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서울의 도시 이미지 형성(1897년-1939년)에 대한 연구 : A Study of the Formation of the Urban Images of Seoul from 1897 to 1939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성효진

Advisor
장진성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고고미술사학과(미술사학전공),2020. 2. 장진성.
Abstract
This study attempts to explore the coexistence of places which represent Hanseong and Gyeongseong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urban images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897 to 1939. It examines the transition from Hanseong, the capital city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o Gyeongseong, the capital of colonial Korea. The shift from Hanseong to Gyeongseong results in the formation of urban images. Urban images do not consist solely of physical environments. Urban images encompass perceptions, memories, and feelings of people who lived during the time.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how they reacted to and remembered the changes of urban space in dealing with the formation of urban images. There are two main focuses in this study. Firstly, it must be noted that elements representing Hanseong and Gyeongseong which seem to be fragmented are found in the images of Gyeongseong. Secondly, the images of Gyeongseong are located at the intersection of Japanese politics. Prior to exploring the images of Seoul, this dissertation deals with the changes and perceptions of urban spaces in Paris, Tokyo, and Seoul in the late 19th century. This chapter is a premise for research and a consideration of methodology. Based on this, the study shed light on the appearance of places representing Hanseong and Gyeongseong during the creation of the urban images of Seoul from 1897 to 1939.

The period from the founding of the Great Korean Empire (Great Han Empire) to the 1910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witnessed the birth of the modern city of Gyeongseong. The Joseon dynasty proclaimed the modern state of Korea in 1897. Gyeongun Palace (Gyeongungung) was designated as a symbol of modern nation and a space that inherited the legitimacy of the Joseon dynasty through the continuation of royal rituals. Modernization projects on the Gyeongun Palace were also carried out. The roads were renovated. Trams were laid along the roads. Railroads were also supplied. At that time, there were a Legation Quarter around the Gyeongun Palace and a Japan town near the Catholic Cathedral. It is the reason why Gyeongun Palace was at the center of representing the urban space of Hanseong. There was a power struggle between the Legation Quarter and the Japan Town. Ambiguous balance was maintained in the urban space of Hanseong. The political balance among the Korean Empire, the Western superpowers, and Japan collapsed during the Russo-Japanese War. After this event, Hanseong began to be called Gyeongseong. The Japanese residential area was enlarged to encompass the Namchon (South Village). In contrast, the walls near the four main gates symbolizing Hanseong were demolished. In Changgyeong Palace (Changgyeonggung), the first zoo in Korea was opened with a botanical garden and a museum. In the Gyeongun Palace, which was called Deoksu Palace (Deoksugung), the construction of Seokjojeon (Stone Hall), a Western-style building, was completed. Seokjojeon was not used for its original purpose, but merely created as an exotic building. As discussed above, the emergence of Gyeongseong and the decline of Hanseong appeared together in the formation of the modern city of Seoul.

During the period from 1910 to 1926, Hanseong was replaced by Gyeongseong. Buildings symbolizing the modern city of colonialism were constructed to create images of the city. The places which represent the old capital of Hanseong disappeared and came to be remembered by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s. The official name of Seoul became Gyeongseong and its status was reduced to that of Gyeonggi-do. At the same time, the Gyeongseong City Street Improvement Project was implemented to improve the roads and expand the road network. The area around Joseon Bank near Namdaemun (the Great Southern Gate), emerged as the center of Gyeongseong. In the mid-1920s,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Chōsen) Office (Japanese Colonial Korean Government-General Office) and the Joseon Shinto Shrine, the core buildings of colonial rule, were built in Gyeongbok Palace (Gyeongbokgung) and Namsan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the palaces and main gates of Seoul representing Hanseong were left in ruins.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was celebrated by various events. And the places symbolizing Hanseong have fallen into the spectacle of Gyeongseong. It indicates that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and the formation of its images show the beginning of a new visual culture. The representative events commemorating the construction of Gyeongseong were, The Joseon mulsan gongjinhoe (Joseon Industrial Exhibition or Joseon Products Fair) at Gyeongbok palace, the enshrinement ritual at Joseon Shinto Shrine, event related to the completion of the Government-General of Joseon Office. The focus of these events was to create new landmarks of Seoul. The urban space of the colonial capital was turned into a venue for events. Photographs and articles describing the events were repeatedly printed in various media. On the one hand, the palaces symbolizing Hanseong gradually lost their status. The palaces were transformed into places for national events or popular leisure. Changgyeong Palace was relegated to Changgyeongwon (Changgyeong Zoo), a representative theme park of Gyeongseong, while losing its status as a palace.

The perceptions and reactions of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s to the transition of the time ranged from acceptance to rejection. As cultural facilities were created for the Japanese in Seoul, Koreans gradually felt alienated. In the process, Koreans felt themselves as hard strangers and came to miss the bygone splendors of Hanseong. The places that symbolized Hanseong were in ruins, but Koreans did not remember them as ruins. The recollection and memory of Hanseong were found in the contemporary literature and newspaper and magazine articles. As a result, the places reminiscent of Hanseong overlapped with those that represented Gyeongseong.

From 1926 to 1939, Gyeongseong was called Dae-Gyeongseong (Great Gyeongseong) and came to be mythicized. However, the fragments found in the images of Dae-Gyeongseong indicate that it is an illusion created by distortion. Since the mid-1920s, Gyeongseong was called Dae-Gyeongseong, but its reality was ambiguous. On April 1, 1936, Dae-Gyeongseong was officially formulated. Gyeongseong was considered an important base for the formation of the Japanese Empire. The official name was not changed to Dae-Gyeongseong, but the area was enormously expanded. At that time,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Namchon and Bukchon was extremely huge in the urban space of Dae-Gyeongseong. Namchon and Bukchon were considered separate cities. Regardless of the reality of the city, the myth of Dae-Gyeongseong continued. By the 1930s, visual spectacles were created. Department stores and palaces were at the center of urban culture. The department store was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includes cafes and galleries. It became part of the everyday lives of city dwellers in Seoul. The palace had also been turned into a theme park with complex cultural facilities. A museum, an art gallery, a zoo, and a childrens amusement park were built inside Deoksu Palace which was opened to the public in 1933. The construction of the Grand Museum, which includes the Science Museum and the Railway Museum, was planned at Gyeongbok Palace. Department stores and palaces were not places for leisure. They were created for the cultural fluorescence of the Japanese empire.

As a result, the images of the city were distorted as visual spectacles. The reality that the people of the time saw was concealed in the mythicization of Dae-Gyeongseong. Media such as brochures and postcards did not include the real images of the time. What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s saw in mass media were only fragmented images of Seoul that did not reflect the reality of the capital city. The city-dwellers of the time saw themselves as fragments in the city as well. The flâneur was one of them. He wandered in the streets with no purpose. The visual impact of the loss and dissolution of Hanseong was intense. Memories of the lost urban space came to be shattered. The flâneur strolled the streets of Dae-Gyeongseong and noticed that everything that was solid disappeared. But flânerie, the act of strolling, was either concealed or abandoned in the mythicized images of Dae-Gyeongseong where illusion replaced reality. The images of Dae-Gyeongseong were fictitiously constructed, not reflecting the reality of the city. They were no more than an assemblage of visual fragments.

The urban image is one of the main topics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studies. It is the reason that the transition to modern cities is in itself a shift to the birth of a visual culture. However, examination of urban images has been neglected in the field of visual culture studies. The significance of urban images was explored in studies of literature and urban and architectural history. As a result, scholarship on urban images tends to focus on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cities. It is time to deal with urban images in visual culture studies. Along with the physical environments of cities, memories and feelings of people about urban space must be explored in visual culture studies. Accordingly, this dissertation is the first scholarly attempt in visual culture studies to shed light on the perceptions, memories, and emotions of early twentieth-century Koreans about the formation of the urban images of Seoul. This study takes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analysis of the urban images of the city, encompassing Korean urban history, architectural history, and literature. It is my only wish that this dissertation makes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the visual culture studies of Seoul, enhancing the understanding of complex process in which the city was radically transformed from Hanseong to Gyeongseong.


Keywords: The Images of a City, Urban Images, Seoul, Hanseong, Gyeongseong, Dae-Gyeongseong, The Great Korean Empire, The Colonial Period, Recognition and Remembrance.
Student Number: 2013-30038
본 연구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 동안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진 과정에서 한성(漢城)과 경성(京城)을 상징하는 장소들이 공존한 양상을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는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변화를 그 이미지의 형성을 통해 논의하려는 것이다.
도시 이미지는 물리적 환경만이 아닌 그에 대한 당대인(當代人)들의 인식, 기억, 감정 등으로 구성된 총체이다. 따라서 도시 이미지의 형성을 논의하는 데에 있어 핵심 쟁점은 당대인들이 도시 공간의 변화에 대하여 어떠한 반응을 보였으며 이를 어떻게 기억하였는지가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주목한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 기억을 통해 만들어진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 한성과 경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조각난 상태로, 즉 파편들로 얽혀져 있다는 점이다. 둘째, 경성의 도시 이미지는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과 시각문화를 활용한 일본의 정책이 교차하는 지점에 있다는 것이다. 서울의 도시 이미지를 본격적으로 논의하기에 앞서 본고는 19세기 후반 파리, 토쿄, 서울의 도시 공간에서 나타난 변화와 그 인식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 부분은 본격적인 연구를 위한 전제이자 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의미를 지닌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1897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를 세 부분으로 나누어 서울의 도시 이미지가 만들어진 과정에서 한성과 경성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기 구분에서 중점이 된 것은 당대인들이 한성에서 경성으로의 전환을 인식할 만한 시각적인 변화들이 나타나 도시 이미지가 형성되었다는 점이다.

첫 번째 시기는 1897년에서 1910년까지로 대한제국 시기에 해당된다. 이 기간 동안 한성의 도시 공간에는 변화가 나타났으며 근대 도시 경성이 서서히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하였다. 19세기 후반 위기에 직면한 조선 왕실은 1897년 근대 국가인 대한제국을 선포하며 그 해결책을 모색하였다. 대한제국의 법궁(法宮)은 경운궁(慶運宮)으로 정해졌다. 경운궁은 재건 작업 및 국가 의례를 통해 조선왕조의 정통성을 계승한 공간이자 근대 국가의 상징으로 만들어졌다. 동시에 경운궁은 한성부 도시개조사업을 통해 근대 도시의 중심 공간이자 근대 문명 수용의 중심지가 되었다. 경운궁을 중심으로 도로가 정비되었으며 도로를 따라 전차가 가설되고 철도가 보급되었다. 이러한 근대 문명 시설은 당대인들에게 새로운 구경거리로 여겨졌다.
경운궁에 한성의 중심 공간으로서 위상이 절실하게 요구된 이유가 있었다. 당시 한성의 도시 공간에는 대한제국을 사이에 둔 열강들의 권력 다툼이 응축되어 있었다. 이는 한성의 도시 공간을 점유하며 시선을 끌던 두 지역으로 나타났다. 하나는 경운궁이 들어선 정동(貞洞) 일대의 공사관 영역(Legation Quarter)이다. 서구 열강의 위세는 공사관의 규모와 화려함을 통해 도시 공간에 드러났다. 다른 하나는 한성부의 남쪽 끝인 남산 언덕 위에 위치한 진고개(泥峴, 현 충무로)라고 불린 일본인 거류지이다. 일본식 가옥들로 채워진 일본인 거류지는 점차 확장되었다. 그 결과 한성의 도시 공간에서 경운궁을 중심으로 공사관 영역 및 일본인 거류지 사이에 모호한 균형이 유지되었다.
이러한 균형은 1905년 러일전쟁에서 일본이 승리하면서 무너졌다. 일본인 거류지는 청계천(淸溪川) 이남 지역인 남촌(南村) 일대를 아우를 정도로 크게 확대되었다. 1907년에는 구리개 일대(銅峴, 현 을지로)에서 경성박람회(京城博覽會)가 열렸다. 이로 인해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사대문(四大門)과 그 인근 성벽이 해체되기 시작하였다. 1909년 창경궁(昌慶宮) 내에는 한국 최초의 동물원이 식물원 및 박물관과 함께 설치되어 개방되었다. 덕수궁(德壽宮)으로 이름이 바뀐 경운궁에는 1910년이 되어서야 경운궁의 정전(正殿)으로 구상된 석조전(石造殿)이 들어섰다. 석조전은 본래의 용도로 사용되지 못한 채 덕수궁 내에 있는 다른 전각들과 대비되어 이색적인 경관을 만드는 데에 그쳤다. 이는 한성의 쇠락과 경성의 태동을 각인시킨 대한제국의 마지막 모습이었다.

1910년에서 1926년까지의 시기 동안에는 경성이 건설되어 그 이미지가 만들어졌다. 이와 동시에 한성이 당대인들의 기억을 통해 도시 이미지에 남았다.
1910년 한일병합조약(韓日倂合條約)으로 대한제국은 일본의 식민지 조선이 되었다. 수도 서울의 공식 명칭은 경성이 되었으며 그 지위는 경기도 소속으로 격하되었다. 이와 함께 경성시구개정(京城市區改正) 사업이 시행되어 도로가 정비되고 도로망이 확충되었다. 이 사업이 일본인 거류지인 남촌을 중심으로 진행되면서 조선은행 앞과 그 일대는 경성의 중심 공간으로 부상하였다. 1920년대 중반에는 식민 지배의 핵심 건축물인 조선총독부 신청사와 조선신궁(朝鮮神宮)이 각각 경복궁과 남산에 지어졌다. 이들은 일본 제국주의의 위세를 드러내며 동화주의 (同化主義) 이데올로기를 실현하려는 목적을 가진 기념비적 상징물이었다. 이렇게 경성이 건설된 반면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인 성문과 궁궐은 훼철되어 사라져갔다.
경성의 건설은 다양한 행사를 통해 기념되었으며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경성의 볼거리로 전락하였다. 이는 경성의 건설과 그 이미지의 형성이 시각문화로의 전환임을 알려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경성의 건설을 기념한 행사는 1915년 경복궁에서 열린 시정오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始政五周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 1925년 남산 일대에서 치러진 조선신궁어진좌제(朝鮮神宮御鎭座祭), 1926년 경복궁 일대에서 치러진 조선총독부 신청사의 완공 관련 행사 등이 있다. 이 행사들의 핵심은 경성의 건설을 인식하게 하여 도시 공간에 대한 새로운 기억을 만들어내려는 데에 있었다. 경성의 도시 공간은 행사를 위한 장이 되었으며 행사와 관련된 사진과 글은 여러 매체에 반복적으로 실렸다. 한편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점차 본 모습을 잃은 채 국가적인 행사의 장이나 대중적인 여가의 장소로 만들어졌다. 대표적인 예가 창경원(昌慶苑)이다. 창경궁은 궁궐로서 지위를 잃은 채 경성의 대표적인 구경거리인 창경원으로 격하되었다.
경성으로의 전환과 새로운 시각 경험은 혼란과 충격을 주었으나 이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 및 반응은 수용에서 거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무엇보다도 도시 공간의 정비나 문명 시설의 보급이 일본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면서 조선인들은 점차 소외감을 느끼게 되었다. 이로 인해 당대인들은 스스로 경성의 이방인으로 여기며 한성을 그리워하게 되었다.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폐허가 된 상태였으나 당대인들은 그를 폐허로 기억하지 않았다. 이는 당대의 문학, 『동아일보』에 실린 연재 기사, 『별건곤』에 실린 글 등을 통해 확인된다. 그 결과 한성을 상징하는 장소들은 경성을 상징하는 장소와 중첩되어 경성의 도시 이미지에 담길 수 있었다.

1926년에서 1939년까지의 시기 동안 경성은 대경성(大京城)으로 불리며 이상화(理想化), 심지어는 신화화되었다. 그러나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에서 발견된 파편들은 대경성이 왜곡과 은폐를 통해 만들어진 허상임을 보여준다.
1920년대 중반부터 당대인들은 경성을 대경성으로 불렀으나 대경성의 실체는 모호했다. 대경성이 공식화된 시점은 이 경성에 적용된 1936년 4월 1일이었다. 이는 경성이 일본의 대륙 진출에 있어 거점으로 위상이 변화된 데에서 비롯되었다. 대경성에는 청량리, 마포, 영등포 일대가 포괄되었으며 그 면적은 3.5배 정도로 늘어나 약 70만 명의 인구를 수용하게 되었다. 즉 경성의 공식 명칭이 대경성으로 바뀐 것이 아니라 그 영역이 확장된 것이다. 무엇보다 당시 대경성에서 북촌과 남촌은 서로 다른 도시처럼 그 차이가 극대화된 상태였다. 즉 이상적인 근대 도시 대경성은 당대인들의 기대 속에만 존재할 뿐이었다.
대경성의 현실과는 무관하게 그 신화화는 계속되었다. 이는 1930년대에 이르러 시각적 스펙터클(spectacle)이 문화로 포장되어 일상화된 데에 있다.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를 이루는 백화점과 공원이 된 궁궐은 문화의 중심에 있었다. 백화점은 카페, 갤러리 등이 포함된 복합문화 공간으로 당대인들의 일상과 가까웠다. 아울러 이들은 대경성을 선망하게 하는 장소였다. 궁궐도 복합문화 공간인 공원이 되었다. 1933년 개방된 덕수궁 내에는 박물관, 미술관, 동물원, 아동유원지 등이 만들어졌다. 경복궁에는 1935년 과학관, 철도박물관을 포함한 대박물관의 건설이 계획되었다. 이는 백화점과 궁궐이 여가와 취미의 장소가 아니라 제국에 맞는 취향과 안목을 기르는 장소였음을 알려준다.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시각적 스펙터클로 왜곡되면서 당대인들과 그들이 보았던 대경성의 현실은 삭제되거나 은폐되었다. 안내서, 엽서 등과 같은 매체에는 당대인들과 그들이 보았던 대경성의 실제 도시 이미지는 포함되지 못하였다. 대경성의 이상적인 도시 이미지에서 잘려나간 파편들, 즉 경성의 실상을 보여주는 이미지들은 신문 기사와 잡지 글, 문학 등을 통해 확인된다. 여기에는 서로에게 구경거리가 된 당대인, 토막민(土幕民) 및 빈민, 폐허가 된 장소 등이 나타나 있다. 이러한 가운데 복잡한 층위를 가진 경성의 산책자(Flâneur)가 나타나 대경성의 도시 공간을 배회였다. 광화문으로 표상된 한성의 상실과 해체가 남긴 시각적 충격은 강렬했다. 그 충격은 도시 공간에 대한 기억을 조각내어 버렸다. 경성의 산책자는 거리를 거닐며 견고한 모든 것들이 사라질 것을 알아차렸다. 그러나 경성의 산책자 역시 도시 이미지의 한 파편일 뿐이었다. 이는 대경성의 도시 이미지가 단일한 하나의 이미지가 아니라 파편화된 이미지들의 집적(集積)을 통해서만 이해될 수 있음을 알려준다.

시각문화 연구에 있어서 도시 이미지가 중요한 주제라는 점은 재론의 여지가 없다. 그럼에도 도시 이미지는 시각문화 연구보다는 도시사학, 건축학, 역사학, 사회학, 국문학 등에서 더 활발하게 진행된 측면이 있다. 이는 도시 이미지의 연구가 물리적 환경과 그 변화를 중심으로 진행된 데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시각문화 연구가 시각적 의미 작용을 중요하게 다루는 분야임을 생각할 필요가 있다. 이는 도시 이미지의 형성에 있어서 도시 공간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 기억, 감정 등이 반드시 논의되어야함을 알려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러 문헌 자료와 다양한 매체를 분석하여 도시 공간에 대한 당대인들의 인식, 기억, 감정 등을 살피고 이를 통해 서울의 도시 이미지를 복원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시각문화 연구를 주축으로 하여 국문학, 도시사학, 역사학, 건축사학 등과 같은 인접 학문과의 연계를 통해 진행되었다는 데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 도시 이미지, 서울, 한성(漢城), 경성(京城), 대경성(大京城), 대한제국(大韓帝國), 식민지시대, 인식과 기억
학 번 : 2013-30038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790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0598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