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ublications

Detailed Information

한국현대시사 전환기 정지용의 감정공동체 연구 : Jeong Jiyongs Communities of Feelings in the Transition Period of Modern Korean Poetry

Cited 0 time in Web of Science Cited 0 time in Scopus
Authors

허윤

Advisor
신범순
Issue Date
2020
Publisher
서울대학교 대학원
Description
학위논문(박사)--서울대학교 대학원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2020. 2. 신범순.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works of Jeong Jiyong after the publication of his poetry collection Baekrokdam regarding the communities of feelings. Communities of feelings are important for studying authors whose works could only be subjectified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others. This paper focused on the literary activities of Jeong Jiyong, who was the archetypal pure poet in the early years of modern Korean poetry, within multiple forms and ranges of the communities of feelings. This paper further aimed to shed new light on Jeong Jiyongs legacy in the later years in the history of poetry.
This study reconsidered Jeong Jiyongs works after BaekRokDam, not as an exception to his lifes works, but as a part of Jeongs oeuvre. For this discussion, the main research topic of this study began from the 1940s, when the issues of Jeongs poethood[credentials as a poet] and post-Jeong Jiyong were raised, to the point when the ban of Jeongs works was lifted under the division system.
This study examined how Jeong Jiyongs insecure poetic consciousness as the poet wrote and prepared for the publication of BaekRokDam (1939~1941) began to self-expand after liberation, later to form an emotional understanding and contact with the poets self. The emotional and mutual relationships formed between the poet and the poet(s) have fostered various forms of communities of feelings that departed from the tradition of pure poets, either in the former or latter half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The communities of feelings that functioned as places without places certified Jeong Jiyongs poethood[credentials as a poet] in the transitional period of modern Korean poetry.
This study first classified the formation and progress of Jeong Jiyongs communities of feelings after the publication of BaekRokDam into three stages. Jeong Jiyongs communities of feelings, which were created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liberation space and were extended to the 1950s, overlap with the mourning period as the communities began to call the spirits by externalizing ones emotions after a loss and proceeded to become a stone statue by internalizing and preserving ones emotion.
In Chapter 2, this study focused on some of the critics, each of whom guaranteed Jeong Jiyongs poethood[credentials as a poet], as well as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Jeong Jiyong and Yun Dong-ju, as the Jeong Jiyong communities of feelings that could be discovered in the liberation space. This paper, thus confirmed that the communities of feelings concerning poets around the liberation period were based on the principles of reciprocity and post-construction.
In Chapter 3, this paper analyzed Jeong Jiyong in the context of the communities of feeling that were prevalent in the contemporary literary circles after liberation. For the analysis, this paper set a community based on the collective emotions of the people who remained in the Korean Writers Union and the Munjang communities in the liberation space. Similarly to the people who remained in the Korean Writers Unions, the Munjang communities in the liberation space were communities of feelings that have appeared in the later years of the liberation period. By accepting the sadness and the willingness to recover the literary magazine Munjang, the communities of feelings led the literary circles that had been left void.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the internal continuity between the two groups by focusing on Jeong Jiyongs footsteps; Jeong, who had been identified as a member of the people who remained in the Korean Writers Unions as he faced the decision to either defect or to convert, soon became the leader in reviving the Munjang communities in the liberation space.
In Chapter 4, this study posited that the succeeding poets, who served as mediators of the transmission after division, and the literary historians, who used to be young boys in the liberation space, formed a stone statue-like community of feelings by internalizing their feelings of Jeong Jiyong. The members of the magazine The Study on Poetry in the 1950s reached out to Jeong Jiyong in the liberation space out of the grief of Yun Dong-jus death and his later poems. This study shed light on Jo Ji-hoon, who adjusted his poetic consciousness through Yun Dong-ju and Jeong Jiyong, and placed Kim Jong-gil, who was a member of The Study on Poetry, left many poems on poets, and edited the posthumous collection of poems written by the younger brother of Yun Dong-ju, at a symmetrical position to Jeong Jiyong. Finally, this paper examined the third-generation literary historians who were young boys in the liberation space and felt the loss of the world that was Jeong Jiyong. Through such analysis, this study aimed to discuss the historians effort to restore the poethood[credentials as a poet] in the historical context of the ban lifting on Jeong Jiyongs works. One literary historians analysis of an author based on the method of knowing by feeling may seem simple, but this paper confirmed that this view is an emotional tradition that began in the 1930s with Kim Hwan-Tae, who declared that to witness the shadows behind the poets light, readers should know by feeling.
Based on such discussions, this study confirmed the existence of diverse communities of feelings after the publication of BaekRokDam. The outline of the Jeong Jiyong communities of feelings, which encompass Jeong Jiyong in the liberation space, as well as the displaced people in the latter part of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points out the errors in the straightforward and linear genealogical perception of Jeong Jiyong and allows his position to depart from its initial position of a pure poet of the earlier years.
It may seem unfamiliar to consider Jeong Jiyong as a poet of the transitional perio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since his poetic career after the publication of BaekRokDam has not generally been acknowledged. It may seem as strange as studying Jeongs final collection of poetry and his posthumous years for an author study. Jeong Jiyongs communities of feelings, however, confirm that Jeong Jiyong was a poet of the unfamiliar time and place, even after the publication of BaekRokDam. Within the somewhat complementary set of the communities of feelings, Jeong Jiyongs position shifted from the era of Jiyong to the very center of the transitional period in the history of modern Korean poetry when even his poethood[credentials as a poet] were strongly questioned. His credentials, however, have been experientially acknowledged through the memories and knowing by feeling of the literary historians who had once been young boys in the liberation space. With an emotional recognition of the poet, the post-BaekRokDam can extend to this very moment.
본고는 시집 『백록담』 이후의 정지용에 대한 감정공동체로서의 작가론을 시도하였다. 감정공동체로서의 작가론은 타자와의 관계 맺음을 통해서만 주체화되는 특수한 여건의 작가 연구에 요구되는 관점이다. 『백록담』 이후 기성 시인으로서의 정지용은 전·후반기 시사를 매개한 역할이 확인되지만 월북과 전향, 시와 비시(非詩)의 논리로 재단되거나 시사 전반기의 순수시인으로 정위되었다. 본고는 한국현대시사 전반기 순수시인의 상(像)을 초과하는 정지용의 문학적 실천을 여러 형태의 감정공동체 안에서 살피고 후반기 시사에서의 정지용 전통에 대한 인식에 이르고자 하였다.
『백록담』 이후는 정의 내리기에 따라 그 함의가 다양해지는 시간 범위이다. 본고는 『백록담』 이후를 정지용 시문학사 내의 예외적인 범주가 아닌 작가론의 연속된 시간으로 재정의하고자 하였다. 그 가운데에서도 주된 논의의 범위는 시인자격의 문제와 지용 이후의 문제가 첨예하게 제기되고 전개된 1940년대부터 복권기까지였다. 본고는 이 같은 작가론의 시간을 식민지시기 시적 유산과의 역사적 관계가 형성되고 문학 주체의 재편이 이루어지기 시작한 한국현대시사 전환기의 시간과 겹쳐 바라보고자 하였다.
본고는 한국현대시사 전환기의 시인 정지용에 대한 작가론의 시간으로 재정의된 『백록담』 이후를 중심으로 『백록담』 준비기 최정점(1939~1941)의 미결된 시의식이 해방공간을 기점으로 자기전개하며 시인을 향한 개인 혹은 집단의 감정적 이해와 접점을 이루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시인들 사이에 형성된 감정적 상호성의 지점들이 한국현대시사 전·후반기의 순수시의 계맥 관계로 수렴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감정공동체이며, 문학사 내의 장소 없는 장소로서의 감정공동체가 한국현대시사 전환기 정지용의 시인자격을 드러낸다.
본고는 『백록담』 이후 정지용의 감정공동체의 형성 및 전개 과정을 해방 전후와 해방공간, 그리고 분단 이후의 세 단계로 나누어 살폈다. 정지용의 감정공동체는 널리 그 시인됨이 인정된 지용시대에서부터 시인자격이 위태로웠던 『백록담』 이후로도 유지되며 그 내력을 갖춰 나갔다. 해방 전후는 정지용의 감정공동체가 광막한 형태로 드러나고 발견되는 시간이었다. 정지용의 감정공동체는 이처럼 해방 이전부터의 수직적 내력 속에서 드러나는 것이었으나, 해방공간의 동시대 문단 내에 넓게 존재하는 것이기도 했다. 한편, 금지된 대상을 향하여 감정을 외부화하는 것이 금지된 1950년대 이후에는 정지용의 문학적 실천을 직·간접적으로 내면화한 망부석적인 감정공동체가 시인의 복권기까지 영속했다.
한국현대시사 전반기의 순수시인으로 봉인된 정지용과 『백록담』 이후의 시간은 이들에 의해 풀려나고 현재화되었다. 해방 전후와 해방공간, 그리고 1950년대 이후로 이어진 정지용 감정공동체의 전개 양상은 대상상실에 따른 감정을 외부화하는 초혼에서부터 대상과의 상호성이 약화됨에 따라 감정을 내면화하여 보존하는 애도 방식인 망부석 되기로 나아가는 애도의 서사와 겹쳐진다.
2장에서는 해방 전후로 그 주체만을 달리하며 지기(知己)라는 감정적 이해의 태도에 바탕을 두고 정지용의 시인자격을 지속적으로 보증해 나간 비평가 집단, 그리고 정지용-윤동주의 상호생성적 관계를 해방공간에서 발견된 정지용의 감정공동체로 조명하고자 하였다. 비평가 감정공동체에 의해 시인된 해방공간의 정지용은 윤동주의 후기시에 투영된 『백록담』 준비기(1939~1941) 자신의 시의식을 만시적으로 마주하였으며, 윤동주와 『백록담』을 비롯한 상실된 대상을 향하여 감정을 외부화하는 초혼적 글쓰기를 통해 오랜 비시(非詩, 시가 아닌) 상태에서 비시지시(非詩之詩, 시 아닌 시)로 나아갔다. 이로써 해방 전후 정지용의 감정공동체가 상호성과 사후구축성을 통해 형성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해방 전후의 감정공동체 형성 원리에 관하여 살핀 2장의 총론적 논의에 이어 3장에서는 해방공간 동시대의 문단에 넓게 존재한 감정공동체의 맥락 속에서 정지용을 살폈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조선문학가동맹 잔류파와 해방기 문장파라는 집단감정에 기반한 공동체의 범주를 새롭게 설정하였다. 조선문학가동맹 잔류파는 개인적 진실성이라는 진보적 민족주의 진영 문학의 조직 결성 초기 단계에 계류된 문제의식을 해방 후반부에 수리한 데서 그 문학사적 위치가 확인된다. 조선문학가동맹 잔류파와 마찬가지로 해방 후반부에 발견된 감정공동체인 해방기 문장파는 『문장』을 둘러싼 슬픔과 회복의 의지를 수리함으로써 공백화된 문단을 견인해 나갔다. 본고는 월북과 전향 사이에서 조선문학가동맹 잔류파로서의 정체성이 확인되는 정지용이 해방기 문장파의 재건을 주도하게 되는 양상에 주목함으로써 두 집단 간의 내적 연속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4장에서는 분단 이후 전승의 불가능이라는 조건 아래에서 스스로 시인에 대한 전승의 매개가 된 시인들과 해방공간 소년 출신의 문학사가들을 정지용에 대한 감정을 내면화한 망부석적인 감정공동체로 다루고자 하였다. 먼저 1950년대의 시연구 동인들의 시적 출발점이 윤동주와 그 후기시에 대한 애도의 감정을 매개로 해방공간의 정지용에게 잇닿아 있음을 살펴보았다. 윤동주와 마찬가지로 일제 말기에 정지용의 음영(陰影)을 동보적으로 경험하고 자신의 시의식을 조정해 나간 특수한 예외적 개인으로서의 조지훈을 조명한 데 이어서, 시연구 동인 출신으로 시인표상성의 개성을 나타내며 윤동주의 아우 일주의 유고시집을 엮은 김종길을 윤동주-조지훈의 매듭이라는 의미로 정지용의 대칭점에 정위하고자 하였다. 끝으로는 해방공간의 소년으로 정지용이라는 세계 상실을 경험한 3세대 문학사가들을 조명하면서 이들에 의한 시인자격의 회복이라는 문제를 정지용 해금의 문학사적 맥락 속에서 살피고자 하였다. 느껴서 안다는 의미인 감득(感得)을 작가론의 방법으로 제시한 한 문학사가의 인식은 일견 소박해 보이는 것이지만, 이것이 시인의 밝음 뒤에 놓인 음영을 바라볼 수 있는 감득(感得)의 자세가 우리에게 요청된다고 공언하였던 1930년대의 비평가 감정공동체로부터 불연속적으로 지속되는 감정 전통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거쳐 본고는 정지용과 해방 전후의 비평가 감정공동체, 슬픔이라는 감정의 동위 관계에 배치된 윤동주-정지용, 정지용-조지훈의 감정공동체, 조선문학가동맹 잔류파와 해방기 문장파로서의 정지용, 윤동주 후기시로 매개된 해방공간의 정지용과 1950년대 시인들의 접점, 그리고 정지용-해방공간의 소년들에 이르는 『백록담』 이후 다양한 감정공동체의 존재를 확인하였다. 이처럼 해방공간의 정지용과 한국현대시사 후반기의 고향을 가지지 않은 자들을 두루 포괄하는 범위의 정지용 감정공동체의 경개는 정지용을 향한 직선적·단선적인 계보 인식에 오차를 발생시키며 정지용을 전반기의 순수시인이라는 단일한 기원의 지점으로 추인하지 않을 수 있도록 한다.
『백록담』까지의 시력이 보편적으로 인정되어온 정지용에게 한국현대시사 전환기 시인의 위상을 부여한다는 것은 마지막 번째 시집과 생애사 이후로 설정된 작가론의 시간만큼이나 낯선 것이라고 하겠다. 그 낯선 시간과 장소인 『백록담』 이후의 시인됨을 입증하는 것이 정지용의 감정공동체임을 확인해 둔다. 여집합과도 같은 감정공동체 안에서, 시인 정지용의 좌표는 1930년대의 지용시대에서 시인자격이 가장 위태로웠던 한국현대시사 전환기의 한가운데로 나아갔다. 그리고 그것은 해방공간의 소년이던 문학사가들의 사사화된 기억과 감득(感得)을 통해 경험적으로 현재화되었다. 시인을 향한 감정적 인식의 토대 위에 서 있을 때 『백록담』 이후는 바로 지금 이 순간까지인 것이다.
Language
kor
URI
https://hdl.handle.net/10371/167802

http://dcollection.snu.ac.kr/common/orgView/000000161064
Files in This Item:
Appears in Collections:

Altmetrics

Item View & Download Count

  • mendeley

Items in S-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Share