refinement was established as a process to realize the more practical and direct ideal of condensed Ak(樂) through the formation of a Tangeum(彈琴) culture, the fostering a family-level Umyul(音律)-friendly culture, and the spreading a culture of music communication through the activities of the Pungryubang(風流房) at the social level. In addition, music education through scriptural learning and improving refinement was aimed at restoring Bonyeonjiseong(本然之性) as an absolute command of heaven, using the premise of Confucius' Heungeosi(興於詩), Ipeolye(入於禮) and Sungeoak(成於樂) for educational purposes.
Next, Music education for fostering professional administrators continued through various re-education programs and various assessments to educate the contents of the scriptural Ak(樂). In addition, professionalism for administrators of the Jangakwon(掌樂院) was called for Yudeok(有德), Jiak(知樂), and Eumlyulhaedeuk(音律解得), and the national music policy project was used as an educational opportunity to deepen the expertise of "Ak(樂)." Music education for fostering professional musicians was performed for Sungjae(成才) by preparing a system for promotion according to the regular practice days stipulated by the Ilyukjwagi(二六坐起) and the number of working days of 1,200 days, and a regular test plan for the Samaengweol(四孟月) and year-end. In this period, the education methods of Oumyakbo(五音略譜) were indirectly utilized, focusing on the Yukbo(肉譜) and Gueumbo(口音譜), and in particular, they provided an opportunity to develop their professionalism through hereditary succession by major based on their status. In addition, music education for professional administors and professional musicians was established as a tool to realize the ideals of a virtuous state that aims to cultivate its people through the Do(道) of Yeak(禮樂) at the national level.
In short, music education developed in institutions and non-institutional areas during the Joseon Dynasty was regarded as an integral part of education within the inner structure of the Seonglihak(性理學), although it was not an independent form of learning called "Akhak(樂學)". The notion of 'Ak(樂)' and the practice of 'Umyul(音律)' established each other's legitimacy through their roles as permanent residents as the two main landlords of education contents. The aims of music educations is as a complete adult on the level of completion of personality, which is the concept of Seonglihak(性理學) education, as a tool for the realization of a virtuous state centered on Yeak(禮樂), professional administration officials and professional musicians were represented for another purpose. Various aspects of music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ed as an overall educational phenomenon, forming an organic connection between each other.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음악교육, 즉 경전 수학과 교양 함양을 통한 음악교육, 전문 행정관리와 전문 음악인 양성을 위한 음악교육 등의 다양한 양상을 통해 구현된 음악교육의 목적, 교육내용, 운영 방법, 상호 연관성 등의 특징과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특히 악(樂)의 개념과 가치를 통해 내적 안목을 형성하는 관념과 탄금(彈琴) 등의 연주 활동을 통해 외적 변화를 추구하는 실제의 교육내용이 근본적인 성격 차이로 인해 운영 주체가 달랐으며, 유기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전문성을 겸비한 전문 관리가 장악원의 전문 음악인 양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삼은 음악교육의 범위는 현시대의 분과된 학문 관점에서 장악원(掌樂院)의 관리와 음악인 양성을 위한 전문 교육을 포함하여 제도권 교육의 경전 수학과 비제도권 교육의 교양 함양의 광의적 범주까지 확장하여 논의를 진행하였다. 또한 연구방법은 제도권 교육의 필수 교재인 사서오경과 제왕학 교재, 실록 기사, 문집, 관찬 악보 등 관련 문헌 사료의 종합과 분석을 중심으로 하였다. 한편, 악(樂)의 관념과 음률(音律)의 실제에 따른 교육내용별 성격적 차이점을 고찰하고, 개인 차원의 교육목적인 심성함양 추구와 국가 차원의 교육목적인 전문 관리·음악인 양성이 유기적인 관련을 맺으며 총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모습을 통해 조선시대 음악교육의 의미를 밝혔다.
먼저, 경전 수학을 통한 음악교육은 악(樂)의 개념, 이상(理想), 원리, 도덕규범 등을 통한 관념으로서 내적 안목의 형성을 지향하였으며, 실제적 측면에 근원적인 의미를 부여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특히 이황과 이이는 교육내용 전달 수단으로서 노래의 가치를 인식하였고, 현송(絃誦)·현가(絃歌)의 교육 방법이 지속해서 경전 교육에 활용되었다. 또한 경전 교육의 평가이자 인재 등용 제도인 과거(科擧)의 책문(策問)에 악(樂)의 내용을 출제하여 악의 이상 정립과 국정 현안 해결의 정책 대안을 지속해서 모색하였다. 교양 함양을 통한 음악교육은 개인 차원의 연거학(燕居學)으로서 탄금(彈琴) 문화 형성, 가문 차원의 가학(家學)으로서 음률(音律) 애호 문화 함양, 사회 차원의 풍류방 활동을 통한 음악 소통 문화 확산을 통해 더욱 실제적이고 직접적인 음률(音律)로서 악(樂) 속에 응축된 이상을 실현해 가는 과정으로 정립되었다. 또한 경전 수학과 교양 함양을 통한 음악교육은 성리학적 사유체계 안에서 공자의 흥어시(興於詩), 입어례(立於禮), 성어악(成於樂) 명제를 통해 개인 차원의 심성함양을 추구하는 성인(聖人)을 교육의 목적으로 삼아 하늘의 절대적인 명령으로서 본연지성(本然之性)의 회복을 지향하였다.
다음으로, 전문 행정관리 양성을 위한 음악교육은 다양한 재교육 프로그램과 각종 평가 등을 통해 경전의 악(樂)에 관한 내용을 지속해서 교육하였다. 또한 장악원 행정관리 등용을 위한 전문성은 유덕(有德)과 지악(知樂), 음률해득(音律解得)이 요구되었고, 국가의 음악 정책 사업은 악(樂)의 전문성을 심화할 수 있는 교육적 기회로 활용되었다. 전문 음악인 양성을 위한 음악교육은 이륙좌기(二六坐起)로 규정된 정기적인 습악제도와 1,200일이라는 근무 일수에 따른 승급제도, 사맹월과 연말의 정기적인 취재(取才) 방안을 마련하여 기예를 이루도록[成才] 하였다. 이때의 교육 방법은 육보와 구음보를 중심으로 오음약보 등이 간접적으로 활용되었으며, 특히 신분에 따른 악곡별 세습제도를 통해 전문성 심화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또한 전문 행정관리와 전문 음악인 양성을 위한 음악교육은 국가 차원에서 예악의 도(道)로 백성을 교화하려는 덕치(德治) 국가의 이상을 실현하기 위한 도구로 위상을 정립하였다.
요컨대 조선시대 제도권과 비제도권에서 전개된 음악교육은 비록 악학이라는 독립된 학문의 형태는 아니었으나 성리학적 사유체계의 내적 구조 안에서 교육의 불가결한 영역으로 간주되었다. 악(樂)의 관념과 음률(音律)의 실제가 음악교육 내용의 양대 지주(支柱)로서 상보적(相補的)인 역할을 통해 서로의 정당성을 확립하였다. 성리학적 교육개념인 심성함양 차원의 완전무결한 성인(聖人)을 음악교육의 목적으로 지향했으며, 예악 중심의 덕치 국가 실현을 위한 도구로써 전문 행정관리와 전문 음악인 양성을 또 다른 음악교육의 목적으로 표방하였다. 다양한 양상의 음악교육은 상호 간에 유기적인 관련을 맺으며 총체적인 교육 현상으로 구현되었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06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58973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